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 및 여가 활동 참여동기에 따른 세분시장별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행동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urchase Behavior of Athleisure Wear by Segmental Market according to Sports and Leisure Participa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6, 2018년, pp.1025 - 1038  

김세나 (중앙대학교 디자인학과) ,  오경화 (중앙대학교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on athleisure wear purchase behavior and focuses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es in sports leisure activity. This research compares athleisure wear purchase behavior among the three groups segmented by participation motives for sport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웰빙, 워라밸, 욜로 등과 같은 건강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관련 트렌드와 이에 따른 애슬레저 웨어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들의 스포츠 여가 활동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스포츠 여가 활동 참여동기 세분시장별 애슬레저 웨어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스포츠 여가 활동 참여동기를 유형화하고 소비자 세분시장별 애슬레저 웨어 구매 시 탐색정보원, 의류제품선택기준, 제품구매이유, 구매장소, 매장방문 의도, 브랜드및 아이템 선호도, 중요고려기능성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스포츠 여가 활동 참여동기를 파악하여 애슬레저웨어 소비자의구매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의류구매행동에 있어 스포츠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있다.
  • 본 연구의 실무적인 시사점은 국내 애슬레저 웨어 시장의 성장기인 현 시점에 소비자 세분집단별애슬레저 웨어구매 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 여가에 참여하는 소극적 동기집단, 사교교류 집단, 웰니스집단의 애슬레저 웨어 구매행동을 조사하여 향후 패션기업 및 브랜드에게 애슬레저 웨어 브랜드 포지셔닝과 소비자 타겟별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행동을 스포츠 및 여가 활동 참여동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동기 외에 다른 심리적인 요인이 더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웰빙, 워라밸, 욜로 등과 같은 건강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관련 트렌드와 이에 따른 애슬레저 웨어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들의 스포츠 여가 활동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스포츠 여가 활동 참여동기 세분시장별 애슬레저 웨어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및 여가 활동 참여동기 세분집단에 따라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행동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밝혀 세분시장별 소비자기호에 맞는 광고 및 프로모션 툴 개발과 애슬레저 웨어 제품개발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의류제품구매행동 변인들에는 구매동기, 정보원, 의류제품선택기준, 구매점포형태, 의류구매 시 소요시간, 방문점포수, 의류구매 시 동행자, 구매횟수, 선호 브랜드 유형, 의류 불만족 요인 등이 있다(Jung & Lee, 2011). 본 연구에서는 애슬레저 웨어 구매행동 관련 변인으로 정보탐색 시 중요 정보원과 의류제품 구매 시 소비자들의 구매이유, 제품선택기준, 구매장소, 매장방문의도, 애슬레저 웨어 브랜드 및 아이템 선호도, 기능성 관련 추구 혜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애슬레저 웨어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향후 관련 소비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고려하여 연구대상을 기존에 애슬레저 웨어를 구매했던 소비자로 제한하지 않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포츠 및 여가 참여인구가 늘고 애슬 레저 웨어 브랜드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 진행되어, 애슬레저 웨어 소비자 타겟을 정확히 파악하고 세분시장별 마켓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 스포츠 여가 활동 참여동기 집단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주로 많이 하는 스포츠 여가 활동을 추가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는 소비자집단에 따라 어떠한 스포츠 여가 활동을 자주하는지, 혹은 선호하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광고나 브랜드 캠페인 및 이벤트 전략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 또한 스포츠 및 여가 활동 참여동기가 제품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션시장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애슬레저 웨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스포츠 레처 활동 참여동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및 여가 활동을 하게 만드는 심리적인 측면, 즉 동기에 주목하여 20~50대 전국 남녀 31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포츠 및 여가 활동 참여 동기는 무엇인지 알아본 후, 집단을 세분화하여 세분집단별 애슬레저 웨어 구매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애슬레저 웨어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향후 관련 소비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고려하여 연구대상을 기존에 애슬레저 웨어를 구매했던 소비자로 제한하지 않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색정보원의 역할은 무엇인가? 탐색정보원은 소비자들이 구매의사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탐색을 할 때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정보원천을 뜻하며,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소비자의 불확실성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Roh, 2002).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 (Roh, 2002)에서는 정보원의 하위 차원을 대중매체 정보원, 대인적 정보원, 경험적 정보원으로 분류하였으며, 의복구매빈도가 높은 집단은 경험적 정보원을, 의류구입 비용이 많은 집단은 대중매체 정보원과 경험적 정보원을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란 무엇인가? 동기란 인간이 충족되기 원하는 필요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위해 행동하게 만드는 과정을 뜻한다(Solomon et al., 1999).
현대인들의 여가 및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여가의 인식이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계발하고 자신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자기충족적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Park and Joo(2006)에 따르면 평균수명 증가, 정년 퇴임연령 감소, 노동시간 단축 등의 사회 변화가 향후 여가의 중요성을 뒷받침해주는 사회 변화라 지적하였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여가 및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욕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여가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hn, B. W. (2012).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last intentio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wellness in leisure sports-based tourism activity. Journal of Wellness, 7(4), 1-13. 

