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수 롤러의 거동 분석을 위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Oscillatory Behavior of Hydraulic Jump Roller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0 no.6, 2018년, pp.319 - 325  

박문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연구보전본부) ,  김형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연구보전본부) ,  최서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연구보전본부) ,  류용욱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수(hydraulic jump)의 롤러(roller)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영상기법을 이용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석단파(tidal bore)의 거동 특성의 이해에 적용하기 위해 하류심 상승에 따른 도수 전면부의 파형과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도수의 변동성을 고려한 앙상블평균 기법을 적용하여 얻은 파형을 제시하여 시간평균 결과와 비교하였다. 앙상블평균의 기준이 된 도수시작점의 시간적 변화로부터 도수 전면부의 변동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하류심 상승에 따라 전면 파형은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작점 변동성은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oscillatory behavior of the hydraulic jump roller.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hydraulic jump and tidal bore, the behavior of the front face of hydraulic jump with increasing downstream water depth was studied focusing on profile and fluctu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수의 롤러를 측정하기 위해 그림자기법을 적용한 영상측정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기법은 유동장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유동 가시화(flow visualization) 기술의 하나로서 유체의 이동현상(transport phenomena)을 이해하기 위한 효율적인 기법이다. 유동 가시화는 현유체 현상을 순간적으로 제시하고자하기 때문에 영상 혹은 공간적인 분포의 형태로 보여지며, 따라서 광학적 특성의 이해가 가시화의 질을 결정한다.
  • 유속이 작은 경우에도 큰 유속 변화는 상대적으로 큰 충격량을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이동 및 에너지 소산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수시작점의 변동 성분으로부터 시계열을 갖는 도수시작점 분포가 특정 주기를 갖는 변동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도수의 롤러가 하류심의 변화에 대한 거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는 조석단파(tidal bore)가 해수심이 상승함에 따라 도수 롤러 형태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하천 유출부로 접근하는 현상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석단파를 이해하고자 도수 롤러의 거동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롤러의 수면 변동성을 비접촉식 측정방법인 영상기법으로 측정하였다. 조석단파가 해수면이 상승하며 발생하고 이동하므로 도수의 하류수위를 상승시키며 수면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류심 상승에 따른 도수 롤러 주변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수는 난류성이 큰 흐름으로서 변동성이 심한 거동 특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도수에서 가장 큰 난류도를 나타내는 롤러가 자유수면 근처에 위치하므로 수면 변동성은 더욱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 조석단파가 해수면이 상승하며 발생하고 이동하므로 도수의 하류수위를 상승시키며 수면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인 도수 연구의 경우 롤러가 발생하기 이전의 일정수심 구간의 수심 및 유속을 이용하여 Froude 수를 결정하고 해당 조건에서 발생하는 도수를 분석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석단파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 하류수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며 발생하는 도수 롤러 주변의 수면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수면 측정을 위해 그림자기법(Shadowgraphy)을 적용한 영상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수면의 순간(instantaneous) 분포 및 평균 값을 분석하였다.
  • 도수시작점의 시간적 분포는 그림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일정한 크기의 진동 폭을 나타낸다. 평균 지점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으로 하류심을 조절하여 얻었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시작점의 변동성 확인을 위한 편차를 검토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석단파는 언제 발생하는가? 강한 난류성 흐름은 에너지소산 및 저면의 유사 이동에 큰 영향을 주며, 또한 연행된 기포로 인해 다상흐름으로 변하면서 난류상호작용이 증폭된다. 조석단파는 조석의 창조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롤러에 대한 이해는 난류흐름에 중요한 열쇠이며, 롤러가 형성된 후의 조석단파는 이동하는 도수로서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Leng and Chanson, 2015). Chanson(2012)의 연구에서는 도수와 조석단파의 파형을 비교하며 그 유사성을 제시하였다.
롤러(roller)는 무엇인가 이때 조석파의 전면부는 전파방향의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하천흐름에 의해 역순환하는 와류부를 갖는다. 흐름 강도에 따라 역순환 와류부는 기포를 연행하기도 하는데 이를 롤러(roller)라 하며 도수(hydraulic jump)와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Peregrine and Svendsen, 1978). 도수의 롤러는 큰 운동에너지에 의해 발생함에 따라 난류도가 큰 흐름의 양상을 나타낸다.
그림자기법을 적용한 영상측정기법의 효과는? 본 연구는 도수의 롤러를 측정하기 위해 그림자기법을 적용한 영상측정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기법은 유동장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유동 가시화(flow visualization) 기술의 하나로서 유체의 이동현상(transport phenomena)을 이해하기 위한 효율적인 기법이다. 유동 가시화는 현유체 현상을 순간적으로 제시하고자하기 때문에 영상 혹은 공간적인 분포의 형태로 보여지며, 따라서 광학적 특성의 이해가 가시화의 질을 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ang, K.-A. and Liu, P.L.-F. (1999).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urbulence generated by breaking waves in water of intermediate depth. Physics of Fluids, 11, 3390-3400. 

  2. Chanson, H. (2012). Momentum considerations in hydraulic jumps and bore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38(4), 382-385. 

  3. Leng, X. and Chanson, H. (2015). Turbulent advances of a breaking bore: Preliminary physical experiments. Experimental Thermal Fluid Science, 62, 70-77. 

  4. Long, D., Rajaratnam, N., Steffler, P.M. and Smy, P.R. (1991). Structure of flow in hydraulic jump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29(2), 207-218. 

  5. Mossa, M. (1999). On the oscillating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jump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37(4), 541-558. 

  6. Murzyn, F. and Chanson, H. (2009). Free-surface fluctuations in hydraulic jumps: experimental observations. Experimental Thermal Fluid Science, 33(7), 1055-1064. 

  7. Peregrine, D.H. and Svendsen, I.A. (1978). Spilling breakers, bores and hydraulic jumps, in: A.D. Short (Ed.), Proc. of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ASCE, Hamburg, Germany, 540-550 (Chapter 30). 

  8. Ryu, Y., Chang, K.-A. and Lim, H.-J. (2005). Use of bubble image velocimetry for measurement of plunging wave impinging on structure and associated greenwater.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16, 1945-1953. 

  9. Ryu, Y.U., Lee, J.I. and Kim, Y.T. (2007). Runup and overtopping velocity due to wave break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9(6), 606-6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