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쓴쑥 지상부의 화학성분과 RAW264.7 및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 억제효과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absinthium and Its Inhibi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and BV2 Microgli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1, 2018년, pp.1 - 6  

고해주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  이환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  이동성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  우은란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x compounds, eupatilin (1), dammaradienyl acetate (2), glutinol acetate (3), $3{\beta}-acetoxyoleanan-12-one$ (4), taraxasterol (5) and quercetin-3,4'-dimethyl ether (6)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absinthium. The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1-6 were determine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3C-NMR 스펙트럼에서 δ 78.5에서 수산기의 존재를, δ 142.0, 119.8의 피크로 이중결합의 존재를,δ 170.9, 21.2의 피크로 아세테이트기의 존재를 각각 확인하였다.
  • 17)본 연구에서는 쓴쑥에서 분리된 6종 화합물의 NO생성 억제 효과를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탐색하였다. 먼저, 쓴쑥에서 분리된 6종의 화합물을 RAW264.
  • CH2Cl2 분획 19 g에 대해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Hexane:EtOAc=20:1→1:1, CHCl3:EtOAc=10:1→5:1, CHCl3:MeOH=10:1→1:1)를 실시하여 36개의 소분획(D-1, D-2 … D-36)을얻었다.
  • 7 대식세포(Table I)와 BV2 미세아교세포(Table II)에서 NO생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Eupatilin(1)의 NO생성억제 IC50 값을 각각의 세포에서 확인하였다(Table I and II). Eupatilin(1)의 RAW264.
  • RAW264.7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5×105 cells/well)를 10% heat-inactivated FBS, penicillin G(100 IU/ml), streptomycin(100 μg/ml), L-glutamine(2 mM)을 함유한 DMEM배지에 분주하고 5% CO2 배양기내에서 37oC의 온도로 배양하였다.
  • 기기 및 시약 − 융점측정기는 Fisher Scientific(Model 307N0043, Canada)를 사용하였고 선광도는 AUTOPOL®automatic polarimeter(Rudolph Research Flangers, NJ07836, U.S.A.)를 사용하였으며 IR 스펙트럼은 JASCO FT/IR-300E(JASCO Co., Japan)를 사용하였다.
  • 기존의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를 넣어준 후 DMSO에 녹인 시료를 다양한 농도(1-40 µM)로 DMEM 배지에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 이들 화합물중 triterpene계 화합물인 2-5는 쓴쑥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들이다. 또한, 분리된 6종의 화합물에 대해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NO억제 효과를 탐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쓴쑥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얻어 진 CH2Cl2 분획에 대해 실리카겔, RP-18, MCI-gel등의컬럼충진제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6종의 화합물 eupatilin(1), dammaradienyl acetate(2), glutinol acetate(3), 3β-acetoxyoleanan-12-one(4), taraxasterol(5), quercetin-3,4'-dimethyl ether(6)을 분리, 동정하였다.
  • 성분연구가 미흡한 쓴쑥(A. absinthium)의 지상부로부터 6종의 성분들을 단리하여 각각 eupatilin(1), dammaradienyl acetate(2), glutinol acetate(3), 3β-acetoxyoleanan-12-one(4),taraxasterol(5), quercetin-3,4'-dimethyl ether(6)으로 동정하였다.
  • 7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 농도별(1-40 μM)로 48시간 처리하였고, 6종의 화합물 모두가 40 μM까지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Data not shown). 이에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 쓴쑥에서 분리된 6종의 화합물을 처리하고 LPS로 24시간동안 염증반응을 유발한 후 NO생성 억제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6종 가운데 eupatilin(1)만 RAW264.
  • EI-MS 스펙트럼에서는 분자이온이 m/z 468[M]+에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과 비교하여 화합물 2는 dammaradienyl acetate 로 동정하였다.10)
  • EI-MS스펙트럼에서는 분자이온이 m/z 468[M]+에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과 비교하여 화합물 3은 glutinol acetate로 확인 동정하였다.11,12)

대상 데이터

  • , Japan)를 사용하였다. ESI-MS는 JMS 700(JEOL, Japan)을 사용하였고 1H-NMR과 13C-NMR은 Varian Unity Inova 500(KBSI-광주분원) 및 JEOL JNM-LA 300을 사용하였다. 분취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의 충진제로는Kieselgel 60(63-200 µm, Art.
  • 분취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의 충진제로는Kieselgel 60(63-200 µm, Art. 7734, Merck), Kieselgel60(40-63 µm, Art. 9385, Merck), Sephadex LH-20(Beads size 25-100 µm, Sigma), MCI gel CHP20P(75-150 µm, Mitsubishi Chemical Co.)을 사용하였다.
  • 세포 배양 − RAW264.7 대식세포는 ATCC에서 동결상태로 구입하였고, BV2 미세아교세포는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김윤철 교수님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 실험재료 − 본 실험에 사용한 쓴쑥(Aretemisia absinthiumL.)은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약초원에서 채취하여 전문가(우은란 교수, 조선대 약학과)의 동정과정을 거쳐 사용하였으며, 표본은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표본실에 보관하고 있다.

