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urkholderia sp. OS17의 항균활성 증진을 위한 배양최적화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urkholderia sp. strains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4 no.4, 2018년, pp.428 - 435  

남영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배양기술개발부) ,  최아영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배양기술개발부) ,  황병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산업소재화연구부) ,  정유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배양기술개발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담수환경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미생물을 발굴하고, 활성 증진을 위해 배양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상주시 중동면 오상저수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38종의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근거하여 Proteobacteria강(22종), Actinobacteria강(7종), Bacteroidetes강(6종), Firmicutes강(3종)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군 등 10종의 유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유한 Burkholderia sp. OS17 균주를 선발하였다. 항균활성 증진을 위한 상용배지, 온도, 초기 pH별 생육 및 항균활성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OS17 균주는 YPD 배지, $35^{\circ}C$, pH 6.5로 배양했을 때 가장 활성이 높았다. LB, NB, TSB, R2A 배지와 $20^{\circ}C$, $25^{\circ}C$ 배양했을 때는 생장은 가능하나 항균활성이 전혀 없었다. 이전결과를 바탕으로 YPD 배지, $35^{\circ}C$에서 배양하면서 5 L fermenter를 이용하여 생육, 항균활성, pH 확인을 통해 배양 48시간을 최적 배양시간으로 선정하였다. 항균활성을 보유한 미생물의 배양 최적화는 항균물질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상업적 응용에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identified bacteria from freshwater and soil collected from Osang reservoir, to screen antimicrobial bacteria against various pathogenic bacteria. 38 strains were isolated and assigned to the class Proteobacteria (22 strains), Actinobacteria (7 strains), Bacteroidet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담수환경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미생물을 발굴하고, 활성 증진을 위해 배양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상주시 중동면 오상저수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38종의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담수미생물을 발굴 하고 항균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배양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 이에 향후, 공통 피크에서 나타난 항균물질을 순수하게 정제하여 단일 물질로 인해 나타난 것인지 확인하고,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규명하고 자 한다. 아울러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인체에 대한 독성여부도 파악하여, 항생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OS17 균주는 특정배양조건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HPLC 분석을 통해 활성을 보유한 피크를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공통 피크에서 나타난 항균물질을 순수하게 정제하여 단일 물질로 인해 나타난 것인지 확인하고,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규명하고 자 한다. 아울러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인체에 대한 독성여부도 파악하여, 항생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의 세포생장성과 항생물질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항균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산업이 각광을 받으면서 대장균, 효모 등 미생물들의 유용물질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배양조건, 정제공정 등의 최적화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전의 많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환경요인, pH, 온도, 공기량 등의 배양조건이 미생물의 세포생장성과 항생물질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Guerra-Santos et al., 1986; AbdelMawgoud et al.
Burkholderia 속 미생물이 생산할 수 있는 항균제는 무엇이 있는가? , 2011). 잘 알려진 종류로는 pyrrolnitrin (Cartwright et al., 1995), altericidins (Kirinuki et al., 1977), cepacin A와 cepacin B (Parke et al., 1984), pseudoanes 과 cepacidines A와 B (Meyers et al., 1987), pseudane (Homma et al., 1989), phenazine (Cartwright et al., 1995), cepaciamides A와 B (Jiao et al., 1996), quinolinone (Moon et al., 1996), lipo-peptides와 AFC-BC11 (Kang et al., 1998), CF661 (Quan et al., 2006)를 포함한다.
항생물질은 무엇인가? 항생물질이란 모든 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이러한 물질로 만든 약을 항생제(antibiotics) 또는 항균제(antimicrobial agents)라는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1960년도 들어서면서부터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이 출현하면서 현재는 항생제 내성균과도 대항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새로운 대사물질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del-Mawgoud AM, Abouwafa MM, and Hassouna NA. 2008. Optimization of surfactin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isolate BS5. Appl. Biochem. Biotechnol. 150, 305-325. 

  2. Cartwright DK, Chilton WS, and Benson DM. 1995. Pyrrolnitrin and phenazine production by Pseudomonas cepacia, strain 5.5B, a biocontrol agent of Rhizoctonia solani. Appl. Microbiol. Biotechnol. 43, 211-216. 

  3. Farh Mel A, Kim YJ, Van An H, Sukweenadhi J, Singh P, Huq MA, and Yang DC. 2015. Burkholderia ginsengiterrae sp. nov. and Burkholderia panaciterrae sp. nov.,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root rot pathogen Cylindrocarpon destructans, isolated from ginseng soil. Arch. Microbiol. 197, 439-447. 

  4.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5. Fitch WM. 1971. Toward defining the course of evolution: Minimum change for a specific tree topology. Syst. Zool. 20, 406-416. 

  6. Guerra-Santos LH, Kappeli O, and Fiechter A. 1986. Dependence of Pseudomonas aeruginosa continous culture biosurfactant production on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443-448. 

  7.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Ser. 41, 95-98. 

