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내 검정법을 이용한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 선발
In Vitro Screening of Antibacterial Agents for Suppression of Fire Blight Disease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4 no.1, 2018년, pp.41 - 51  

이민수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이인경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김삼규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오창식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박덕환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과수 화상병은 2015년 사과 및 배에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방제제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농촌진흥청은 무름병과 세균점무늬병 등 다른 식물세균병해에 등록되어 있는 살세균제들을 직권등록 시켜놓은 상태이다. 그러나 직권등록이란, 약효는 보증하지 않으면서 약해만을 보증하는 제도로, 국내에서 과수 화상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절한 방제제를 선발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기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권등록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 중, 각각 4종의 농용항생제와 구리 합성 화학물 그리고 생물학적 방제제 2종에 대한 기내 검정법을 통하여 국내 과수 화상병원세균 억제 및 병징확산 억제효과를 검증하였다. Kasugamycin, Oxytetracycline 및 streptomycin의 항생제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oxolinic acid는 꽃에서의 억제효과는 우수하였지만 신초 및 미성숙과 기내검정에서는 다소 효과가 감소하였다. 4종의 구리 합성 화학물은 항생제만큼의 억제효과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용가능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종의 생물적 방제제는 처리시기 등을고려할 경우, 친환경 재배지에서는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국내 과수 화상병원세균은 선발 방제제 중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지 않고,화분매개충에 대한 영향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fire blight disease on apple and pear was produced in Korea in 2015, there were no registered chemicals to control against this disease. Instead, several antibacterial chemicals that were registered for other bacterial diseases such as soft rot and bacterial spot have been authorized by R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농촌진흥청은 무름병과 세균점무늬병 등 다른 식물세균병해에 등록되어 있는 살세균제들을 직권등록 시켜놓은 상태이다. 그러나 직권등록이란, 약효는 보증하지 않으면서 약해만을 보증하는 제도로, 국내에서 과수 화상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절한 방제제를 선발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기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권등록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 중, 각각 4종의 농용항생제와 구리 합성 화학물 그리고 생물학적 방제제 2종에 대한 기내 검정법을 통하여 국내 과수 화상병원세균 억제 및 병징확산 억제효과를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직권으로 화상병 방제약제로 직권 등록된 16개의 단제 및 혼합제의 주성분 약제에 대한 화상병 억제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적극적 화상병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만 화상병 자체가 식물방역법 기준 금지병해충으로 지정된 관계로 포장검증은 실시할 수 없었으며, 이를 대신하여 실내에서 검증하였다.
  • 다만 화상병 자체가 식물방역법 기준 금지병해충으로 지정된 관계로 포장검증은 실시할 수 없었으며, 이를 대신하여 실내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최근 미국에서 화상병 방제약제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약제저항성 균주의 출현여부도 확인하여, 화상병 미발생 및 발생농가에 대한 약제 선택의 가능성을 폭넓게 하기 위함도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방제제의 화분매개충에 대한 독성 검정. 국외에서의 과수 화상병의 발생은 개화기 화분매개충에 의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orelli 등, 2003).
  •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 검정. 본 연구에서 국내 화상병 억제를 위한 항생제 계열 방제제들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여, 국내 화상병원세균의 항생제 저항성 여부를 검정하였다. Streptomycin 저항성 유전자 확인은 6.
  • 선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 균주 검정. 본 연구에서 선발된 항생제 중, 저항성 균주의 출현이 미비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oxytetracycline (Loper 등, 1991)를 제외한 streptomycin과 kasugamycin에 대한 국내 화상병원세균들의 저항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먼저 transposable element에 의해 획득되는 streptomycin 저항성 유전자 strA 및 strB의 존재는 검정에 사용된 국내 화상병원세균 8균주에서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Fig.
  • 이에 국내 과수 화상병의 발생원인 및 경로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에서는 국외의 보고에 따라 방제제 처리시기를 개화기로 권유하고 있으나, 재배농민들은 개화기 수분력 감소원인으로 각종 방제제 살포를 말하고 있는 실정에서 무조건적인 화상병 방제제 살포를 유도할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제로 선발된 후보 방제제들을 대상으로 대표적 화분매개충인 꿀벌(Apis mellifera)에 대한 접촉 및 경구 독성검사를 실시하여, 이러한 재배농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독성 검정은 각 방제제별 꿀벌 10개체를 1,000 ppm 농도로 분무처리하거나, 먹이에 혼합하여 45 cm×35 cm×40 cm 플라스틱 박스에서 각각 노출과 섭식을 유도하면서 처리 30분부터 24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사충률을 조사하였으며, 총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 선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 균주 검정. 본 연구에서 선발된 항생제 중, 저항성 균주의 출현이 미비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oxytetracycline (Loper 등, 1991)를 제외한 streptomycin과 kasugamycin에 대한 국내 화상병원세균들의 저항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상병 발생 현황은? 과수 화상병(Fire blight disease)은 식물병원세균 Erwinia amylovora (Burrill 1882)에 의해 발생하는 과수병해로, 사과, 배, 살구, 자두, 라즈베리 등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나무들을 기주로 하여 매우 큰 손실을 초래하는 대표적 식물병원세균 병해이다(van der Zwet 등, 2012). 화상병의 발생은 1780년 미국 동부 지역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래, 지중해 연안 나라들을 포함한 다수의 유럽국가에서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중국과 경계 지역인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키르키스탄에서도 발생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Drenova 등, 2012). 국내의 경우 2015년 이전까지는 과수 화상병과 유사한 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체로부터 화상병원세균으로 최종 확인된 사례는 전무하였으며, 이에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식물방역법에 근거하여 화상병원세균을 금지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하여 왔다.
과수 화상병이란 무엇인가? 과수 화상병(Fire blight disease)은 식물병원세균 Erwinia amylovora (Burrill 1882)에 의해 발생하는 과수병해로, 사과, 배, 살구, 자두, 라즈베리 등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나무들을 기주로 하여 매우 큰 손실을 초래하는 대표적 식물병원세균 병해이다(van der Zwet 등, 2012). 화상병의 발생은 1780년 미국 동부 지역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래, 지중해 연안 나라들을 포함한 다수의 유럽국가에서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중국과 경계 지역인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키르키스탄에서도 발생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Drenova 등, 2012).
국내에서 발견된 과수 화상병의 최초 사례는? 국내의 경우 2015년 이전까지는 과수 화상병과 유사한 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체로부터 화상병원세균으로 최종 확인된 사례는 전무하였으며, 이에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식물방역법에 근거하여 화상병원세균을 금지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하여 왔다. 그러나 2015년 5월 초 안성시 배나무 과원에서 발생된 유사 병징의 이병체로부터 화상병원세균의 존재가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E. amylovora에 의한 국내 배나무 화상병이 국내 최초로 보고되었다(Park 등, 2016). 이와 비슷한 시기에 최초 발생지와 근접한 천안시에서도 화상병의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충청북도 제천시에서는 안성과 천안시의 발생시기보다 늦은 여름에 사과나무에서도 화상병이 확인되었다(Myung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onymous. 1999. Opinion of the scientific steering committe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Unit B3 - management of scientific committees II, amount of antimicrobial used, European Commission. In: Directorate General XXIV Consumer Policy and Consumer Health Protection, pp. 44-45. European Commission, Brussels, Belgium. 

