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 다문화 서비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Libraries and Local Organizations: Focusing on Multicultural Servic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1, 2018년, pp.299 - 324  

임여주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사회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다문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방식을 알아보고 그를 통해 다문화 인구에게 더욱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사서들과, 그들과 협력 관계에 있는 기관의 관계자들을 만나 심층 면담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에서 협력을 시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업무 담당 사서 인력의 부족과 사서의 다문화 관련 문화적 역량의 부족에서 찾을 수 있었다. 협력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비롯한 여러 기관과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각 민족 커뮤니티의 게이트키퍼(gatekeeper)가 프로그램의 홍보와 참가자 모집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기도 했다. 면담 대상자 중 상당수가 협력을 통한 서비스의 큰 성과로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청소년이 도서관과 독서에 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점을 꼽았다. 협력을 통한 다양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가 이주민들에게 충분히 가 닿지 않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었다. 본 연구에 참가한 면담 대상자들은 현재의 서비스 방식에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며 이주민의 문화와 생활 방식에 맞는 새로운 도서관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es and the needs of public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opulations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local organiz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ians and officers of local organizations were conducted for this case study. Result s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주민들의 사회적응에 큰 역할을 해온 북미지역의 공공도서관의 무엇이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가장 먼저 고려되는가? 려하는 것 중 하나가 해당 이주민 커뮤니티와의 소통과 협력이다(임여주 2009; Beaulieu 2013).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무엇을 지원하고 있는가? 터)’를 설치하고 지원, 운영해오고 있다. 다문 화가족지원센터는 한국어 교육, 가족 및 자녀 교육/상담, 통/번역 및 취업정보 제공, 역량강 화지원 등의 종합적인 서비스를 통하여 다문화 가정의 안정적인 정착과 행복한 가족생활을 도 모하고 있다. 2018년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흔히 21세기를 이주의 시대라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흔히 21세기를 이주의 시대라고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이주가 행해지고 있 으며 한국 역시 그 흐름 안에서 변화해오고 있 다. 한국 사회가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가 되었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부. 2014. 5차교육정보화 기본계획. 세종: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4. 5Cha Gyoyukjeongbohwa Gibongyehoik.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 구본진, 이연옥, 장덕현. 2013. 다문화지원기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403-426. (Koo, Bon-Jin, Yeon-Ok Lee, and Durk-Hyun Chang. 2013.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of Multicultural Agencie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 A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403-426.) 

  3.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2018. [online]. [cited 2018.1.28]. .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2018. [online]. [cited 2018.1.28]. .) 

  4. 김기영, 오해연.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77-100. (Kim, Giyeong and Haeyeon Oh.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Users on Multi-cultural Services."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77-100.) 

  5. 김미숙, 김유경, 김안나, 김효진, 성수미. 2011. 다문화가족 아동의사회적응실태와 아동복지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im, Mi-Sook, Yoo-Kyung Kim, An-Na Kim, Hyo-Jin Kim, and Soo-Mi Sung. 2011.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 Welfare Service Provision.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다누리(다문화가족지원포털). 2018. [online]. [cited 2018.1.28]. . (Danuri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2018. [online]. [cited 2018.1.28]. .) 

  7. 서미정. 2009.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 서비스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Seo, Mi Jung. 2009. A Study on Developing a Children's Program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8. 안인자, 박미영.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9-301. (Ahn, Inja and Miyoung Park. 2011.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Programs and Improvement Methods Analyzed from Case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279-301.) 

  9. 양수연, 차미경.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311-332. (Yang, Soo-Youn and Mikyeong Cha. 2011. "A Study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311-332.) 

  10. 오해연,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의 주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25-145. (Oh, Haeyeon and Giyeong Kim. 2014. "Perception of Local Residences o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125-145.) 

  11. 이미정, 이미정. 2013.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 운영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295-321. (Lee, MiJung and MiJung Lee. 2013. "A Study on the Operation of Multi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295-321.) 

  12. 이연옥, 장덕현. 2013. 공공도서관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357-384. (Lee, Yeon-Ok and Durk-Hyun Chang. 2013. "Strategies for the Services for Immigrant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357-384.) 

