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lobacterium Halobium의 Membrane에서 Fluoxetine의 Partial Molar Volum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al Molar Volume of Fluoxetine in Membrane of Holobacterium Holobium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157 - 162  

김기준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정형학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김주한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송희준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lobacterium Halobium에서 항우울제의 부분 몰 부피와 몇 가지 지질의 부유물은 과량의 부피 팽창 계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측정되었다. 일반적인 항우울제 인 Fluoxetine의 효능은 오랫동안 지질 용해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Halobacterium Halobium의 보라색 막에서 유일한 막 단백질 인 소포의 변성은 280nm에서 흡수 변화에 의해 연구되었고 과도한 부피 팽창 계로 330nm에서 형광 변화를 보였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1H NMR 분석은 측정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Fluoxetine의 부분 몰 부피와 입자 크기는 양성으로 측정되었다. 항우울제는 낮은 사기와 우울증에 근거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증상을 유발하는 질병을 예방하여 일일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걸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rtial molar volumes of an antidepressant in Halobacteriun Halobium and in suspensions of several lipids have been determined at $25^{\circ}C$ it using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otency of general antidepressant, Fluoxetine has long been known to correlate with lipid solu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 사용한 Halobacterium Halobium(HH) 은 고농도의 염 용액에서 자라는 진핵 세포로서 미생물로부터 배양한 후 purple membrane(PM)과 red membrane(RM)을 분리하였다[5,6]. Purple membrane에 빛을 쪼여주면 광순환 회로를 돌게 되며, proton이 pumping되고, pH가 중성으로 변화된다.

대상 데이터

  • Beckman 온도계와 스위치가 부착된 항온조는 VWR Scientific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입자크기 분석은 Sedigraph 5000(model BI-DCP)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우울제인 Fluoxetine은 미국의 제약회사인 Watson PharmaceuticalsAldrich사에서 구입하였고, tris-base 등은 Sigma chemical사에서 구입했으며, pepton(Bacteriological Technical Bactor Agar)은 Difco Lab. 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dilatometer는 Duncan과 Sheridan[6]의 dilatometer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이란? 우울증, 즉 우울장애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느끼는 주요 증상으로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더구나 우울장애는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우울장애가 심각한 질환인 이유는? 우울증, 즉 우울장애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느끼는 주요 증상으로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더구나 우울장애는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이는 다양한 정신 질환이 함께 나타날 수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주요 우울 장애를 경험한 환자들의 대부분이 불안으로 인한 원인으로 고통 받는다.
우울 장애를 경험한 환자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이는 다양한 정신 질환이 함께 나타날 수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주요 우울 장애를 경험한 환자들의 대부분이 불안으로 인한 원인으로 고통 받는다. 불안 증상의 악영향으로 심한 기능 손상 및 자살 시도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주요 우울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알코올을 포함한 물질의 중독 및 의존의 비율이 높으며,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공황 또한 높은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 J. Kim, K. C. Sung, H. S. Lee, "J. Korean Eng. Chem," Vol. 11, No. 1, pp. 24-28. (2000). 

  2. Miller, K. W., Hammond, L. and Porter, E. G, "Chem. Phys. Lipids," Vol. 20, pp. 229-241, (1977). 

  3. Simon, S. A., McIntosh, T. J., Bennett, P. B. and Shrivastav, B. B, "Mol. Pharmacol," Vol. 16, pp. 163-170, (1979). 

  4. Colley, C. M. and Metcalfe, J. C, "FEBS Lett," Vol. 24, pp. 241-246, (1972). 

  5. Smith, R. A., Porter, E. G. and Miller, K. W. "Biochim. Biophys. Acta," Vol. 645, pp. 327-338, (1981). 

  6. Franks, N. P and Leib, W. R, "Nature," Vol. 274, pp. 339, (1967). 

  7. Battino, R, "Chem. Rev", Vol. 71, pp. 5-45. (1971). 

  8. Pfug, H. D. and Benson, G. C, "Can. J. Chem", Vol. 46, pp. 287-294, (1968). 

  9. Duncan, W. A., Sheridan, J .P. and Swinto, J. L, "Trans. Faraday Soc.," Vol. 61, pp. 421, (1965). 

  10. Steeckenius, W., Rowen, R, "J. Cell Biol," Vol. 34, pp. 337-357, (1967). 

  11. Mullins, L. J. "Chem. Rev", Vol. 54, pp. 289-323, (1964). 

  12. Haydon, D. A., Hendry, B. M., Lerinson, S. R. "Biochim Biophys. Acta," Vol. 470, pp. 17-34, (1977). 

  13. Yao JC, Hassan M, Phan A, Dagohoy C, Leary C, Mares JE, et al. "One hundred years after carcinoid," epidemiology of and prognostic factors for neuroendocrine tumors in 35,825 cases in the United States. J Clin Oncol, Vol. 26, No. 18, pp. 3063-3071, (2008). 

  14. Maggard MA, O'Connell JB, Ko CY. "Updated population-based review of carcinoid tumors. Ann Surg vol," Vol. 240, No. 1, pp. 117-122, (2004) 

  15. Zuetenhorst JM, Taal BG. Metastatic carcinoid tumors: a clinical review. "Oncologist," vol. 10, No. 2, pp. 123-132, (2005). 

  16. Boudreaux JP, Klimstra DS, Hassan MM, Woltering EA, Jensen RT, Goldsmith SJ, et al. "The NANETS consensus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euroendocrine tumors," well-differentiated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Jejunum, Ileum, Appendix, and Cecum. Pancreas, Vol. 39, No. 6, pp. 755-76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