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Allergic Rhinitis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749 - 757  

이재영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에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7기 1차년도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5,841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정신건강 특성 및 알레르기 질환 특성이었으며,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5.4%였다. 또한, 알레르기 비염 관련요인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스트레스, 우울증,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이었다. 대상자는 성별이 남성인 경우보다 여성인 경우, 연령이 낮아지는 경우, 결혼여부가 미혼인 경우보다 기혼인 경우,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우울증,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알레르기 비염 발생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가보건통계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을 예방하고 증상을 관리하기 위하여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과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llergic rhinitis in Korean adults. The investigation was based on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41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레르기 비염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질환자에게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게 되는 질환이므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전 국민을 대표할 수 있는 국가보건통계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과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 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최근 국가보건 통계자료인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 7기 1차년도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자료[16]를 이용하여 시행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셋째,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관련요인을 파악한다.
  • 본 연구에서 한국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관련요인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스트레스, 우울증,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이었다. 이에 각 변수별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성별이 남성인 경우보다 여성인 경우에 알레르기 비염이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장 유병률이 높은 알레르기 질환은? 최근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알레르기 질환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1]. 가장 유병률이 높은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이다[1,2]. 그 중에서도 알레르기 비염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데[3], 우리나라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998년 1.
알레르기 비염이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알레르기 비염은 코가 막혀서 숨을 쉬기 힘들거나, 콧물·재채기 등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6], 수면충족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7], 흔히 동반되는 야간수면장애로 인하여 주간의 피로감, 무력감 혹은 학습능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5]. 또한 두통을 동반하여 신체적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업무에 집중하기 힘들거나 신경이 예민해지는 등 정서적 기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6]. 그리고 장기간 구강 호흡이 지속되면 치아 부정교합이나 아데노이드 얼굴(adenoid face)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있고, 알레르기 경례(allergic salute), 알레르기 주름(nasal crease) 및 알레르기 샤이너(allergic shiner)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
알레르기 비염의 관련 요인은? 4%였다. 또한, 알레르기 비염 관련요인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스트레스, 우울증,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이었다. 대상자는 성별이 남성인 경우보다 여성인 경우, 연령이 낮아지는 경우, 결혼여부가 미혼인 경우보다 기혼인 경우,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우울증,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알레르기 비염 발생이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 Yoo, Y. Park, K. Park, H. Kim, "A 9-year trend i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J Prev Med Public Health, vol. 48, no. 6, pp. 301-309, November, 2015. DOI: http://dx.doi.org/10.3961/jpmph.15.011 

  2. D. Im, Y. S. Yang, H. R. Choi, S. Choi, H. Nahm, K. Han, S. C. Hong, J. K. Kim, J. H. Cho,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vol. 60, no. 10, pp. 504-511, October, 2017.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7.00185 

  3. S. M. Lee, S. P. Lee,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of allergic rhinitis," Korean J Med, vol. 85, no. 5, pp. 445-451, November, 2013. DOI: http://dx.doi.org/10.3904/kjm.2013.85.5.445 

  4. S. Y. Kim, S. J. Yoon, M. W. Jo, E. J. Kim, H. J. Kim, I. H. Oh,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 Am J Rhinol Allergy, vol. 24, no. 5, pp. e110-e113, September, 2010. DOI: https://doi.org/10.2500/ajra.2010.24.3513 

  5. C. W. Kim, "Current update on allergic rhinitis," Korean J Med, vol. 82, no. 3, pp. 298-303, March 2012. DOI: http://dx.doi.org/10.3904/kjm.2012.82.3.298 

  6. H. S. Lee, E. Par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llergic rhinitis-specific quality of life (ARSQOL) scale for adults," J Korean Acad Nurs, vol. 46, no. 5, pp. 675-686, October, 2016. DOI: https://doi.org/10.4040/jkan.2016.46.5.675 

  7. M. O. Chae,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among Korean adolescent by gender: Based on 2016 12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JKAIS, vol. 18, no. 6, pp. 343-355, June,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6.343 

  8. S. H. Hwang, S. Y. Jung, D. H. Lim, B. K. Son, J. H. Kim, J. M. Yang, I. B. Oh, Y. Kim, J. H. Lee, K. H. Lee, S. Y. Kim, S. C. Hong, H. S. Lee, "Epidemiology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n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vol. 1, no. 4, pp. 321-332, December, 2013. DOI: http://dx.doi.org/10.4168/aard.2013.1.4.321 