  2. Bansal, H., & Eiselt, H. A. (2004). Exploratory research of tourist motivations and planning. Tourism Management, 25 (3), 387-396. doi:10.1016/S0261-5177(03)00135-3 

  3. Beard, J. G., & Ragheb, M, G. (1983). Measuring leisure motiv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3), 219-228. doi:10.1080/00222216.1983.11969557 

  4. Chae, K. S. (2010). Analysis of the influence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of badminton club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leisur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5. Chang, B. C. (2016, October 19). How long will athleisure heat last ...? 'The market is already overflowing'. Apparelnews. Retrieved July 20, 2018, From http://www.apparelnew.co.kr/naver/view.php?iid63191 

  6. Chung, S. J. (2015). Middle-aged female consumers' buying behavior of outdoor sportswear.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3), 99-113. 

  7. Hwang, J. S. (2004). Sportswear benefit segments: Attitude toward domestic and imported brands, shopp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5), 690-700. 

  8. Iso-Ahola, S. 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C. Brown Co. Publishers. 

  9. Jeon, M. J., Oh, H. S., & Kim, J. W. (2012). A study on the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5(3), 199-208. 

  10. Jung, H. J., & Lee, Y. (2011). The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of 20s-30s and 40s-50s male consumers on their men's suit buy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125-135. doi:10.5850/jksct.2011.35.2.125 

  11. Jung, H. J., & Oh, K. W. (2016). Devote to the welfare of human beings: Types, motives, and emotions of ethical consumption as revealed by social big data.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7(4), 875-893. doi:10.21074/kjlcap.2016.17.4.875 

  12. Kerby, J. K. (1975). Consumer behavior: Conceptual foundations. New York, NY: Dun-Donnelley Publishing Corporation. 

  13. Kim, J. W. (2013). A study on outdoor wear's purchase behavior by middle school students' tendency of clothing shopping- Focused on middle school boys in Gyeonggido-.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1(1), 90-102. 

  14. Kim, J. Y., & Kim, S. H. (2015). A study on scale of participation motive for leisure spor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3), 439-452. 

  15. Kim, M. J., & Lee, S. H. (2004). A study on men's suit purchasing behaviors (Part II) Focus on men in their 20's-4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 (5), 615-625. 

  16. Kim, M. S. (2016, September 3). "It's perfect for sports" ... Fashion industry focusing on 'athleisure' wear market. News1. Retrieved April 11, 2018, from http://news1.kr/articles/?2762200 

  17. Kim, R. D., Jeon, M. Y., Lee, H. E., Lee, J. Y., Kim, S. Y., Choi, J., Lee, S. J., & Suh, Y. H. (2017). Trend Korea 2018. Seoul: Miraebook Publishing Co. 

  18. Kim, S. H. (2005).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3), 33-46. 

  19. Kim, S. H., & Jang, S. Y. (2003).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leisure motivations, constraints and flow experience.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25, 69-86. 

  20. Kim, S. H., Hwang, S. Y., & Kim, Y. I. (2007). A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lifestyle types in motivation and the effect of motivation on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6(3), 35-50. 

  21. Kim, S. N., Jung, H. J., & Oh, K. W. (2017). The effects of lifestyles on pursuing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of athleisure wea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 (6), 723-735. doi:10.5805/SFTI.2017.19.6.723 

  22. Kim, S. Y. (2010). The influence that the perceived freedom of nature-friendly leisure sports participants has on the psychological happines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8(2), 331-339. 

  23. Ko, D. W. (2002). Leisure motivation and experiences: Dual drives model and dual paths experiences model.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3(2), 1-23. 