  13. 이연옥, 장덕현. 2014. 다문화 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253-276. (Lee, Yeon-Ok and Durk-Hyun Chang. 2014.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4): 253-276.) 

  14. 이찬욱, 강진구, 노지은. 2014. 한국사회와 다문화 (개정판). 광명: 도서출판 경진. (Lee, Chan-Wook, Jin-Gu Kang, and Ji-Eun Roh. 2014.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2nd Edition. Kwangmyung: Kyungjin Publications.) 

  15. 임여주. 2009. 미국 공공도서관의 이민자 대상 서비스: 과거와 현재. 정보관리학회지, 26(2): 7-25. (Lim, Yeo-Joo. 2009.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n and No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2): 7-25.) 

  16. 임여주. 2016. 다문화 어린이 문학에 대한 독자반응 연구: 다문화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237-261. (Lim, Yeojoo. 2016. "A Study of Readers' Responses on Children's Books about Multiculturalism: Focusing on the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1): 237-261.) 

  17. 조용완, 이은주. 2010. 다문화사회에서의 도서관 서비스.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Jo, Yong-Wan and Eun-Joo Lee. 2010. Library Servi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Suwon: Gyeonggi-do Cyber Library.) 

  18. 한윤옥, 김수경, 조미아.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의 서비스 개발과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91-122. (Han, Yoon-Ok, Soo-Kyoung Kim, and Mi-Ah Cho.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91-122.) 

  19. Ansah, A. 2013. "Connecting with Multicultural Teens (and Their Famlies by Extension)." In C. Smallwood and Becnel, K. (Eds.),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atrons: Strategies to Encourage Library Use (pp. 131-138). Lenham, MA: Scarecrow. 

  20. Babbie, E. R. 2012.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3thEdition. Wadsworth Publishing. 

  21. Beaulieu, T. 2013. "No Surprise, Community Engagement Works." In C. Smallwood and Becnel, K. (Eds.),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atrons: Strategies to Encourage Library Use (pp. 13-20). Lanham, MA: Scarecrow. 

  22. CFLA. 2016. Library Service to Multicultural Communities [online]. [cited 2018.3.1]. . 

  23. Cooke, N. A. 2017. Information Services to Diverse Populations: Developing culturally competent library professionals. Santa Barbara, CA: Libraries Unlimited. 

  24. Elturk, G. 2003. "Diversity and Cultural Competency." Colorado Libraries, 29: 5-7. 

  25. Harrell, M. C. and M. A. Bradley. 2009. Data Collection 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Focus Groups.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6. IFLA. 2009a. Multicultural Communities: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online]. [cited 2018.1.30]. . 

  27. IFLA. 2009b. IFLA/UNESCO Multicultural Library Manifesto: The Multicultural Library - a gateway to a cultural diverse society in dialogue [online]. [cited 2018.1.30]. . 

  28. Kang, Soon-Won. 2010.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rights to education of migrant children in South Korea." Educational Review, 62(3): 287-300. 

  29. Kessler, R. and D. Stafford. (Eds.). 2008. Collaborative Medicine Case Studies: Evidence in Practice. Springer. 

  30. Khailova, L. 2013. "If You Build It, [They] Will Come: Actively inviting multicultural users to academic libraries by offering family literacy workshops." In C. Smallwood and Becnel, K. (Eds.),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atrons: Strategies to Encourage Library Use (pp. 215-224). Lenham, MA: Scarecrow. 

  31. Livesey, C. and T. Lawson. 2005. AS Sociology for AQA. London: Hodder Education. 

  32. Mason, J. 2004. "Semistructured Interview." In Lewis-Beck, M. S., Bryman, A., and Liao, T. F. The Sage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3. Mestre, Lori S. 2010. "Librarians Working with Diverse Populations: What impact does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have on their effort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6): 479-488. 

  34. Metoyer-Duran, C. 1991. Information Gatekeepers in California's Ethnic Communities: Final Report. California State Library, Sacramento. 

  35. Mills, A. J., G. Durepos and E. Wiebe. (Eds.). 2010. Encyclopedia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36. Rolls, G. 2005. Classic Case Studies in Psychology. Hodder Education. 

  37. Yin, R. K. 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ition.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