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UPLC-DAD-ESI(+)-QToF/MS를 이용한 국내산 두릅나무 및 음나무 순 내 페놀산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enolic Acid from Shoots of Aralia elata and Kalopanax pictus Cultivated in Korea Using UPLC-DAD-ESI(+)-QToF/M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7 no.4, 2018년, pp.260 - 267  

김영진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김헌웅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이민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이선혜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게릴라 아사메누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이수지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이상훈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정봉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UPLC-DAD-ESI(+)-QToF/MS를 사용하여 국내산 두릅나무음나무 순의 페놀산을 분석한 결과 두릅나무 순에서 총 13종, 음나무 순에서 총 8종의 페놀산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성분을 정량하였다. 개별 페놀산 성분 구조 동정 시 모분자에 $Na^+$ 또는 $K^+$가 결합되는 특징적인 단편이온들이 관찰되어 모분자의 분자량을 쉽게 판단할 수 있었다. 전반적인 구조 동정은 선행연구 및 표준품의 UV, MS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비교하였으며, 특히 이성질체의 효율적인 동정을 위해 SIM mode 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두릅나무 및 음나무 순에서 10종(3,4-dihydroxybenzoic acid, 3-O-caffeoylquinic acid, caffeic acid, 4-O-caffeoylquinic acid, 5-O-p-coumaroylquinic acid, 5-O-feruloylquinic acid, 5-O-caffeoylquinic acid methyl ester, 4,5-di-O-caffeoylquinic acid, 3-O-feruloyl-5-O-caffeoylquinic acid, 3-O-caffeoyl-5-O-feruloylquinic acid)의 페놀산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총 페놀산 함량은 두릅나무 순, 음나무 순이 각각 754.8, 845.3 mg/100g으로 확인하였다. 주요 성분인 5-O-caffeoylquinic acid, 3,5-di-O-caffeoylquinic acid는 두릅나무 순에서 각각 총 페놀산 함량 중 49, 44%로 서로 비슷한 함량을 보인 것이 비해 음나무 순에서는 각각 91, 3%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음나무 순에 비해 두릅나무 순에서 dicaffeoylquinic acid류의 생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이들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 인자 등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this study, shoots of Aralia elata and Kalopanax pictus which belong to the Araliaceae family were analyzed using UPLC-DAD-ESI(+)-QToF/MS to characterize of individual phenolic acids. METHODS AND RESULTS: Total thirteen phenolic acids were identified, and nine hydroxycinnamic acid d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UPLC-DAD-ESI(+)-QToF/MS 분석을 통해 국내산 두릅나무 및 음나무 순에 함유된 페놀산을 분리·동정하여 각 식물간의 페놀산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의 건강 보조 식품 원료로써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놀화합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페놀화합물은 식물성 이차대사물질 중 가장 큰 범주에 속하며, 여러 과일 및 채소류에서 8,0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Crozier et al., 2009). 페놀산은 구조에 따라 hydroxycinnamic acid류(C6-C3)와 hydroxybenzoicacid류(C6-C1)로 구분되며, 이 중 hydroxycinnamic acid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Mattila et al.
페놀산은 구조에 따라 어떻게 분류 가능한가? , 2009). 페놀산은 구조에 따라 hydroxycinnamic acid류(C6-C3)와 hydroxybenzoicacid류(C6-C1)로 구분되며, 이 중 hydroxycinnamic acid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Mattila et al., 2007).
페놀화합물 중 식물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페놀산은 무엇인가? , 1997). 식물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페놀산은 caffeic acid와 ferulic acid이며, caffeic acid는 주로 quinic acid와 ester 결합된 형태의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로 존재한다(Crozier et al., 2009; Helen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lifford, M. N., Jaganath, I. B., Ludwig, I. A., & Crozier, A. (2017). Chlorogenic acids and the acyl-quinic acids: discovery, biosynthesis, bioavailability and bioactivity. Natural Product Reports, 34(12), 1391-1421. 

  2. Clifford, M. N., Knight, S., Surucu, B., & Kuhnert, N. (2006). Characterization by LC- $MS^n$ of four new classes of chlorogenic acids in green coffee beans: dimethoxycinnamoylquinic acids, diferuloylquinic acids, caffeoyl-dimethoxycinnamoylquinic acids, and feruloyl-dimethoxycinnamoylquinic aci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4(6), 1957-1969. 

  3. Crozier, A., Jaganath, I. B., & Clifford, M. N. (2009). Dietary phenolics: chemistry, bioavailability and effects on health. Natural Product Reports, 26(8), 1001-1043. 

  4. Heleno, S. A., Martins, A., Queiroz, M. J. R., & Ferreira, I. C. (2015). Bioactivity of phenolic acids: Metabolites versus parent compounds: A review. Food Chemistry, 173, 501-513. 