  24. Ko, Y. K., & Kwak, Y. D.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e and satisfaction on the prospective intention in sports tourism: Focused on national mountain bike race of Muju.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30(1), 97-111. 

  25. Kwak, S. M. (2018, February 8). Mulawear' 'Andar' 'Avocado'… athleisure new face opens new market. Fashionbiz. Retrieved April 7, 2018, from http://www.fashionbiz.co.kr/article/view.asp?idx165082 

  26. Kwon, J. (2016). A study on the athleisure of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4), 101-116. 

  27. Kwon, J. S. (2017). Athleisure of the expression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i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2), 25-35. dol:10.21184/jkeia.2017.02.11.2.25 

  28. Lee, H. R. (2011).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by benefits sought by consumers of outdoor it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Yongin. 

  29. Lee, J. N., Park, O. R., & Lee, D. C. (2006).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rchase behavior of outdoor wear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3), 1147-1159. 

  30. Lee, J. Y. (2017, May 14). Women who work out fashionably 'took over' sportswear market. Weconomy. Retrieved September 1, 2018, from http://www.hani.co.kr/arti/economy/consumer/794608.html 

  31. Lee, K. Y. (2018). A study on athleisure look in current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4(1), 443-453. doi:10.18208/ksdc.2018.24.1.443 

  32. Lee, K. Y., & Jeong, S. H. (2013). Effects of Facebook us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on brand equity: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brand identification and customer-brand relationship as intermediating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1(3), 29-57. 

  33. Lee, M. J. (2017, August 1). The world's top 100 value brands, fashion?. Fashionbiz. Retrieved August 20, 2017, from https://www.fashionbiz.co.kr/WW/main.asp?idx161767 

  3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December). 2016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August 2, 2018, from http://www.mcst.go.kr/web/s_policy/dept/deptView.jsp?pMenuCD0406000000&pSeq1662 

  3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December). 2017 Survey o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n national lif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August 2, 2018, from http://www.mcst.go.kr/web/s_policy/dept/deptView.jsp?pMenuCD0406000000&pSeq1688 

  36. Nam, C., Dong, H., & Lee, Y. A. (2017).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green sportswear. Fashion and Textiles, 4:2. doi:10.1186/s40691-017-0091-3 

  37. Nam, S. K.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nsumer happiness scal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3(3), 403-420. doi:10.21074/kjlcap.2012.13.3.403 

  38. Park, E. A., & Joo, K. M. (2006). A study of the club leisure consumption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7(1), 23-45. 

  39. Park, Y. J. (2011). A study on the use of outdoor wear based on the consumer's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0. Park, Y. J., & Hwang, J. S. (2012). Use and purchase behavior of climbing wear based on the consume's lifestyle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5, 291-307. doi:10.21326/ksdt.2012.35.026 

  41. Roh, H. J. (2002). Shopping orientations of male consumers aged between 20 and 30 and utilizations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level of clothing consumer behavior - Centering around Seoul and Kyonggi are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42. Ross, A. O. (1987). Personality: The scientific study of complex human behavior. New York, NY: Holt Rinehart & Winston. 

  43. Shim, N. Y. (2018, April 16). Everyday sportswear, 'athleisure' market to reach 2 trillion won this year. The Asia Business Daily. Retrieved September 20, 2018, from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41606333154186 

  44. Shin, G. H., & Mun, Y. (1999). A study of the confirmatory model between a leisur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8(2), 158-169. 

  45. Solomon, M. R., Bamossy, G., & Askegaard, S. (1999). Consumer behavior: A European perspective. New York & London: Prentice Hall Europe. 

  46. Sung, Y. S., Ko, D. W., & Jung, J. H. (1996). Psychological meaning of leisur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9(2), 17-40. 

  47. Trail, G. T., Anderson, D. F., & Fink, J. S. (2000). A theoretical model of sport spectator consumption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3), 154-180. 

  48. Van Boven, L. (2002). Living 'The Good Life': The hedonic superiority of experiential over material purchas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9(1), 444-445. 

  49. Vollmer, C., & Precourt, G. (2008). Always on: Advertising, marketing, and media in an era of consumer control. New York, NY: McGraw-Hill Professional. 

  50. Yang, Y., & Cho, G. R. (2015). The influence of purchase type, purchase context, and self-construal on consumer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6(1), 83-104. doi:10.21074/kjlcap.2015.16.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