  2. Chiou, C. S. and Jones, A. L. 1995. Molecular analysis of high-level streptomycin resistance in Erwinia amylovora. Phytopathology 85: 324-328. 

  3. Cox, K. D., Aldwinckle, H. S., Villani, S. M. and Bekoscke, K. A. 2013. Evaluation of bactericide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fire blight on 'Idared' apples in NY, 2012. Plant Dis. Manage. Rep. 7: PF001. 

  4. de Leon Door, A. P., Chacon, A. R. and Muniz, C. A. 2013. Detection of streptomycin resistance in Erwinia amylovora strains isolated from apple orchards in Chihuahua, Mexico. Eur. J. Plant Pathol. 137: 223-229. 

  5. Drenova, N. V., Isin, M. M., Dzhaimurzina, A. A., Zharmukhamedova, G. A. and Aitkulov, A. K. 2012. Bacterial fire blight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Plant Health: Research and Practice 1: 44-48. 

  6. Gusberti, M., Klemm, U., Meier, M. S., Maurhofer, M. and Hunger-Glaser, I. 2015. Firre blight control: the struggle goes on. A comparison of different fire blight control methods in Switzerland with respect to biosafety, efficacy and durabilit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2: 11422-11447. 

  7. Hyun, J.-W., Kim, H.-J., Yi, P.-H., Hwang, R.-Y. and Park, E.-W. 2012. Mode of action of streptomycin resistance in the citrus canker pathogen (Xanthomonas smithii subsp. citri). Plant Pathol. J. 28: 207-211. 

  8. Jamar, L. and Lateur, M. 2007. Strategies to reduce copper use in organic apple production. Acta Hortic. 737: 113-120. 

  9. Kunz, S. and Donat, C. 2014. Field results for the efficacy of fire blight control agents in the last fifteen years in Germany. Acta Hortic. 1056: 101-106. 

  10. Longstroth, M. 2001. The 2000 fire blight epidemic in southwest Michigan apple orchards. Compact Fruit Tree 34: 16-19. 

  11. Loper, J. E., henkels, M. D., Roberts, R. G. Grove, G. G., Willet, M. J. and Smith, T. J. 1991. Evaluation of streptomycin, oxytetracycline, and copper resistance of Erwinia amylovora isolated from pear orchards in Washington State. Plant Dis. 75: 287-290. 

