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원용 유실수로서 가치가 높은 채진목속(Amelanchier spp.)의 형태적 특성 및 영양번식방법
Vegetative Propag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melanchier spp. with High Value as Fruit Tree for Landscaping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6, 2018년, pp.111 - 119  

강호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황대율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하유미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채진목속(Amelanchier spp.)중 우리나라 자생 채진목(A. asiatica)과 미국채진목(A. arborea) 그리고 준베리(A. alnifloia)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개화 특성, 그리고 열매의 착색시기 등을 비교하고, 나아가 조경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영양번식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년생 자생 채진목의 수고는 7.8m, 수관폭은 5.2m였으며, 주간이 1개로 소교목성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의 경우 수관폭이 넓고 뿌리 근처에서 많은 줄기가 발생하는 관목형으로 나타났다. 채진목속의 잎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잎의 크기는 자생 채진목이 가장 컸으며, 잎의 형태는 자생 채진목의 경우 장타원형인데 반해, 미국채진목과 준베리는 도란형에 가까웠다. 꽃의 크기는 자생 채진목이 2.89cm로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에 비해 컸으며, 화방의 길이 역시 자생 채진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채진목속의 개화 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의 경우 개화가 4월 16일에 개화하여 만개기가 4월 18일로서 총 개화기간이 21~22일인 반면 자생 채진목의 경우 개화기가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에 비해 가장 늦었다. 열매특성으로 착과는 미국채진목과 준베리는 5월 10일과 12일로 자생 채진목의 5월 20일보다 약 10일 정도 빨랐으며, 착색시기 역시 미국채진목과 준베리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된 열매가 낙과되는 시기는 자생 채진목은 10월 3일로 총 열매지속기간이 135일로 매우 긴 반면, 미국채진목과 준베리는 6월 29일로 총 50일 정도 열매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의 크기는 미국채진목이 과고 1.03cm, 과폭 1.12cm로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준베리가 컸고, 자생 채진목의 과일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방당 과일수는 준베리가 6.8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미국채진목이 5.7개로 준베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생 채진목은 3.5개로 과방당 과일수가 가장 적어 착과율이 가장 낮았다. 미국채진목의 녹지삽목은 6월 27일 실시한 처리구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발근율이 높았으며, 특히 Rootone 처리구와 고농도의 IBA에서 발근율이 80% 이상 높게 나타나 번식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s of the Korean native Amelanchier asiatica, A. arborea, and A. alnifolia as fruit trees for gardens. Due to the lack of recent research on Amelanchier spp., their superficial classification is still unclea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자생 채진목(A. asiatica) 과 미국채진목(A. arborea) 그리고 준베리(A. alnifolia)의 형태 적 특성과 개화 및 열매의 특성 등을 조사하여 각 종간 특성을 비교하고, 나아가 채진목속 식물의 조경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영양번식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채진목속(Amalanchier spp.)의 동일한 유전형질을 가진 영양계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영양번식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경지삽목과 녹지삽목을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채진목속의 종(species)별 녹지삽목에 관하여 Dirr(1990)는 공히 IBA 1,000∼5,000ppm으로 신초의 경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때 발근이 잘 된다고 하였다.
  • 채진목속(Amelanchier spp.)중 우리나라 자생 채진목(A. asiatica)과 미국채진목(A. arborea), 그리고 준베리(A. alnifloia) 의 생육 및 잎, 꽃, 열매 등 형태적 특성, 개화 특성 그리고 열매의 착색시기 등을 비교하고, 나아가 조경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번식을 위한 영양번식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년생 자생 채진목의 수고는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진목속은 무엇인가? 채진목속(Amelanchier spp.)은 낙엽활엽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이른 봄에 아름다운 백색 꽃이 피고, 잎은 가을에 노랑에서 암자색으로 단풍이 들며, 가을에 맺는 검은색의 당분을 함유한 열매는 조류의 좋은 먹이가 된다. 채진목(采振木)이란 이름은 일본이름의 한자를 그대로 발음한 것으로, 일본이름 ‘채배(采配)와 같은 나무’라는 뜻이며, 채배란 장군이 지휘할 때 쓰는 지휘봉 끝에 달인 수술을 뜻하는데, 꽃모양이 이 지휘봉의 수술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북한에서는 독요나무라 한다(Lee, 1987; Kim et al.
미국에서 채진목의 용도는? , 2000). 네델란드에서는 채진목의 열매를 건조시켜 건포도 대용으로 식용하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연못가의 숲이나 개울의 둔덕에 잘 어울려 식재를 많이 하고, 미국에서는 침식방제용의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채진목의 속명인 Amelanchier는 프랑스의 프로방스 지역명을 딴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5종이 분포하나, 관상용 및 유실수로 이용 하는 종은 약 8종이 있다.
봄에 자생 채진목의 꽃은 어떤 색상으로 피는가? 내조성이 좋아 해변에 잘 적응되고, 대기오염에도 강하여 도심지에서 잘 산다. 봄에 순백색의 화사한 꽃이 피어 환상적인 감정을 주며, 가을에 익는 흑자색 열매는 감미로워 생식하고 잼, 파이를 만들 수 있다. 종자는 흑색인데 새의 먹이가 되고 gel상태로 되어 있는데, 이것의 이용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알아 볼 필요가 있다 (H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ams, D. G. and A. N. Roberts(1967) A morphological time scale for predicting rooting potentials in Rhododendron cuttings. J. Amer. Soc. Hort. Sci. 91: 745-752. 

