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염수 처리제에 차아염소산, 염화칼슘 및 인산 첨가가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과 창자파래(Ulva intestinalis)의 사세포율과 엽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pochlorous Acid, Calcium Chloride and Phosphoric Acid in a Highly Saline Solution on Cell Death Rate and Growth Rate of Porphyra yezoensis and Ulva intestinali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6, 2018년, pp.682 - 687  

권오남 (강릉원주대학교 동해안생명과학연구소) ,  윤영랑 (호남남서부김활성처리제사업협동조합) ,  신일식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highly saline solution (HS)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calcium chloride ($CaCl_2$), and phosphoric acid ($H_3PO_4$) on cell death and growth rate of laver Porphyra yezoensis and green laver Ulva intestinalis. Cell death rates of laver treate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바다 환경은 영양염 등의 조절이 안 되기 때문에, 이들의 성장과 저해 실험을 위해서는 조절된 환경 내에서 실험 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고염수처리제에 차아염소산의 첨가에 따른 김과 김발 부착 생물인 파래의 사세포율 변화와 고염수처리제에 함유되어 있는 차아염소산, 칼슘 그리고 인산이 김 엽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국내의 경우, 김의 붉은갯병 감염 여부에 대한 차아염소산과 칼슘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Kim, 2013), 파래 구제효과 또는 엽체의 성장 등에 대한 연구는 없다.
  • 하지만 차아염소산, 칼슘 및 인산의 함유가 고염수처리제에서의 역할이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염수처리제(high salty solution, HS)에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OCl), 염화칼슘 (calcium chloride, CaCl2) 및 인산(phosphoric acid, H3 PO4) 첨가가 김의 사세포율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정제염 10%, 염산(HCl) 9.0%를 함유한 고염수처리제에 차아 염소산을 첨가, 김과 파래 엽체의 사세포율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차아염소산, 염화칼슘 및 인산의 첨가가 김 엽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의 국내 생산량 현황은? 또한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분, 아연 및 망간 등과 같은 무기질도 약 10% 함유하고 있어 국내 해조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KTSPI, 2017). 생산량에 있어서도 해조류 총 생산량 약 120만톤 중 약 40만톤(약 33%)이 김 생산량으로, 단일 품종으로는 해조류 양식산업에서 두 번째로 큰 부분을 차지하 고 있다(FAO, 2016). 이에 따라 김 관련 수출 금액은 2007년 600억원, 2011년 1600억원, 2016년에는 3500억으로 매년 수출이 증대되어 전체 식품 중 3번째로 높은 수출 액을 기록하였다(KTSPI, 2017).
김의 특징은? 김(Laver Pyropia sp.)은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세계적으로 즐겨먹는 기호품으로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각각 약 40%와 30-40% 정도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중 탄수화물의 대부분은 다당류에 속하는 식물성 섬유질이어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Jimenez-Escrig and Sanchez-Muniz, 2000). 또한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분, 아연 및 망간 등과 같은 무기질도 약 10% 함유하고 있어 국내 해조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KTSPI, 2017).
김이 함유하고 있는 무기질은? )은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세계적으로 즐겨먹는 기호품으로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각각 약 40%와 30-40% 정도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중 탄수화물의 대부분은 다당류에 속하는 식물성 섬유질이어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Jimenez-Escrig and Sanchez-Muniz, 2000). 또한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분, 아연 및 망간 등과 같은 무기질도 약 10% 함유하고 있어 국내 해조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KTSPI, 2017). 생산량에 있어서도 해조류 총 생산량 약 120만톤 중 약 40만톤(약 33%)이 김 생산량으로, 단일 품종으로는 해조류 양식산업에서 두 번째로 큰 부분을 차지하 고 있다(FAO,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ukan S and Touati D. 1996. Hypochlorous acid stress in Escherichia coli: resistance, DNA damage, and comparison with hydrogen peroxide stress. J Bacteriol 178, 6145-6150. https://doi.org/10.1128/jb.178.21.6145-6150.1996. 

