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수성반응벽체 적용을 위한 납석광물 기반 세라믹 반응매질의 특성평가
The Characterization of Pyrophyllite Based Ceramic Reactive Media for Permeable Reactive Barriers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1 no.4, 2018년, pp.227 - 234  

조강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현수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최낙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천영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세라믹 압출법을 이용하여 납석기반 세라믹 반응매질을 제조하였다. 납석의 광물학적 특성은 XRD, XRF, DSC-TGA 및 제타전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납석기반의 세라믹 반응매질은 다양한 소성온도범위($500{\sim}1,300^{\circ}C$)에서 수행하였다.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반응매질의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비표면적은 감소된다. 온도변화에 따른 납석의 무게손실과 구조변화를 XRD, DSC-TGA 및 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엽납석은 소성온도 $1,000^{\circ}C$에서 pyrophyllite dehydroxylate로 전이되며, $1,300^{\circ}C$에서 뮬라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로 상변화가 발생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납석은 투수성반응벽체 적용을 위한 반응매질로서 세라믹 지지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we have prepared the reactive media with the pyrophyllite based using ceramic extrusion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pyrophyllite were analyzed using XRD, XRF, DSC-TGA and Zeta-potential analysis. The study of pyrophyllite based ceramic reactive media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토양⋅지하수 정화분야와 관련하여 투수성반응벽체의 반응매질로서 납석을 적용한 소재개발은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중 환경 오염지하수의 확산방지를 위한 반응매질로 납석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납석의 특징은 무엇인가? 납석(pyrophyllite, Al2Si4O10(OH)2)은 2 : 1 구조를 갖는 규산염광물로 다른 변질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 조건에서 안정된 광물이며, 일반적으로 높은 결정도와 단순한 조성 특징을 갖는다(Kim et al., 2017).
반응매질의 주성분 원소에 대한 용출은 산성조건(pH 2)에서 1,000 ℃의 반응매질의 경우, 주성분 원소의 용출은 Al (0.72 mg/L), Si (0.35 mg/L)로 검출되어, 상대적으로 높게 용출되는 특성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35 mg/L)로 검출되어, 상대적으로 높게 용출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XRD 분석(1,000 ℃)을 통해 비정질 물질형태가 아닌 결정형태의 pyrophyllite dehydroxylate로 나타나고 있지만, 수산기(hydroxyl group) 손실에 따른 결정구조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용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1,100 ℃ 반응매질은 Al과 Si가 각각 0.
투수성반응벽체는 무엇인가? 환경부는 2018년 토양환경보전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을 예고하였고, 위해성 평가기반 오염부지 관리정책과 위해성 평가대상을 확대 추진함에 따라 오염 확산방지 적용기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염된 지하수를 복원하기 위해 적용되는 오염 확산방지기술 중 투수성반응벽체(Permeable Reactive Barriers; PRBs)는 투과성을 가지며, 오염 물질이 입자상으로 구성된 벽체를 통과하면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반응을 거쳐 제거되는 원위치 처리기술이다. 또한, 오염대상지역 내 지중 환경(subsurface environment)에 오염된 지하수의 확산을 방지하고, 오염원과 반응매질(reactive media)의 특성에 따라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원위치정화 기술로 지하수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지하수로 누출된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대상지역 외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mad, R., Aslam, M., Park, E.Y., Chang, S.M., and Kim, J.W. (2018) Submerged low-cost pyrophyllite ceramic membrane filtration combined with GAC as fluidized particles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Chemosphere, 206, 784-792. 

  2. Birinci, M., Uysal, T., Erdemoglu, M., Porgali, E., and Barry, T.S. (2017) Acidic leaching of thermally activated pyrophyllite ore from puturge (Malatya-Turkey) deposit. In: Proceedings of the 17th Balkan mineral processing congress-BMPC 2017, Antalya, Turkey. 

  3. Cho, K.H., Choi, N.C., Kim, S.B., and Park, C.Y. (2017) Functional ceramic filter fabrication for As removal in aqueous solution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30(4), 173-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K.H., Kim, B.J., Choi, N.C., and Park, C.Y. (2016) Th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 impurities and the efficiency of their removal using microwave heating and magnetic separation in the pyrophyllite ore.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9(2), 47-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Erdemoglu, M., Birinci, M., Uysal, T., Tuzeer, E.P., and Barry, T.S. (2018) Mechanical activation of pyrophyllite ore for aluminum extraction by acidic leaching.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53(19), 13,801-13,812. 

  6. Hashizume, H. (2013) Removal of some aromatic hydrocarbons from water by pyrophyllite. Clay Science, 17(3), 49-55. 

  7. Ha, J.H., Bukhari, S.Z., Lee, J.M., Song, I.H., and Lee, S.H. (2015)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pyrophyllite-diatomite composite support layers. Journal of the Ceramic Society of Japan, 123, 1043-1050. 

  8. Ha, J.H., Bukhari, S.Z., Lee, J.M., Song, I.H., and Park, C.H. (2016) Prepar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zations of alumina-coated alumina support layers and alumina-coated natural material-based support layers for microfiltration. Ceramics International, 42(12), 13,796-13,804. 

  9. Hu, Y., Liu, X., and Xu Zhenghe (2003) Role of crystal structure in flotation separation of diaspore from kaolinite, pyrophyllite and illite. Minerals Engineering, 16(3), 219-227. 

  10. Kim, J.H., Song, Y.M., and Kim, S.B. (2013) Fluoride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using thermally treated pyrophyllite as adsorb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5(2), 131-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B.J., Cho, K.H., Choi, N.C., and Park, C.Y. (2014) The efficiency of Fe removal for pyrophyllite by ammonia leaching solution, and their dissolution kinetic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7(1), 5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C.S., Kim, Y.H., Choi, S.G., Ko, K.B., and Han, K.S. (2017) Mineral identification and field application by short wave infrared(SWIR) spectroscop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50(1),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ikuni, A., WEI, C., Komatsu, R., and Ikeda, K. (2005) Thermal alteration of pyrophyllites and elution properties of the calcined pyrophyllite in alkali solu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Inorganic Materials, 12, 191-199. 

  14. Soto, P.J. and Rodriguez, J.L. (1989) Thermal analysis of pyrophyllite transformations. Thermochimica Acta, 138, 267-276. 

  15. Thiruvenkatachari, R., Vigneswaran, S., and Naidub, R. (2008) Permeable reactive barrier for groundwater remediation.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4(2), 145-156. 

  16. Zhang, N., Nguyen, A.V., and Zhou, C. (2018) A review of the surface features and properties, surfactant adsorption and floatability of four key minerals of diasporic bauxite resources.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54, 56-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