  8. Homma Y, Sato Z, Hirayama F, Konno K, Shirahama H, and Suzui T. 1989. Production of antibiotics by Pseudomonas cepacia as an agent for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Soil Biol. Biochem. 21, 723-728. 

  9. Jiao Y, Yoshihara T, Ishikuri S, Uchino H, and Ichihara A. 1996.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cepaciamide A, a novel fungitoxic compound from Pseudomonas cepacia D-202. Tetrahedron Lett. 37, 1039-1042. 

  10. Kang Y, Carlson R, Tharpe W, and Schell MA. 1998. Characterization of genes involved in biosynthesis of a novel antibiotic from Burkholderia cepacia BC11 and their role in biological control of Rhizoctonia solani. Appl. Environ. Microbiol. 64, 3939-3947. 

  11. Kirinuki T, Iwanuma K, Suzuki N, Fukami H, and Ueno T. 1977. Altericidins, a complex polypeptide antibiotic, produced by Pseudomonas sp. and their effect for the control of black spot of pear caused by Alternaria kikuchiana Tanaka. Sci. Rep. Fac. Agric.-Kobe Univ. (Japan) 12, 223-230. 

  12. Kumar S, Stecher G, and Tamura K. 2016.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33, 1870-1874. 

  13. Mahenthiralingam E, Song L, Sass A, White J, Wilmot C, Marchbank A, Boaisha O, Paine J, Knight D, and Challis GL. 2011. Enacyloxins are products of an unusual hybrid modular polyketide synthase encoded by a cryptic Burkholderia ambifaria genomic island. Chem. Biol. 18, 665-677. 

  14. Meyers E, Bisacchi GS, Dean L, Liu WC, Minassian B, Slusarchyk DS, Sykes RB, Tanaka SK, and Trejo W. 1987. Xylocandin: a new complex of antifungal peptides. I. Taxonomy,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 40, 1515-1519. 

  15. Moon SS, Kang PM, Park KS, and Kim CH. 1996. Plant growth promoting and fungicidal 4-quinolinones from Pseudomonas cepacia. Phytochemistry 42, 365-368. 

  16. Parker WL, Rathnum ML, Seiner V, Trejo WH, Principe PA, and Sykes RB. 1984. Cepacin A and cepacin B, two new antibiotics produced by Pseudomonas cepacia. J. Antibiot (Tokyo). 37, 431-440. 

  17. Parra-Cota Fl, Pena-Cabriales JJ, de Los Santos-Villalobos S, Martinez-Gallardo NA, and Delano-Frier JP. 2014. Burkholderia ambifaria and B. caribensis promote growth and increase yield in grain amaranth (Amaranthus cruentus and A. hypochondriacus) by improving plant nitrogen uptake. PLoS One 9, e88094. 

  18. Quan CS, Zheng W, Liu Q, Ohta Y, and Fan SD.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urkholderia cepacia with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Appl. Microbiol. Biotechnol. 72, 1276-1284. 

  19. Saga T and Yamaguchi K. 2009. History of antimicrobial agents and resistant bacteria. JMAJ 52, 103-108. 

  20.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21. Suarez-Moreno ZR, Coutinho BG, Mendonca-Previato L, Previato L, James EK, and Venturi V. 2012. Common features of environmental and potentially beneficial plant-associated Burkholderia. Microb. Ecol. 63, 249-266. 

  22. Tawfik KA, Jeffs P, Bray B, Dubay G, Falkinham JO, Mesbah M, Youssef D, Khalifa S, and Schmidt EW. 2010. Burkholdines 1097 and 1229, potent antifungal peptides from Burkholderia ambifaria 2.2N. Org. Lett. 12, 664-666. 

  23.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and Higgins DG.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24. Vial L, Lepine F, Milot S, Groleau MC, Dekimpe V, Woods DE, and Deziel E. 2008. Burkholderia pseudomallei, B. thailandensis, and B. ambifaria produce 4-hydroxy-2-alkylquinoline analogues with a methyl group at the 3 position that is required for quorumsensing regulation. J. Bacteriol. 190, 5339-5352. 

  25. Vandamme P, Opelt K, Knochel N, Berg C, Schonmann S, Brandt E, Eberl L, Falsen E, and Berg G. 2007. Burkholderia bryophila sp. nov. and Burkholderia megapolitana sp. nov., moss-associated species with antifungal and plant-growth-promoting properties. Syst. Evol. Microbiol. 57, 2228-2235. 

  26. Yabuuchi E, Kosako Y, Oyaizu H, Yano I, Hotta H, Hashimoto Y, Ezaki T, and Arakawa M. 1992. Proposal of Burkholderia gen. nov. and transfer of seven species of the genus Pseudomonas homology group II to the new genus, with the type species Burkholderia cepacia (Palleroni and Holmes, 1981) comb. nov. Microbiol. Immunol. 36, 1251-1275. 

  27. Yoon S, Ha S, Kwon S, Lim J, Kim Y, Seo H, and Chun J. 2017. Introducing EzBioCloud: a taxonomically united database of 16S rRNA gene sequences and whole-genome assembl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7, 1613-1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