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하층식생 종 조성과 소나무 천연갱신양상
Understory Species Composition and Pinus densiflora Natural Regeneration in Pinus densiflora Stands Regenerated by Seed-Tree Method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1, 2018년, pp.25 - 34  

변성엽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를 대상으로 시업에 의한 하층식생 비교 및 갱신 치수의 생장초기과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시업지 12개소(요형지 6개소, 사면부 6개소)와 대조구 6개소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각 조사구에 대해 식생조사 및 각 치수의 절간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수림 시업지의 하층에는 싸리, 산초나무, 광대싸리, 조록싸리, 국수나무 등의 관목성 식물과 억새, 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 맑은대쑥 등의 초본성 식물, 칡, 청가시덩굴, 마, 다래, 왕머루, 산딸기 등 덩굴성 식물이 상당수 이입하고 있었다. 특히, 덩굴성 식물은 요형지에서 대조구와 사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이입되고 있었다. 매목조사 결과, 소나무 갱신치수는 비피압목 3,175본/ha, 피압목 7,842본/ha으로 나타났으며, 요형지의 경우, 사면부에 비해 갱신치수의 발생 밀도가 매우 낮았는데, 이는 덩굴성 식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 이들 덩굴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제거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비피압목과 피압목의 절간생장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피압목의 절간생장속도는 피압목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갱신치수가 주변 식물과의 경쟁에서 이겨낼 능력을 갖추게 되면 급격한 생장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모수림 시업 초기에는 풀베기작업 등을 통한 집약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iscover the comparison of the understory species composition and the growth velocity of the regeneration seedlings in Pinus densiflora forests being managed by the seed-tree method from 2008 year. The investigation site located in Bonghwa, Gyeongsangbuk-do province was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0), 갱신유형별 하층식생 변화(Jeong, 2013), 유용활엽수 천연갱신양상(Hong, 2017) 등이 일부 학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모수림 시업지 내에서의 천연갱신에 대한 생태적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북 봉화군 장군봉내에 위치한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를 대상으로 시업에 따른 하층식생 비교 및 갱신 치수의 생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갱신의 개념은? 조림학(Silviculture)에서의 천연갱신(Natural regeneration) 개념은 주로 ‘자연의 힘으로 후계림을 조성하는 것’을 뜻하며(Youn, 2009) 일반적으로 천연갱신작업이라는 말로 표현이 되고 있는 천연조림(Natural forestation)이란 기존의 임분에서 자연적으로 공급되어진 종자 및 임목 자체의 재생력(맹아 등) 등을 이용해 새로운 임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Yim et al., 1991).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산림녹화에 성공한 대표 국가로 인식된 녹화사업은? 우리나라 산림은 과거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을 거쳐 황폐화되었으며(Kim and Lee, 2012), 이를 빠르게 녹화하기 위해, 1․2차 치산녹화사업(1973∼1987년), 산지자원화 10개년 계획(1988∼1997년), 제 4차 산림기본계획(1998∼2007년), 제 5차 산림기본계획(2008∼2017년)을 수행하여 왔다(Byeon and Yun, 2017). 이러한 계획 속에 우리나라는 산림을 녹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산림녹화에 성공한 대표 국가로 거론 되고 있으며(Lester, 2006), 일반적으로 실행이 용이하고 시업적으로 후계림 조성이 신속한 장점이 있는 인공조림이 널리 시행되어 왔다(Na et al.
모수림 시업지의 하층에 상당수 이입된 식물은? 조사구는 시업지 12개소(요형지 6개소, 사면부 6개소)와 대조구 6개소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각 조사구에 대해 식생조사 및 각 치수의 절간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수림 시업지의 하층에는 싸리, 산초나무, 광대싸리, 조록싸리, 국수나무 등의 관목성 식물과 억새, 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 맑은대쑥 등의 초본성 식물, 칡, 청가시덩굴, 마, 다래, 왕머루, 산딸기 등 덩굴성 식물이 상당수 이입하고 있었다. 특히, 덩굴성 식물은 요형지에서 대조구와 사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이입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K.H., Kim, J.S., Lee, C.S., Cho, H.J., Lee, H.Y. and Cho, Y.C. 2014. Initial development of forest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after clear-c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ern Gangwon-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23-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yeon, S.Y. and Yun, C.W. 2017. Vegetation type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forest in Mt. Janggunbong, Bonghwa-Gu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3): 297-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arignan, V. and Villard, M. 2002. Selecting indicator species to monitor ecological integrity: a review.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78(1): 45-61. 

  4. Cho, Y.C., Kim, J.S., Lee, C.S., Cho, H.J., Lee, H.Y. and Bae, K.H. 2011. Early successional change of vegetation composition after clear cutting in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er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2): 240-2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6. De Caceres, M., Legendre, P. and Moretti, M. 2010. Improving indicator species analysis by combining groups of sites. Oikos 119: 1674-1684. 

