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Stand Structure of Actual Vegetation in the Natural Forests and Plantation Area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6, 2016년, pp.1032 - 1046  

변성엽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특성을 규명하여 생태적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1개소의 식생조사자료를 토대로 상관우점종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천연림에서 신갈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피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인공조림지에서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천연림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 44.3, 소나무 12.1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27.6, 쇠물푸레 12.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고, 인공조림지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잣나무 22.6, 일본잎갈나무 15.4, 물푸레나무 13.3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 굴참나무 17.9, 담쟁이덩굴 14.1, 신갈나무 10.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덩굴성 식물의 중요치가 천연림에 비하여 인공조림지에서 높았다. 종다양성 지수는 계곡부에서는 천연림 2.334, 인공조림지 1.734, 사면부에서는 천연림 1.931, 인공조림지 1.927으로 각각 나타났다. 장군봉 일대 산림식생의 관리를 위해서는 지형과 상관군락단위별 차별화된 관리방법이 필요하고, 특히 인공조림지 내 덩굴식물의 높은 중요치를 줄일 수 있는 관리방안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in Janggunbong, Bonghwa-Gun.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Janggunbong, Bonghwa-Gun, from July, 2014 to October, 2015. We carried out an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on the physiognomically dominant 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만 이루어졌을 뿐 생태적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천연림과 인공조림지 사이의 임분구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청 선도산림경영단지로 지정되어 있는 경북 봉화군 장군봉의 천연림과 인공조림지의 사면과 계곡에 따른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봉화군 장군봉의 상관 우점종에 의한 식생유형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특성을 규명하여 생태적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1개소의 식생조사자료를 토대로 상관우점종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천연림에서 신갈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피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인공조림지에서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천연림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 44.
현존식생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현존식생(actual vegetation)은 자연군락(natural community)과 대상군락(substitute community)으로 구분되고 자연군락은 자연조건에 적응한 구조와 종조성을 가지며, 대상군락은 인위적 작용에 의해 성립․유지된다. 따라서 인공조림지는 대상군락으로, 천연림은 자연군락으로 볼 수 있으며, 인공조림지와 천연림은 모두 다양한 생태권 체계에서 생태계와 개체군 사이의 군락이나 군집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군락 또는 군집 생태학적 접근이 중요하다. 또한 생육지의 환경과 반응하여 결정된 종들이 모여 이루어진 식물군락은 구성 종의 성장, 고사, 교대 등의 과정에 의해 동적인 상태로 존재한다(Kang, 2012; Ko, 2013).
봉화군 장군봉 현존식생에 대한 중요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총 111개소의 식생조사자료를 토대로 상관우점종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천연림에서 신갈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피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인공조림지에서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천연림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 44.3, 소나무 12.1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27.6, 쇠물푸레 12.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고, 인공조림지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잣나무 22.6, 일본잎갈나무 15.4, 물푸레나무 13.3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 굴참나무 17.9, 담쟁이덩굴 14.1, 신갈나무 10.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덩굴성 식물의 중요치가 천연림에 비하여 인공조림지에서 높았다. 종다양성 지수는 계곡부에서는 천연림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ae, K.H., H.J. Cho and S.C. Hong (2003)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Sokwang-Ri, Uljin-Gun in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6(6): 536-5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Menlow Park, California, U.S.A, pp. 155-229. 

  3. Bazzaz, F.A. (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0: 351-371. 

  4. Braun-Blau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5.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Iowa, pp.184. 

  6. Cho, M.G., J.M. Chung, H.R. Jung, M.Y. Kang and H.S. Moon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communities in subalpine zon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6(5):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H.K., B.B. Park, J.H. Sung and M.Y. Shin (2013) Comparison of competition indices by silvicultural systems before and after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eongchang.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2(4): 515-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9. Ellenberg, H (1956)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Ulmer, Stuttgart, pp. 136. 

  10. Hong, S.C., S.H. Byen and S.S. Kim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Gyemyengsa, Korea, pp.310. 

  11. Jeon, S.W., W.K. Song, M.J. Lee and B.J. Kang (2010)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by complement of the vegetation community stability item.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2): 114-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eong, T.S., K.C. Kwon and H.E. Kim (2002) Regeneration patterns after thinning of the Pinus rigida stands at Mt. Worak.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19(0): 53-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ung, N.K., S.C. Jung, S.H. Oh, J.G. Byun, T.C. Hur and S.H. Joo (2009) Vegetational structure classification of around the Janggunbong in Bonghwa-Gun. Korean Institure of Forest Recreation 13(1): 27-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ang, H.J (2012)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Yeongil District Erosion Control Areas. Master thesis in Kongju University, pp.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H.J. and C.W. Yun (2009)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Mt. Munsu and Mt. Okseok.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8(4): 379-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Y. and K.J. Lee (2012)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 - In case of Chiaksan, Songnisan, Deogyusa and Naejangsa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4): 604-6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Y.J., J.H. Sung, H.M. Yang and M.Y. Shin (2012) Changes in stand structures before and after silvicultural treatment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of Pyungchang A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1(2): 297-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o, S.Y (2013) Stand Structure and Disturbance Regime of the Picea jezoensis in Mt. Gyebangsan. Master thesis in Kongju University, pp.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rea Forest Service (2010)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 go.kr/. 