  5. Hu, W., Huang, C., & Wang, M. H. (2012). 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Kalopanax pictus leaves. Food Chemistry, 131(2), 449-455. 

  6. Hwang, I. Y., Hwang, S. A., & Jeong, C. S. (2013). Effects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and their related origin on gastric lesion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8(4), 367-375. 

  7. Jaiswal, R., Sovdat, T., Vivan, F., & Kuhnert, N. (2010). Profiling and characterization by LC- $MS^n$ of the chlorogenic acids and hydroxycinnamoylshikimate esters in mate (Ilex paraguariensi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8(9), 5471-5484. 

  8. Jin, U. H., Lee, J. Y., Kang, S. K., Kim, J. K., Park, W. H., Kim, J. G., Moon, S. K., & Kim, C. H. (2005). A phenolic compound, 5-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 is a new type and strong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from methanol extract of Euonymus alatus. Life Sciences, 77(22), 2760-2769. 

  9. Kang, Y. S., Cho, T. O., & Hong, J. 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Aralia elata leaf powder. Korea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5(5), 593-599. 

  10. Kim, E. J., & Lee, W. 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shoots and leaves of Aralia elata and Kalopanax pict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4), 571-575. 

  11. Kim, W. J. (2015). Development for customer oriented food products and marketing strategy in small businesse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20(1), 8-10. 

  12. Kim, Y. H., Kim, J. P., Yun, B. S., Moon, S. S., & Yoo, I. D. (1998) Antioxidants isolated from Kalopanax pict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1, 89-109. 

  13. Kwon, B. S., Park, S. K., Kim, J. M., Kang, J. Y., Park, S. H., Kang, J. E., Lee, C. J., Park, S. B., Yoo, S. K., Lee, U., & Heo, H. J. (2018). Antioxidant capacity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shoot of Aralia elata on alcohol-induced cytotoxicity.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50(2), 216-224. 

  14. Lee, E. B., Hyun, J. E., Kim, I. H., & Whang, W. K. (200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Kalopanax pictus bark and its fraction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7(2-3), 197-201. 

  15. Liang, N., & Kitts, D. (2015). Role of chlorogenic acids in controlling oxidative and inflammatory stress conditions. Nutrients, 8(1), 16. 

  16. Ma, S. J., Ko, B. S., & Park, K. H. (1995).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7(5), 807-812. 

  17. Ma, S. J., Kuk, J. H., Ko, B. S., & Park, K. H. (199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4-hydroxycinnam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Aralia elata.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9(4), 265-267. 

  18. Mattila, P., & Hellstrom, J. (2007). Phenolic acids in potatoes, vegetables, and some of their products.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0(3-4), 152-160. 

  19. Menin, B., Comino, C., Moglia, A., Dolzhenko, Y., Partis, E., & Lanteri, S. (2010). Identification and mapping of genes related to caffeoylquinic acid synthesis in Cynara cardunculus L. Plant Science, 179(4), 338-347. 

  20. Nugroho, A., Kim, M. H., Lee, J. H., Kim, J. D., Lee, K. R., Choi, J. S., Yoo, Y. M. & Park, H. J. (2011) Polyphenol analysi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extracts from eight Korean mountainous vegetable.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42(1), 38-45. 

  21. Oh, I. S., Han, J. W., & Kim, H. G. (2005). Water extracts of Aralia elata root bark enhances migr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secretion in porcine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0(4), 372-377. 

  22. Quang, T. H., Ngan, N. T. T., Minh, C. V., Kiem, P. V., Nhiem, N. X., Tai, B. H., Thao, N. P., Luyen, B. T. T., Song, S. B., & Kim, Y. H. (2011). Anti-inflammatory and PPAR subtypes transactivational activities of phenolics and lignans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32(11), 4049-4054. 

  23. Rice-Evans, C., Miller, N., &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ence, 2(4), 152-159. 

  24. Sano, K., Sanada, S., Ida, Y., & Shoji, J.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bark of Kalopanax pictus Nakai.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9(4), 865-870. 

  25. Sato, Y., Itagaki, S., Kurokawa, T., Ogura, J., Kobayashi, M., Hirano, T., Sugawara, M., & Iseki, K. (2011).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properties of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403(1-2), 136-138. 

  26. Viacava, G. E., Roura, S. I., Berrueta, L. A., Iriondo, C., Gallo, B., & Alonso-Salces, R. M. (2017).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green and red oak-leaf lettuce cultivars by UHPLC-DAD-ESI-QToF/MS using MSE scan mode.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52(12), 873-902. 

  27. Zhao, Y., Wang, J., Ballevre, O., Luo, H., & Zhang, W. (2012). Antihypertensive effects and mechanisms of chlorogenic acids. Hypertension Research, 35(4), 370-374. 

  28. Zheng, W., & Clifford, M. N. (2008). Profiling the chlorogenic acid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from China. Food Chemistry, 106(1), 147-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