  7.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67(3): 345-366. 

  8. Hong, J.M. 2017. A Study on the hardwood natural regeneration in useful hardwood mother tree stand area. Master thesis in Sangji University, pp. 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ong, S.C., Byen, S.H. and Kim, S.S.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Gyemyengsa. Korea, pp.310. (in Korean) 

  10. Jeon, S.W., Song, W.K., Lee, M.J. and Kang, B.J. 2010.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by complement of the vegetation community stability item.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2): 114-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g, H.M. 2013. Changes of understory for regeneration type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n Uljin. Master thesi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eong, S.Y., Cho, Y.C., Byun, B.K., Kim, H.J., Bae, K.H., Kim, H.S. and Kim, J.S. 2015. Initial responses of vegetation regeneration after strip clear cutting in secondary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amcheok, Gangwon-do, South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5): 785-7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J. 2017. Natural regeneration pattern and strategy of Acer pictum subsp. mono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Mt. Joongwang. Doctor thesis in Kangwon University, pp. 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S., Jeong, J.M., Cho, G.H., Baek, S.A. and Jung, D.H. 2015. Regeneration Mechanism and Technology Trends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pp. 238. (in Korean) 

  15. Kim, J.Y. and Lee, K.J. 2012.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 - In case of Chiaksan, Songnisan, Deogyusan, and Naejangsan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604-6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Y. and Lee, K.J. 2012.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604-6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rea Forest Service. 2010a.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kpni/. 

  18. Korea Forest Service. 2010b.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http://www.kma.go.kr/. 

  20.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63.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http://www.kigam.re.kr. 

  21. Lee, C.S. and Kim, H.E. 1989. Ecological study of natural regeneration by selfsown of Pinus densiflora forest.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7(2): 100-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999. (in Korean) 

  23. Lester R. 2006. Plan B 2.0. USA, pp. 495. 

  24. McGeogh, M.A. 1998. The selection, testing and application of terrestrial insects as bioindicators. Biological Reviews 73(2): 181-201. 

  25. Na, S.J., Woo, K.S., Kim, C.S., Yoon, J.H., Lee, H.H. and Lee, D.H. 2010. Comparison of above-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naturally regenerated and plant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3): 323-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Niemi, G.J. and McDonald, M.E. 2004. Application of ecological indicators.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5: 89-111. 

  27. Park, E.H., Kim, J.G. Lee, J.H. Cho, H.S. and Min, J.K. 2004. Vege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6): 335-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J.H., Kim, S.K., Lee, S.T., Lee, K.S. and Kim, H.H. 2013. Thinning effect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oak stan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6):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Park, J.H., Kim, S.K., Lee, S.T., Lee, K.S. and Kim, H.H. 2013. Thinning effect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oak stan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6):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P.S. and Jeon, Y.G. 2010. Stand structure and seedling recruitment of Abies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Gyeonggi-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153-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him, K.K., Ahn, Y.H. and Yoo, M.S. 1985. Studies on photosynthesis of perennial vines (Actinidia arguta, Celastrus orbiculatus, Lonicera japonica, Lonicera japonica var. aureoreticulata, Lonicera sempervirens).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6(1): 44-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hin, C.S. and Kim, H.E. 2006. Natural regeneration of tree species after clear-cutting in a coniferous plant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4): 501-5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on, Y.H., Koo, C.D., Kim, C.S., Park, P.S., Yun, C.W. and Lee, K.H. 2016. Forest Ecology. Hyangmunsa. Seoul, Korea, pp. 346. (in Korean) 

  34. Um, T.W. 2015. Change of tree species and stand structure on the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of Larix Kaemferi plantatio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4): 580-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Walter, H., Harnickell, E. and Mueller-Dombois, D. 1975. Climate-diagram maps of the individual continents and the ecological climatic regions of the earth. Springer-Verlag. Berlin. pp. 36. 

  36. Yim, K.B., Ko, D.S., Oh, G.I., Kwon, K.W., Lee, G.Y., Kwon, Y.C., Lee, G.J., Kim, S.I. and Kim, J.H. 1991. The Point of Silviculture. Hyangmunsa. Seoul, Korea, pp. 347. (in Korean) 

  37. Youn, Y.I. 2009. The natural regeneration and stand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Fir stand in Nae Sorak -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the natural regeneration in a Natural Fir forest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27(2): 176-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Yun, C.W. 2016.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Seoul, Korea, pp.703. (in Korean) 

  39. Zhang, M., Kim, J.S., Cho, Y.C., Bae, S.W., Yun, C.W., Byun, B.K. and Bae, K.H. 2013. Initial responses of understory vegetation to 15%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Mature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in Gyungsangbuk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39-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