  2. Dirr, M. A.(1990) The Reference Manual of Woody Plant Propagation. Stipes Publishing Company. pp. 91-92. 

  3. Dirr, M. A.(1998)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Their Identification, Ornamental Characteristics, Culture, Propagation and Uses. 4th ed. Stipes Publishing Company. pp. 101-106. 

  4. Hartman, H. T. and D. E. Kester(1975) Plant Propagation. 3rd ed. Printice-Hill Inc. Englwood Cliffs. New Jersey. pp. 181-508. 

  5. Hartman, H. T. and F. Loreti(1965) Seasonal variation in rooting leafy cuttings under mist. J. Amer. Soc. Hort. Sci. 90(3):194-198. 

  6. Hong, S. C., S. H. Byun and S. S. Kim(1987) Colored Woody Plants in KOREA. Daegu. Gaemyungsa. 

  7. Jung, Y. H.(1991) Flowering Plants of the World. Seoul, Academy. 

  8. Kim, T. W.(1996) Woody Plants in KOREA. Seoul. Gyohaksa. 

  9. Kim, Y. S., K. J. Song, Y. H. Ahn, K. K. Oh, K. J. Lee and Y. M. Lee(2000)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Seoul. Kwangil Moonhwasa. 

  10. Knowledge and Information Officer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08) Statistical Analysis Using S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11. Laughlin, K. M., R. G. Askew and R. C. Smith(1996) Juneberry-For commercial and Home Use on the Northern Great Plains. NDSU-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12. Lee, C. B.(1987) Woody Plant. Seoul. Hyangmoonsa. 

  13. Moon, C. H.(2017) A Research on Characteristic Variations for Developing New Materials of Landscape Woody Plant. Ph. D.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Korea. 140p. 

  14. Ozga, J. A., A. Saeed and D. M. Reinecke(2006) Anthocyanins and nutrient components of saskatoon fruits(Amelanchier alnifolia Nutt.). Can. J. Plant Sci. 86: 193-197. 

  15. Rop, O., J. Mlcek, T. Jurikova, J. Sohor and R. Kizek(2012) Antioxidant properties of saskatoon berry(Amelanchier alnifolia Nutt.) fruits. EDP Sciences. Fruits 68: 435-444. 

  16. Shim, K. K. and B. K. Seo(1995) Korean native plants in north America. J. Kor. Ins. Land. Archi. 22(4): 95-117. 

  17. Shim, K. K.(1994) Development of new landscape plants for urban forestry. Symposium of Forestry Science in 1994. Research Institute of Forestry Scienc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71-98. 

  18. Shim, K. K., B. K. Seo, N. H. Cho, K. H. Kim and S. C. Shim(1993a) Study on the Korean native Stewartia(Stewartia koreana): II. Seed germination and softwood cutting of Korean native Stewartia (Stewartia koreana).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34(2): 160-166. 

  19. Shim, K. K., J. S. Lee and Y. H. Ahn(1985) Studi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rooting of Korean Azalea(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ropagated in a closed moist room.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26(2):163-168. 

  20. Shim, K. K., K. J. Lee, S. T. Choi, M. B. Choi, S. R. Shim, Y. S. Kim, S. B. Choi, H. S. Jin, Y. H. Cho, Y. B. Kim, J. C. Nam and W. K. Shim(1992) Landscape Woody Plants. Seoul. Moonwoondang. 

  21. Shim, K. K., Y. M. Ha and Y. S. Park(1993b) Study on the effect of cutting media and peat plug on rooting of Rhododendron satsuki hybrid 'Bemi-Kirishima'. J. Ins. Sci. & Tech. in Sungkyunkwan Univ. 44(2): 295-303. 

  22. Shin, K. M.(2015)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Black Chokeberry, Black Currant, Elderberry, Honeyberry and Juneberry Introduced into Korea.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56. 

  23. Still, S. M. and S. Zanon(1991) Effects of K-lBA and timing on rooting percentage and root quality of Amelanchier laevis. J. Environ. Hort. 9: 86-88. 

  24. Strang, J.(2012) Juneberry. UK-University of Kentucky,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25. Westwood, M. L.(1993) Temperate-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3rd ed. 91-108. 

  26. Yoon, G. B.(1993) Landscape Woody Plants. Seoul. Iljoga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