  20. Korea Forest Service (2010)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 .go.kr/kpni/. 

  21. Korea Forest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440. 

  2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http://www.kma.go.kr/. 

  23. Krebs, C.J (1985) Ecology (3rd ed). Haber & Row, Publishing company, pp. 3-14. 

  24. Lee, B.C. and C.W. Yun (2002)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Ecology and Environment 25(3): 153-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 pp. 999. 

  26. Lee, J.Y., J.G. Oh, I.S. Jang and H.S. Kim (2015)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Youngbong area in the Worak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1): 5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K.J., S.S. Han, J.H. Kim and E.S. Kim (1996) Forest Ecology. Hyangmunsa, Korea, pp. 335. 

  28. Louks, O.C (1970)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and community stability. American Zoologist 10: 17-25. 

  29. Nagaike, T (2000) A review of ecological studies on plant species diversity in plantation ecosystems.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ry Society 82(4): 407-416. 

  30.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 An understanding of ecological succession provide a basis for resolving man's conflict with nature. Science 164: 262-270. 

  31. Park, E.H., J.G. Kim, J.H. Lee, H.S. Cho and J.K. Min (2004) Vege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6): 335-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Park, S.G. and H.M. Kang (201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6): 907-9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Park, Y.S., H.K. Song, S. Yee and M.J. Lee (2001)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the valley part of Kyeryongsan national park.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0(3): 249-2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Pickett, S.T.A. and P.S. White (1985) Natural Disturbance and Patch Dynamics : An Introduction, In Distribution and Patch Dynamics. Academic Press, pp. 472. 

  35. Richardson, D.M., P.W. Rundel, S.T. Jackson, R.O. Teskey, J. Aonson, A. Bytnerowicz, M.J. Wingfield, and S. Proches (2007) Human impacts in pine forests : past, present, and futur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8: 275-297. 

  36.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7. Shim, K.K., Y.H. Ahn and M.S. Yoo (1985) Studies on photosynthesis of perennial vines (Actinidia arguta, Celastrus orbiculatus, Lonicera japonica, Lonicera japonica var. aureoreticulata, Lonicera sempervirens).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6(1): 44-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hin, H.S. and C.W. Yun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forest vegetation of Mt. Gaya in Chungnam.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8(3):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on, Y.H., C.D. Koo, C.S. Kim, P.S. Park, C.W. Yun and K.H. Lee (2016) Forest Ecology. Hyangmunsa, Korea, pp. 346. 

  40. Sung, J.H., Y.G. Lee, K.E. Park and M.Y. Shin (2014) Assessment of stand diversity change by different silvicultural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Mt. Gariwang.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3(4): 613-6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Um, T.W (2015) Change of tree species and stand structure on the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of Larix kaemferi plantation - In Odaesan national park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4): 580-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van Staden, P.J. and G.J. Bredenkamp (2005) Major plant communities of the Marakele national park. Koedoe 48(2): 59-70. 

  43. Walter, H., E. Harnickell and D. Mueller-Dombois (1975) Climatediagram maps of the individual continents and the ecological climatic regions of the earth. Springer-Verlag, Berlin, pp. 36. 

  44.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45. Yun, C.W (2016)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Korea, pp.703. 

  46. Yun, C.W., H.J. Kim, B.C. Lee, J.H. Shin, H.M. Yang and J.H. Lim (2011) Characteristic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South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0(3): 504-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7. Yun, C.W., C.H. Lee and H.J. Kim (2007)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5): 379-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8. Yun, C.W., S.H. Oh, J.H. Lee, S.H. Joo and S.C. Hong (1999) Prediction of succession and silvicultural control in the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88(2): 229-2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9. Zhang, M., J.S. Kim, Y.C. Cho, S.W. Bae, C.W. Yun, B.K. Byun and K.H. Bae (2013) Initial responses of understory vegetation to 15% aggregated retention harvest in Mature Oak (Quercus mongolica) forest in Gyungsangbukdo.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2(2): 239-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