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전방사를 통한 환경기능성 미세섬유 제조 및 특성분석 - 실내환경 CO2 포집용 건식흡착소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vironmental Functional Nanofibers by electrospun nanofibers-Dry sorption material for indoor CO2 capt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938 - 943  

김은주 (우송정보대학 스마트경영학부) ,  박경렬 (우송정보대학 병원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전압 정전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를 직조하였다. 정전방사장치는 액상의 고분자를 방출하는 펌프, 노즐과 노즐회전자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의 포집판을 설치하여 방사되는 섬유를 포집하였다. 정전방사방법을 이용하여 매우 미세한 나노굵기의 섬유를 제조하고,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미세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화학작용기를 분포시켜 저농도의 이산화탄소 분자를 포집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실내공기중에 존재하는 저농도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는 섬유상 흡착제를 제조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화학작용기는 이산화탄소 분자와의 상호 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포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정전방사식으로 제조한 섬유의 굵기는 250-350 nm 였으며, 생성된 미세공은 0.6에서 0.7 nm 이고, 평균 비표면적은 $569m^2/g$였다. 순수 이산화탄소 흐름과 실내공간에서 흔히 발견되는 0.3% 수준의 농도에 대하여 포집실험을 한 결과, 각각 1.08 mmol/g과 0.013 mmol/g에서 2.2 mmol/g과 0.144 mmol/g으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포집량 증가는 나노섬유상 흡착제의 비표면적 대비 미세공의 비율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화학적 상호인력의 특성을 활용하여 저농도에서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n nano-sized fibres were prepared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The spinning appratus consisted of pump for polymer injection, nozzle and nozzle rotus, and an aluminum plate collected the polymer fibers. Its surface was chemically modified for selective improved adsorption of carbon monoxide at 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중이용실내공간에서 자주 발견되는 저농도 이산화탄소를 관리하기 위한 건식포집기술에 관한 내용으로서 미세한 섬유를 흡착포집체로 활용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산화칼륨으로 표면을 화학 처리함으로써 섬유의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개선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상온에서 가동이 가능한 실내환경 관리용으로서의 이산화탄소 흡착제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이지만, 우선 순수 이산화탄소 흐름을 조성하여 나노섬유 흡착제의 포집성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 온도변화에 따른 나노섬유의 열적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TGA 장비에서 순수질소를 공급하면서 5℃/min의승온 속도로 가열하며 약 4시간 동안 열분해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험제조한 나노섬유 시료들의 열적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탄소는 무엇인가? 이산화탄소는 지하철, 버스, 대형 쇼핑몰, 병원, 사무실 등의 공기질을 결정하는 인자 가운데 하나이다. 실제로 서울을 운행하는 지하철이나 장거리 버스 내부는 3,000 ppm을 상회하여 국가 다중이용실내공간에 대한기준인 1,000 ppm의 세 배를 초과하기도 한다 [1].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 관리기법은 건식방법이 타당한 이유는? 실제로 서울을 운행하는 지하철이나 장거리 버스 내부는 3,000 ppm을 상회하여 국가 다중이용실내공간에 대한기준인 1,000 ppm의 세 배를 초과하기도 한다 [1]. 그러나 실내공간 중 이산화탄소는 연소공정에서 배출되는 고농도 이산화탄소 관리기법인 아민을 이용하는 습식기법과는 달리 시민들에게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을 고러하는 건식방법이 타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정전방사법을 통해 나노 섬유를 만드는 데 있어 PAN이 좋은 이유는? 고분자 전구체인 PAN은 질소원자가 포함되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알칼리성 작용기를 활성화과정에서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하였다. 아울러 정전방사 시 직조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구조나 화학적 구성요소가 안정되어 있는 물질이다. 궁극적으로 PAN의 분자구조를 공기중에서 사다리형태로 재구성하며 최종 섬유의 고온 내구성과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시험소재로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 F. C. Chauque, L. N. Dlamini, A. A. Adelodun, C. Greyling, N. J. Catherine, Modification of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with EDTA for the removal of Cd and Cr ions from water effluents. Applied Surface Science, vol. 369, pp.19-28, 2016. DOI: https://doi.org/10.1016/j.apsusc.2016.02.018 

  2. K. M. Lee, Y. M. Jo, Ambient Adsorption of Low-level Carbon Dioxide by Metal Treated Activated Carb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5, pp. 316-324, 2009. DOI: https://doi.org/10.5572/KOSAE.2009.25.4.316 

  3. S. H. Hwang, D. W. Kim, D. W. Jung, Y. M. Jo, Impregnation of Nitrogen Functionalities on Activated Carbon Fiber Adsorbents for Low-level $CO_2$ Cap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2, pp. 176-183, 2016. DOI: https://doi.org/10.5572/KOSAE.2016.32.2.176 

  4. Y. M. Cho, D. S. Park, S. B. Kwon, J. Y. Lee, Y. H. Hwang, Study on the Removal of Carbon Dioxide in the Subway Cabin Using Zeolite Type Carbon Dioxide Adsorb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4, pp. 1-5, 2011. DOI: https://doi.org/10.5572/KOSAE.2014.30.2.175 

  5. A. A. Adelodun, K. H. Kim, J. C. Ngila, J. Szulejko, A review on the effect of amination pretreatment for the selective separation of $CO_2$ . Applied Energy, vol. 158, pp. 631-642, 2016. DOI: https://doi.org/10.1016/j.apenergy.2015.08.107 

  6. P. T. Peter, S. G. Heidi, G. Phillip, Different electrostatic methods for making electret filters. Journal of Electrostatics, vol. 54, pp. 333-341, 2002. DOI: https://doi.org/10.1016/S0304-3886(01)00160-7 

  7. W. Xu, R. Shen, Y. Yan, J. Gao,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alginate/PLA nanofibers as tissue engineering material by emulsion eletrospinning, J. of Mech Behav Biomed Materials, vol. 65, pp. 428-438, 2007. DOI: https://doi.org/10.1016/j.jmbbm.2016.09.012 

  8. M. S. Rahaman, A. F. Ismail, A. Mustafa, A review of heat treatment on polyacrylonitrile fiber,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92, pp. 1421-1432, 2007. DOI: https://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7.03.023 

  9. H. Yuan, L. Y. Meng, S. J. Park, KOH-activated graphite nanofibers as $CO_2$ adsorbents, Carbon letters, vol. 19, pp. 99-103, 2016. DOI: https://doi.org/10.5714/CL.2016.19.099 

  10. H. Y. Hsiao, C. M. Huang, M. Y. Hsu, H. Chen, Preparation of high-surface-area PAN-based activated carbon by solution-blowing process for $CO_2$ adsorptio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vol. 82, pp. 19-27, 2007. DOI: https://doi.org/10.1016/j.seppur.2011.08.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