데이터처리

  • , San Diego, CA, USA)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간의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오차로 나타냈으며, 각 실험군간의 결과는 ANOVA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만 검정하였다
  • 형성된 formazan의 각 well에 DMSO 20 μl를 첨가한 후 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녹이고, 30분 후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 통계처리 − 본 실험의 통계처리는 GraphPad Prism, version 3.03(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세포 독성 − 본 실험에서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실험 시 처리 농도를 결정하고, 6종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MTT assay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쓴쑥에서 분리한 성분 중 NO생성억제에 유의미한 효과를 낸 성분은 무엇인가요? absinthium)의 지상부로부터 6종의 성분들을 단리하여 각각 eupatilin(1), dammaradienylacetate(2), glutinol acetate(3), 3β-acetoxyoleanan-12-one(4),taraxasterol(5), quercetin-3,4'-dimethyl ether(6)으로 동정하였다. 이 가운데 eupatilin(1)만이 RAW264.7 대식세포와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LPS로 유발한 NO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화합물 2-5는 쓴쑥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들이다.
쓴쑥에 대해 설명하시오 쓴쑥(Artemisia absinthium L.)은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반관목 식물이다. 유럽이 원산지로 2,100 m 고도의 카슈미르 지역에서 발견되며 높이 약 150 cm 정도에 이른다.
논문의 연구에서 수행한 쓴쑥 공정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연구에서는 쓴쑥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얻어 진 CH2Cl2 분획에 대해 실리카겔, RP-18, MCI-gel등의컬럼충진제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6종의 화합물 eupatilin(1), dammaradienyl acetate(2), glutinol acetate(3), 3β-acetoxyoleanan-12-one(4), taraxasterol(5), quercetin-3,4'-dimethyl ether(6)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triterpene계 화합물인 2-5는 쓴쑥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lin, W. (2002) Artemisia, Artemisia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p. 344. Industrial Profiles and Chemical Rubber Company (CRC), London & New York. 

  2. Aberham, A., Cicek, S. S., Schneider, P. and Stuppner, H. (2010) Analysis of sesquiterpene lactones, lignans, and flavonoids in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mass spectrometry, reversed phase HPLC, and HPLC-solid phase extraction-nuclear magnetic resonance. J. Agric. Food Chem. 58: 10817-10823. 

  3. Ahamad, J., Naquvi, K. J., Ali, M. and Mir, S. R. (2014) Isoflavone glycosides from aerial parts of Artemisia absinthium. Chem. Nat. Compd., 49: 996-1000. 

  4. Tulake, A., Jiang, Y. and Tu, P. F. (2012) Nine lignans from Artemisia absinthium L. J. Chin. Pharm. Sci. 21: 360-364. 

  5. Ahamad, J., Naquvi, K. J., Ali, M. and Mir, S. R. (2013) New glycoside esters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absintium Linn. Nat. Prod. J. 3: 260-267. 

  6. Berlet, B. S. and Stadtman, E. R. (1997) Protein oxidation in aging, disease, and oxidative stress. J. Biol. Chem. 272: 20313-20316. 

  7. Remick, D. G., Strieter, R. M., Eskandari, M. K., Nguyen, D. T., Genord, M. A., Raiford, C. L. and Kunkel, S. L. (1990)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pathologic alterations. Am. J. Pathol. 136: 49-60. 

  8. Gonzalelz-Scarano, F. and Baltuch, G. (1999) Microglia as mediators in inflammatory and degenerative disease. Annu. Rev. Neurosci. 22: 219-240. 

  9. Kim, A. R., Ko, H. J., Chowdhury, M. A., Chang, Y. S. and Woo, E.-R. (2015) Chemical constituents on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selengensis and their IL-6 inhibitory activity. Arch. Pharm. Res. 38: 1059-1065. 

  10. Liu, R., Wang, X.-B. and Kong, L.-Y. (2006) Dammaradienyl acetate. Acta Cryst. E62: o3544-o3546. 

  11. Seedi, E. and Hesham, R. (2005) Antimicrobial triterpenes from Poulsenia armata Miq. Standl. Nat. Prod. Res. 19: 197-202. 

  12. Fingolo, C. E., Santos, T. de S., Vianna, F. M. D. M. and Kaplan, M. A. C. (2013) Triterpene esters: natural products from Dorstenia arifolia. Molecules 18: 4247-4256. 

  13. Gaydou, E. M., Faure, R. and Wollenweber, E. (1996) ${\beta}$ -amyrin acetate epoxide from Canarina canariensis. Phytochemistry 42: 1115-1118. 

  14. Yekta, M. M. and Alavi, S. H. R. (2008) New triterpenoids from Peucedanum ruthemicum. Iran J Pharm. Sci. 4: 289-294. 

  15. Carvalho, M. G., Velandia, J. R. and Beserra, L. O. F. B. (1998) Triterpenoid isolated from Eschweilera longipes Miers (Lecythidaceae). Quim. Nova. 21: 740-743. 

  16. Kwon, Y. S. and Kim, C. M. (2003)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stem of Sorghum bicolor. Arch. Pharm. Res. 26: 535-539. 

  17. Knowles, R. G. and Moncada, S. (1994) Nitric oxide synthases in mammals. Biochem. J. 298: 249-258. 

  18. Choi, E. J., Lee, S., Chae, J. R., Lee, H. S., Jun, C. D. and Kim, S. H. (2011) Eupatilin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macrophages. Life Sci. 88: 1121-1126. 

  19. Sapkota, A., Gaire, B. P., Cho, K. S., Jeon, S. J., Kwon, O. W., Jang, D. S., Kim, S. Y., Ryu, J. H. and Choi, J. W. (2017) Eupatilin exerts neuroprotective effects in mice with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by reducing microglial activation. PLoS One. 12: e01714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