  2. Duncan DB. 1955. Multiple-range and multiple F-tests. Biometrics 11, 1-42. 

  3.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6.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6. Retrieved from http://www.fao.org/publications/sofia/2016/en/?platform on Jun 2, 2017. 

  4. Griffin NJ, Bolton JJ and Anderson RJ. 1999. The effects of a simulated harvest on Porphyra (Bangiales, Rhodophyta) in South Africa. Hydrobiologia 398, 183-189. https://doi.org/10.1023/A:1017034028769. 

  5. Iwasaki H. 1967. Nutritional studies of the edible seaweed Phophyra tenera. II. Nutrition of Conchocelis. J Phycology 3, 30-34. https://doi.org/10.1111/j.1529-8817.1967.tb04625.x. 

  6. Jimenez-Escrig and Sanchez-Muniz FJ. 2000. Dietary fibre from edible seaweeds: Chemical structu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s on cholesterol metabolism. Nutrition Res 20, 585-598. https://doi.org/10.1016/S0271-5317(00)00149-4. 

  7. Kim MH. 2013. Development of fungicide for red rot disease of cultivated Porphyra. Master Thesis of Kongju University, Kongju, Korea. 

  8. KMI (Korea Maritime Institute). 2017. The monthly review of fishery export information. Dec. 2017. K-Fish Information Center, Pusan, Korea. 

  9. KTSPI (Korea Trade Statistics Promotion Institute). 2017. Trade Statistics Service. Retrieved from http://www.trass.or.kr/service/statistic/StatisticsViewServlet?main ServiceURLP02M02D010 on Jun 25, 2017. 

  10. Kuffner IB and Paul VJ. 2001. Effects on nitrate, phosphate and iron on the growth of macroalgae and benthic cyanobacteria from Cocos Lagoon, Guam. Mar Ecol Prog Ser 63, 63-72. 

  11. Liu X and Gordon ME. 1987. Tissue and cell culture of New Zealnad Pterocladia and Porphyra species. Hydrobiologia 151, 147-154. 

  12. MAFF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Japan). 1995. Reports of acid treatment on Nori aquaculture. MAFF, Tokyo, Japan. 

  13. McArthus DM and Moss BL. 1977. The ultrastructure of cell walls in Enteromorpha intestinalis (L.) Link. Br Phycol J 12, 359-368. 

  14. McKenna SM and Davies KJA. 1988. Bacterial killing by phagocytes: Potential role(s) of hypochlorous acid and hydrogen peroxide in protein turnover, DNA synthesis, and RNA synthesis. Basic Life Sci 49, 829-832. 

  15.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A notice about standard of active agent on Nori aquaculture. Retrieved from on Oct 1, 2018. 

  16.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jsp/sf/ss/ss_kind_law_list.jsp?menuDepth070104 on Jun 1, 2017. 

  17.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http://www.mof.go.kr/article-/view.do?articleKey17528&searchSelecttitle&boardKey35&searchStartDate2017-09-22&searchEndDate2017-10-23&menuKey402&tPageNo2. on Oct 1, 2018. 

  18. Song HI, Kim DH, Kim JR and Kim SU. 1993.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the laver disease, with it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laver farming a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47, 177-195. 

  19. Tait MI, Milne AM, Grant D, Somers JA, Staples J, Long WF, Williamson FB and Wilson SB. 1990. Porphyra cell cultures: isolation, growth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J Appl Phycol 2, 63-70. 

  20. Ueki C, Nagasato C, Motomura T and Saga N. 2008. Reexamination of the pit plugs and the characteristic membranous structures in Porphyra yezoensis (Bangiales, Rhodophyta). Phycologia 47, 5-11. https://doi.org/10.2216/0031-8884(2008)47[5:ROTPPA]2.0.CO;2. 

  21. Wiencke C and Lauchli A. 1980. Growth, cell volume, and fine structure of Porphyra umbilicalis in relation to osmotic tolerance. Planta 150, 303-311. https://doi.org/10.1007/BF003846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