  12. McGhee, G. C., Guasco, J., Bellomo, L. M., Blumer-Schuette, S. E., Shane, W. W., Irish-Brown, A. et al. 2011. Genetic analysis of streptomycin-resistant ( $Sm^R$ ) strains of Erwinia amylovora suggests that dissemination of two genotypes is responsible for the current distribution of $Sm^R$ E. amylovora in Michigan. Phytopathology 101: 182-191. 

  13. McGhee, G. C. and Sundin, G. W. 2011. Evaluation of kasugamycin for fire blight management, effect on nontarget bacteria, and assessment of kasugamycin resistance potential in Erwinia amylovora. Phytopathology 101: 192-204. 

  14. Myung, I.-S., Lee, J.-Y., Yun, M.-J., Lee, Y.-H., Park, D. H. and Oh, C.-S., 2016. Fire blight of apple, caused by Erwinia amylovora, a new disease in Korea. Plant Dis. 100: 1774. 

  15. Norelli, J. L., Jones, A. L. and Aldwincle, H. S. 2003. Fire blight management in the twenty-first century: using new technologies that enhance host resistance in apple. Plant Dis. 87: 756-765. 

  16. Ordax, M., Marco-Noales, E., LOpez, M. M. and Biosca, E. G. 2006. Survival strategy of Erwinia amylovora against copper: Induction of the viable-but-nonculturable state. Appl. Environ. Microbiol. 72: 3482-3488. 

  17. Ordax, M., Marco-Noales, E., LOpez, M. M. and Biosca, E. G. 2010. Exopolysaccharides favor the survival of Erwinia amylovora under copper stress through different strategies. Res. Microbiol. 161: 549-555. 

  18. Park, S. Y., Han, H. S., Lee, Y. S., Koh, Y. J. and Jung, J. S., 2007. Streptomycin resistant gene of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Res. Plant Dis. 13: 88-92. (In Korean) 

  19. Park, D. H., Yu, J.-G., Oh, E.-J., Han, K. S., Yea, M. C., Lee, S. J. et al. 2016. First report of fire blight disease on Asian pear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n Korea. Plant Dis. 100: 1946. 

  20. Psallidas, P. G. and Tsiantos, J. 2000. Chemical control of fire blight. In: Fire Blight; the Disease and Its Causative Agent, Erwinia amylovora, ed. by J. L. Vanneste, pp. 199-234. CABI Publishing, Wallingford, Oxon, UK. 

  21. Pusey, P. L. 2002.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fire blight of apple compared under conditions limiting natural dispersal. Plant Dis. 86: 639-644. 

  22. Russo, N. L., Burr, T. J., Breth, D. I. and Aldwinckle, H. S. 2008. Isolation of streptomycin-resistant isolates of Erwinia amylovora in New York. Plant Dis. 92: 714-718. 

  23. Stockwell, V. O., Johnson, K. B., Loper, J. E., Lindow, S. E., Hecht-Poinar, E., I. and Elliott, V. J. 2002. Biological control of fire blight: understanding interaction among introduced and indigenous microbial communities. In: Phyhllosphere Micrbiology, eds. by S. E. Lindow, E. I. Hecht-Poinar, and V. J. Elliot, pp. 225-239. APS Press, St. Paul, MN, USA. 

  24. Stockwell, V. O., Temple, T. N., Loper, J. E. and Johnson, K. B. 2008. Integrated control of fire blight with antagonists and oxytetracycline. Acta Hortic. 793: 383-390. 

  25. Sundin, G. W., Werner, N. A., Yoder, K. S. and Aldwinckle, H. S. 2009. Field evaluation of biological control of fire blight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Plant Dis. 93: 386-394. 

  26. Tancos, K. A. and Cox, K. D. 2016. Exploring diversity and origins of streptomycin-resistant Erwinia amylovora isolates in New York through CRISPR spacer arrays. Plant Dis. 100: 1307-1313. 

  27. Tancos, K. A. and Cox, K. D. 2017. Effects of consecutive streptomycin and kasugamycin applications on epiphytic bacteria in the apple phyllosphere. Plant Dis. 101: 158-164. 

  28. Tancos, K. A., Villani, S. M., Borejsza-Wysocka, E., Kuehne, S., Breth, D., Aldwinckle, H. S. et al. 2016. Prevalence of streptomycinresistant Erwinia amylovora in New York apple orchards. Plant Dis. 100: 802-809. 

  29. van der Zwet, T. and Keil, H. I. 1979. Fire Blight-a Bacterial Disease of Rosaceous Plants. USDA Agriculture Handbook 510.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30. van der Zwet, T., Orolaza-Halbrendt, N. and Zeller, W. 2012. Fire Blight History, Biology, and Management. APS Press, St. Paul, MN,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