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식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열성패 추출물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Cultured Recessive Small-siz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Extract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6, 2018년, pp.640 - 646  

조준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남현규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오광수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d recessive small-siz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A; 30-40 each/kg) and middle-sized abalone (MA; 10-15 each/kg), the proximate compositions, fatty acid and total amino acid compositions of these tw...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양식산 전복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소형 전복, 즉 열성패(recessive abalone, 일명 꼬마전복)의 가공적성, 효율적인 활용 및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가공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주요한 패류자원인 양식 전복 중 상품성이 없는 소형 열성패의 가치증진 및 향후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식품학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이들의 식품성분 조성을 정상 양식 참전복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소형 열성패를 원료로 음용 전복 추출물 또는 풍미계 소스의 주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전복 추출물의 제조 및 품질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상품성이 없는 소형 전복(30-40미/kg), 즉 전복 열성패의 가치 증진 및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이를 원료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전복 추출물을 조제하였고, 본 전복 추출물의 이화학적 성분 조성 및 품질 특성에 관하여 살펴 보았다. 전복 열수추출물(hot-water extract, WE) 추출 및 추출잔사 효소분해물(scrap enzyme hydrolysate, SE)의 pH, 염도, 총질소, 휘발성염기질소 및 아미노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전복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전복(全鰒, abalone)은 연체동물 복족류 원시복족목(原始腹足目)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로 우리나라에서 굴과 함께 널리 식용되는 산업적 가치가 있는 중요한 패류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주요 전복은 참전복(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말전복(Haliotis gigantea),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시볼트전복(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aquatilis) 및 둥근전복(Haliotis discus) 등 6종이 있는데, 시중에 나와 있는 전복의 대부분은 양식산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이다(NFFC, 2000). 전복은 양식 대상으로서 종묘의 구입이 쉽고, 다른 양식 동물에 비하여 비교적 큰 질병이 없으며, 연중 수확이 가능하므로 판로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복이란 무엇인가? 전복(全鰒, abalone)은 연체동물 복족류 원시복족목(原始腹足目)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로 우리나라에서 굴과 함께 널리 식용되는 산업적 가치가 있는 중요한 패류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주요 전복은 참전복(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말전복(Haliotis gigantea),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시볼트전복(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aquatilis) 및 둥근전복(Haliotis discus) 등 6종이 있는데, 시중에 나와 있는 전복의 대부분은 양식산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이다(NFFC, 2000).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인 전복이 수산물로의 시장가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주요 전복은 참전복(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말전복(Haliotis gigantea),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시볼트전복(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aquatilis) 및 둥근전복(Haliotis discus) 등 6종이 있는데, 시중에 나와 있는 전복의 대부분은 양식산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이다(NFFC, 2000). 전복은 양식 대상으로서 종묘의 구입이 쉽고, 다른 양식 동물에 비하여 비교적 큰 질병이 없으며, 연중 수확이 가능하므로 판로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전복은 식품학적 측면에서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상당히 귀중하게 여기는 건강기능성 수산물로 시장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최근 중국인들의 식품에 대한 소비경향은 식품의 기능 특성에 관심이 커짐에 따라 전복과 같은 전통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더 뚜렷하게 나타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OCS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990. AOCS Official Method Ce lb-89.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OCS,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2.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3. Han HS. 1999. Statistic Data Analysis. Chungmungak, Seoul, Korea. 

  4. Hayashi T, Yamaguchi K and Konosu S. 1981. Sensory analysis of taste- 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boiled snow crab meat. J Food Sci 46, 479-483. 

  5. Jee YJ, Chang YJ and Yoon HD. 2008. 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Fish Sci 41, 452-457. 

  6. Jang MS, Jang JR, Park HY and Yoon HD. 2010. Overall composition, and levels of fatty acids, amino acids, and nucleotide-type compounds in wild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cultur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Food Preserv 17, 533-540. 

  7. Kang HI and Kang TJ. 1981. Some chemical composition of abalone and sea cucumber as affect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Agri Chem Soc 24, 126-131. 

