$\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IP5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미래 해수면 상승
Future Sea Level Projections over the Seas Around Korea from CMIP5 Simulations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1, 2018년, pp.25 - 35  

허태경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김영미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부경온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변영화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조천호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future potential sea level change over the seas surrounding Korea using Climat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9 model ensemble result from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downloaded from icdc.zmaw.de. At the end of 21st century, regional sea level changes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Jung, 2014;Yoon and Kim, 2012).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우리나라 해수면 변동뿐 아니라 IPCC AR5에서 사용된 CMIP5 모델 앙상블 자료를 사용하여 20세기말 대비 21세기 말 우리나라의 해수면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6개 구역으로 분리하여 전 지구 평균 대비 우리나라 미래해수면상승의 특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우리나라 해수면 변동뿐 아니라 IPCC AR5에서 사용된 CMIP5 모델 앙상블 자료를 사용하여 20세기말 대비 21세기 말 우리나라의 해수면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6개 구역으로 분리하여 전 지구 평균 대비 우리나라 미래해수면상승의 특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SLR을 산출하기 위한 10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TSLR은 해양의 질량과 밀도 변화 등 총 10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한다. 10가지 요소는 dynamic SSH(역학적 해수면고도), global thermosteric SSH anomaly(전 지구 열적 해수면고도 변화), inverse barometer effect(역기압효과)의 해양관련 3가지 요소, Greenland dynamic ice and surface mass balance(그린란드 빙하에 의한 역학적 지표면균형), Antarctic dynamic iceand surface mass balance, glaciers(남극 빙하에 의한 역학적 지표면균형)의 빙하관련 5가지 요소, 그리고 land water storage(육상 물), 빙하 감소에 따른 전지구적인 균형을 고려한 Glacial isostatic adjustment(빙하 지각균형 조정; GIA)로 구성되어 있다. ICDC에서는 21개 모델 앙상블 값을 제공하는데 21개 모델은 ACCESS1-0, ACCESS1-3, CCSM4, CNRM-CM5, CSIRO-Mk3-6-0, CanESM2, GFDL-CM3, GFDL-ESM2G, GFDL-ESM2M, HadGEM2-ES, IPSL-CM5A-LR, IPSL-CM5A-MR, MIROC-ESM, MIROC-ESM-CHEM, MIROC5, MPI-ESM-LR, MPI-ESM-MR, MRI-CGCM3, NorESM1-M, NorESM1-ME, inmcm4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는 어떤 문제를 불러왔는가? 산업혁명에 이후 인간의 인위적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는 전 지구 평균 기온상승의 원인이 되었을 뿐 아니라 해양온난화를 야기하였다. 대기보다 약 1,000배나 큰 열용량을 가지는 해양은 1960년대 이후 대기보다 약 20배나 많은 열량을 흡수하였다(Levitus et al.
IPCCAR5에 따르면 21세기 말 전세계 연안의 70% 지역이 전 지구 평균해수면 변화량의 20%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며 변동한다고 하였는데, 해수면 상승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3)에 따르면 21세기 말 전세계 연안의 70% 지역이 전 지구 평균해수면 변화량의 20%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며 변동한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의 차이는 해양에서의 열적 팽창의 정도, 대기의 영향 정도, 빙하의 영향, GIA 등이 영향이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Slangen et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urch, J. A., N. J. White, R. Coleman, K. Lambeck, and J. X. Mitrovica, 2004: Estimate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sea level rise over the 1950-2000 period. J. Climate, 17, 2609-2625, doi:10.1175/1520-0442(2004)017 2.0.CO;2. 

  2. Church, J. A., and Coauthors, 2013: Sea Level Change. In T. F. Stocker et al. Eds., Climate Change 2013 -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7-1216. 

  3. Fadil, A., L. Sichoix, J.-P. Barriot, P. Ortega, and P. Willis, 2011: Evidence for a slow subsidence of the Tahiti Island from GPS, DORIS, and combined satellite altimetry and tide gauge sea level records. C. R. Geosci., 343, 331-341, doi:10.1016/j.crte.2011.02.002. 