  9. D. H. Kim, Y. S. Park, H. J. Jang, J. H. Kim, D. H. Lim, "Prevalence and allergen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n children," Am J Rhinol Allergy, vol. 30, no. 3, pp. 72-78, May, 2016. DOI: http://dx.doi.org/10.2500/ajra.2013.27.4317 

  10. K. Ahn, J. Kim, H. J. Kwon, Y. Chae, M. I. Hahm, K. J. Lee, Y. M. Park, S. Y. Lee, M. Han, W. K. Kim,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using complex sampling design," J Korean Med Assoc, vol. 54, no. 7, pp. 769-778, July,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7.769 

  11. H. M. Lee, H. W. Oh, S. P. Yoon, Y. W. Yoon, C. H. Jo,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revalance of adult allergic disease: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Korean J Fam Pract, vol. 6, no. 3, pp. 185-190, June, 2016. DOI: http://dx.doi.org/10.21215/kjfp.2016.6.3.185 

  12. J. H. Keum, J. Y. Shin, K. J. Sohn, "Socioeconomic status and allergic rhinitis in Korean adults: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am Pract, vol. 6, no. 5, pp. 484-488, October, 2016. DOI: https://doi.org/10.21215/kjfp.2016.6.5.484 

  13. S. Y. An, H. G. Choi, S. W. Kim, B. Park, J. S. Lee, J. H. Jang, M. W. Sung, "Analysis of various risk factors predisposing subjects to allergic rhinitis," Asian Pac J Allergy Immunol, vol. 33, no. 2, pp. 143-151, June, 2015. DOI: http://dx.doi.org/10.12932/AP0554.33.2.2015 

  14. H. R. Jeon, Y. S. Choi, S. M. Kim, S. J. Yoon, J. W. Kim, M. Kim, J. Y. Lee, J. H. Yoon, "Association between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and allergic rhinitis -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Allergy Asthma Respir Dis, vol. 5, no. 6, pp. 344-350, November, 2017. DOI: https://doi.org/10.4168/aard.2017.5.6.344 

  15. D. H. Kim, K. Han, S. W. Kim,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mental health in the general Korean adult population," Allergy Asthma Immunol Res, vol. 8, no. 1, pp. 49-54, January, 2016. DOI: http://dx.doi.org/10.4168/aair.2016.8.1.49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2016, pp. 1-30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even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uideline, pp. 1-38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18. M. Osman, A. L. Hansell, C. R. Simpson, J. Hollowell, P. J. Helms, "Gender-specific presentations for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eczema in primary care," NPJ Prim Care Respir Med, vol. 16, no. 1, pp. 28-35, February, 2007. DOI: https://doi.org/10.3132/pcrj.2007.00006 

  19. S. S. AlShehri, K. Abou-Elhamd, "Is marriage a risk factor for allergic rhinitis?,", Otolaryngol (Sunnyvale), vol. 6, no. 5, pp. 267-267, October, 2016. DOI: http://dx.doi.org/10.4172/2161-119X.1000267 

  20. R. A. Sansone, L. A. Sansone, "Allergic rhinitis: Relationships with anxiety and mood syndromes," Innov Clin Neurosci, vol. 8, no. 7, pp. 12-17, July, 2011. 

  21. S. B. Patten, J. V. A. Williams, "Selfreported allerg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several axis I disorders in a community sample," Int J Psychiatry Med, vol. 37, no. 1, pp. 11-22, March, 2007. DOI: https://doi.org/10.2190/L811-0738-10NG-7157 

  22. B, Cuffel, M. Wamboldt, L. Borish, S. Kennedy, J. Crystal-Peters, "Economic consequences of comorbid depression, anxiety, and allergic rhinitis," Psychosomatics, vol. 40, no. 6, pp. 491-496, November-December, 1999. DOI: https://doi.org/10.1016/S0033-3182(99)71187-4 

  23. K. H. Kim, A. Y. Park, J. S. Kim, "Factor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ul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8," Korean J Rehabil Nurs, vol. 15, no. 2, pp. 83-90, December, 2012. DOI:http://dx.doi.org/10.7587/kjrehn.2012.83 

  24. G. Y. Hur,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Korean J Med, vol. 85, no. 5, pp. 463-468, November, 2013. DOI: http://dx.doi.org/10.3904/kjm.2013.85.5.463 

  25. J. Bousquet, H. J. Schunemann, B. Samolinski, P. Demoly, C. E. Baena-Cagnani, C. Bachert, et al.,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Achievements in 10 years and future needs," J Allergy Clin Immunol, vol. 130, no. 5, pp. 1049-1062, November, 2012. DOI: https://doi.org/10.1016/j.jaci.2012.07.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