  8. Kato H, Rhue MR and Nishimura T. 1989. Role of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In Flavor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9. Kim KO, Kim SS, Sung RK and Lee YC. 1993. Sensory Evaluation Method and Application. Sinkwang Pub Co., Seoul, Korea. 

  10. Kim HL, Kang SG, Kim IC, Kim SJ, Kim DW, Ma SJ, Gao TC, Li H, Kim MJ, Lee TH and Ham GS. 2006. In vitro anti-hypertensive,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Haliotis discus hann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35-840. 

  11. Kim HL, Kim SJ, Kim DW, Ma SJ, Gao TC, Li H, Lee TH, Kim IC, Ham GS and Kang SG. 2007. The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exhibit potential anticoagulant activity in normal Sprague dawley rats. Korean J Food Preserv 14, 431-437. 

  12. Kim DH. 2010. Food Chemistry. In chapter 3. Taste of amino acids. Tamgudang, Seoul, Korea. 

  13. Kim SG, Cho JH, Hwang YS, Lee IS and Oh KS. 2017. Evaluating Cultured Sea Mussels Mytilus edulis Extractions Methods and Extract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ish Aquat Sci 50, 650-655. https://doi.org/10.5657/KFAS.2017.0650. 

  14. Koh SM, Kim HS, Cho YC, Kang SG and Kim JM. 2009.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lone meat aged in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73-779. 

  15. KSFS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a.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In chapter 2. Analysis of food proximate composition. Hyoil Pub Co., Seoul, Korea. 

  16. KSFS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b.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In chapter 9. 5. Measurement of food freshness. Hyoil Pub Co., Seoul, Korea. 

  17. Lee KA, Shin ES, Lee HK, Kim MJ, Kim KBWR, Byun MW, Lee JW, Kim JH, Ahn DH and Lyu E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balone porridge with Viscer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3-108. 

  18. Lee YJ, Park JW, Park IB, Shin GW, Jo YC, Koh SM, Kang SG, Kim JM and Kim HS.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viscera with espect to the age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Food Preserv 16, 849-860. 

  19. Lee JL, Kim BS and Kang SG. 2013. Analysis and comparison of general composition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collagen of abalone harvested in three different regions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20, 441-450. http://dx.doi.org/10.11002/kjfp.2013.20.4.441. 

  20. Moon CY, Baek MY, Kim HK, Hahm YT and Kim BY. 2011. The Optimization of thermal conditions and evaluation of storage for heated Chunbok-jang. Food Engineering Progress 15, 230-234. 

  21. NFFC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2000. Marine Products in Korea. Suhyup Pub Co, Seoul, Korea. 

  22.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2. Fatty acid composition of fisheries products in Korea. Bosung Pub. Co., Busan, Korea. 

  23. Ohara T. 1982. Food Analysis Handbook. In Chapter II. 2. D. 4. Formol titration method. Kenpakusha, Tokyo, Japan. 

  24. Park JW, Lee YJ, Park IB, Shin GW, Jo YC, Koh SM, Kang SG, Kim JM and Kim HS. 2009.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viscera of dri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prepar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6, 686-698. 

  25. Ren H, Liu D, Wang Y, Endo H, Watanabe E and Hayashi T. 1997. Preparation of hot-water extract from fisheries waste. Bull Japanese Soc Sci Fish 63, 985-991. 

  26. Shin JH, Lee SJ, Choi DJ, Kang MJ and Sung NJ. 2008a. Antioxidant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abalone containing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82-187. 

  27. Shin ES, Lee KA, Lee HK, Kim KBWR, Kim MJ, Byun MW, Lee JW, Kim JH, Ahn DH and Lyu ES. 2008b. Effect of grain size and added wat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balone porrid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45-250. 

  28. Yoon HD, Byun HS, Kim SB and Park YH. 1986. Lipid composition of purple shell and abalone. Bull Korean Fish Soc 19, 446-452. 

  29. Yoo MJ and Chung HJ. 2007.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the drinking extract of disk abalone. Korean J Food culture 22, 827-832. 

  30. Yoon MS, Kim HJ, Park KH, Heu MS, Yeum DM and Kim JS. 2009. Comparision of food component of oyster drip concentrates steamed under differents retort pressures. Korean J Fish Aquat Sci 42, 197-2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