  4. Gordon, A. L., and C. F. Giulivi, 2004: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sea level in the Japan/East sea. Deep-Sea Res. Pt. I, 51, 653-663, doi:10.1016/j.dsr.2004.02.005. 

  5. Ha, K.-J., G.-Y. Jeong, S.-R. Jang, and K.-Y. Kim, 2006: Variation of the sea surface heigh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use of multi-satellite data (Topex/Poseidon, Jason-1, ERS, Envisat) and its association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Kor. J. Remote Sens., 22, 519-5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mlington, B. D., R. R. Leben, R. S. Nerem, W. Han, and K.-Y. Kim 2011: Reconstructing sea level using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J. Geophys. Res., 116, C12015, doi:10.1029/2011JC007529. 

  7. Huang, C., and F. Qiao, 2015: Sea level rise projection in the South China Sea from CMIP5 models. Acta Oceanol. Sin., 34, 31-41, doi:10.1007/s13131-015-0631-x. 

  8.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Solomon, S. et a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9 pp. 

  9.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tocker, T. F. et a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52 pp. 

  10. Jung, T. S., 2014: Change of mean sea level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6, 120-130, doi:10.9765/KSCOE.2014.26.3.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S. K., J. Y. Cherniawsky, M. G. G. Foreman, H. S. Min, C.-H. Kim, and H.-W. Kang, 2005: Patterns of recent sea level rise in the East/Japan Sea from satellite altimetry and in situ data. J. Geophys. Res. Oceans, 110, C07002, doi:10.1029/2004JC002565. 

  12. Levitus, S., J. Antonov, and T. Boyer, 2005: Warming of the world ocean, 1955-2003. Geophys. Res. Lett., 32, L02604, doi:10.1029/2004GL021592. 

  13. Little, C. M., R. M. Horton, R. E. Kopp, M. Oppenheimer, and S. Yip, 2015: Uncertainty in Twenty-First-Century CMIP5 sea level projections. J. climate, 28, 838-852, doi:10.1175/JCLI-D-14-00453.1. 

  14. Lyu, K., X. Zhang, J. A. Church, A. B. A. Slagen, and J. Hu, 2014: Time of emergence for regional sea-level change. Nat. Climate Change, 4, 1006-1010, doi:10.1038/nclimate2397. 

  15. Meehl, G. A., W. M. Washington, W. D. Collins, J. M. Arblaster, A. Hu, L. E. Buja, W. G. Strand, and H. Teng, 2005: How much more global warming and sea level rise?. Science, 307, 1769-1772, doi:10.1126/science.1106663. 

  16. Nicholls, R. J., and A. Cazenave, 2010: Sea-level rise and its impact on coastal zones. Science, 328, 1517-1520, doi:10.1126/science.1185782. 

  17. Slangen, A. B. A., M. Carson, C. A. Katsman, R. S. W. van de Wal, A. Kohl, L. L. A. Vermeersen, and D. Stammer, 2014: Projecting twenty-first century regional sea-level changes. Climatic Change, 124, 317-332, doi:10.1007/s10584-014-1080-9. 

  18. White, N. J., J. A. Church, and J. M. Gregory, 2005: Coastal and global averaged sea level rise for 1950 to 2000. Geophys. Res. Lett., 32, L01601, doi:10.1029/2004GL021391. 

  19. Yin, J., M. E. Schlesinger, and R. J. Stouffer, 2009: Model projections of rapid sea-level rise on the northeast coast of the Unites States. Nat. Geosci., 2. 262-266, doi:10.1038/NGEO462. 

  20. Yoon, J. J., and S. I. Kim, 2012: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J. Korean Soc. Hazard Mitig., 12, 299-305, doi:10.9798/KOSHAM.2012.12.3.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