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용 식생매트의 열전도율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for Planting Mats of Landscaping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6, 2018년, pp.85 - 96  

차욱진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양건석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진국들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이후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줄이기 위해 산업부문, 수송부문,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하여야 한다. 정부에서는 에너지 소비량 감축을 위한 각종 법령 및 행정규칙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하기 위하여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따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실내온도를 $28^{\circ}C$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량벽면녹화옥상녹화 등으로 녹화된 건물이 녹화되어지지 않은 건축물에 비해 평균 30%의 전력사용량의 감소효과가 있다. 이렇듯 조경녹화에 대한 에너지 절감의 효과는 입증되고 있으나, 이러한 입증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적합한 방법이 아니기에 에너지 절감의 실효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조경용 녹화가 에너지 절감에 따른 실효성을 가지려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4조'의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의 단열재료에 대하여 구성재료의 열전도율열관류율을 계산하여 '별표 1'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종류의 벽면녹화용 식생매트와 1종류의 복합매트(내부단열재+식생매트)를 제작하여 다양한 열전도율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에너지 보존식을 이용하여 내부단열재 두께 등에 대하여 이론적인 계산을 하였다. 3종류의 식생매트의 열전도율은 0.130~0.157W/mk 정도로서 목재의 열전도율(0.170w/mk)보다 낮아 단열의 기능을 가지는 매트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복합매트는 내부단열재(그라스포, 폴리우레탄 등)의 두께를 조절하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단열기준 0.051W/mk에 적합한 식생매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ed nations have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since the 1997 Kyoto Protocol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Korea should als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the industrial sector, and the transportation and building sectors in order to achieve its 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에너지소비현황 조사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2014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에너지소비현황 조사결과는 산업부문 56%, 수송부문 22.8%, 건물부문 21.2%이다. 전 세계적으로 건물부분의 에너지 소비량은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건물이 차지하는 에너지 소비량은 전체 에너지의 60.
조경녹화에 대한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에너지 절감의 실효성을 가지지 못한 이유는? 이렇듯 조경녹화에 대한 에너지 절감의 효과는 입증되고 있으나, 이러한 입증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적합한 방법이 아니기에 에너지 절감의 실효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조경용 녹화가 에너지 절감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실효성을 가지려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4조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단열재료에 대한 기준인 구성재료의 열전도율값으로 열관류율을 계산한 값이 ‘별표 1’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식생매트의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만족하는 단열효과를 나타내는 외벽의 열관류율을 측정한 결과는? 첫째, 세 종류(식생매트, 흙마대, 매트마대)의 매트 및 복합매트(그라스포+매트마대)에 대한 열전도율 측정실험에서 열전도율이 식생매트(0.299W/mK) < 흙 마대(0.157W/mK) < 매트마대(0.139W/mK) < 복합매트(0.130W/mK) 순으로써 작아짐(단열효과 증가)을 확인하였다. 둘째, 매트마대와 단열재(그라스포)의 복합재료에 대한 열전도율 실험을 수행하여 이론적인 계산값(0.1299W/mK)과 실험값(0.1298W/mK)이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3종류의 실험용 매트에 대하여 열전도율(복합열전도율)이 감소함에 따라 단열재의 두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복합열전도율(목표값)의 값을 조금만 낮추어도 단열재의 두께를 많이 줄여서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매트의 주위를 마대로 감싸는 형태의 식생매트 제작은 접촉열저항(Contact Heat Resistance)의 증가효과를 가져와서 단열에 크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식생매트의 단열 목표값이 커질수록(단열정도에 대한 요구조건이 낮을수록), 내부단열재의 두께는 적어지며, 단열재의 종류에 영향을 덜 받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복합구조(단열재+매트)로 식생매트를 제작하면, 열전도율이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정한 최소 기준 0.051W/mK를 만족하며, 벽면녹화에 의한 외벽의 단열성능을 충분히 만족하는 에너지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벽면녹화의 단열성능은 확실한 효과가 있음이 열관류율(U) 측정에서 밝혀졌다. 본 연구의성과로 벽면녹화에 의한 에너지 저감이 단순한 데이타상의 수치가 아니라, 국가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기술임이 밝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an. J. H. and J. O. Yoon(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wall planting on surface temperature. A Study on the Journal of Korean Ecology Environmental Architecture 10(2): 125-128. 

  2. Jang, D. H. and S. H. Shin(2015) Development of building integrated wall green system for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Korean Ecology Environmental Architecture 15(1): 100-101. 

  3. Kim, B. R.(2012)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Wall Green Building: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certification Evaluation. Master's Thesis on Ecology and Landscap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Kroea. pp. 78-80. 

  4. Kim, K. Y., S. H. Kim., H. D. Kim,, S. J. Jo and S. M. Park(2011)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wall greening on urban savings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 Environmental Science Association: 187-190. 

  5. Kwon, K. W.(2014) Performance Analysis of Building Materials for Low Energy Wall Greening, Master's Thesis on the Department of Life Resources Environmental Science at Konkuk University. Korea. pp. 44-50. 

  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2015) 2014 Energy Total Survey Report. 

  7. Park, M. H. and H. D. Kim(2011) An observatory study on the effect of the greening of a wall on the reduction of urban temperatur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15(1): 114-129. 

  8. Seok, H. T,, J. H, Yang and J. W. Jung(200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greenery cover in education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8(6): 40-47. 

  9. Shin, J. H., H. Kim, S. H. Ki, and S. M. Kim(2014) Effect of wall greening on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CO_2$ Concentration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urniture 25(2):148-153. 

  10. Yunus, C.(2017) Heat and Mass Transfer, McGraw-Hi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