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폐기물을 성토재로 사용한 산업단지에서의 중금속 오염 원인 규명
Source Identific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t an Industrial Complex Established Using Construction Waste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3 no.1, 2018년, pp.54 - 62  

주권호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기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남경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정재웅 (안전성평가연구소 경남환경독성본부) ,  문세흠 (안양대학교 교양학부) ,  최용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imed at source tracking of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at a site established by reusing construction wastes. The soil heavy metal concentration at the study site peaked at a depth range of 5-10 m. Column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contamination s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을 성토재로 사용한 부지에서의 중금속 오염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주상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현장의 토양을 심도 별로 분 석한 결과, 5-10m 부근의 심도에서 중금속 농도가 타 심도에 비해 확연히 높은 특성을 확인하였다.
  • 대상 부지의 전반적인 조사를 통하여 3m 이하의 지하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중금속 농도가 발견되었으며, 그 두 가능한 원인으로 중금속 오염 폐기물의 매립 및 지상으로부터의 중금속 유입으로 인한 축적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부지 중 특정 지점을 대상으로 현장의 조건을 모사한 주상실험을 통하여 지상으로부터의 중금속 유입으로 인한 지중오염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시료 내의 중금속과 고농도 납 오염수를 통한 주상실험 후 매질 시료 내의 중금속의 존재 형태를 비교분석하여 현장 토양이 외부로부터의 중금속 유입을 통해 오염되었을 개연성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존재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연속추출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Tessier et al.
  • 1절에 기술한 바와 같이 5-10 m 심도에서 채취한 E-2 시료에서 일부 대상 중금속에 대한 오염이 확인되었으므로, 이 심토 오염이 지상으로부터 중금속 함유 빗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실 규모의 주상실험을 설계하였다. 즉, 본 주상실험의 목적은 지표로부터 토양으로 유입되는 중금속 함유 유입수가 0-5 m 심도 영역에 상당한 중금속 축적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로 통과한 후 5-10 m 심도 영역에 선택적으로 축적되어 상당한 중금속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개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상실험은 E-1 및 E-2 시료 각각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건설폐기물 발생량의 동향은 어떠한가? 9% 증가한 양이다(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6a).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2015년 기준 전체 폐기물 발생량 중 약 49%가 건설폐기물에 해당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ME, 2016a).
빗물을 통해 유입된 중금속이 5 m 깊이의 표층을 통과하여 심토층에 선택적으로 축적될 가능성을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주상실험을 통해 빗물에 의한 장기적인 중금속 유입을 모사한 결과, 컬럼 내 중금속의 이동성은 매우 낮았으며, 유입된 중금속은 대부분 유입 지점에 축적되었다. 연속추출법을 통해 오염수를 통하여 유입된 중금속은 컬럼 내 토양과 비교적 약한 결합을 형성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금속의 이동성이 매우 낮은 것은 pH 10 이상의 높은 알칼리성을 띄는 현장 시료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현장에서 빗물을 통해 유입된 중금속이 5 m 깊이의 표층을 통과하여 심토층에 선택적으로 축적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 다.
건설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 관련 업무처리지침에는 어떠한 내용이 있는가? 하지만 건설폐기물 은 일반적으로 알칼리성을 띄고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존재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용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성토·복토용, 되메우기 및 뒷채움 등으로 활용될 경우 대량으로 환경에 유입되어 대부분 궁극적으로 환경의 일부가 되기 때문에, 이를 재활용할 때에는 환경적 건전성을 고려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환경부의 『건설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 관련 업무처리지침』에서는 물의 침투로 인한 지하 용출이 가능한 경우 등에 대하여 유출수의 알칼리성을 고려하여 pH를 저감시킨 전 처리 순환골재를 사용하거나 환경관련 기준 준수를 위한 시설(배수로, 집수정 등)을 설치하여 유출수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해야 함을 공시하고 있다(ME, 2015). 또한 국토교통부의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는 순환골재를 성토·복토용으로 사용시 토양오염우려기준의 만족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albers, T.G., De Wilde, P., Rood, G., Vermij, P., Saft, R., Van De Beek, A., Broekman, M., Masereeuw, P., Kamphuis, C., and Dekker, P., 1996, Environmental quality of primary and secondary construction materials in relation to re-use and protection of soil and surface water, RIVM-Rep. No. 7714002007. 

  2. Butera, S., Christensen, T.H., and Astrup, T.F., 2014, Composition and leaching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inorganic elements and organic compounds. J. Hazard. Mater., 276, 302-311. 

  3. Dyer, J.A., Scrivner, N.C., and Dentel, S.K., 1998, A practical guide for determining the solubility of metal hydroxides and oxides in water, Environ. Prog. Sustain., 17, 1-8. 

  4. Element, C., 2007, Method 3051A microwave assisted acid digestion of sediments, sludges, soils, and oils. 

  5. Goldman, S.J. and Jackson, K., 1986,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Handbook. 

  6. Huang, Y.-H., Chen, C.-C., Huang, G.-H., and Chou, S., 2001, Comparison of a novel electro-Fenton method with Fenton's reagent in treating a highly contaminated wastewater, Water Sci. Technol., 43, 17-24. 

  7. ISO/TS 21268-3:2007-07, Soil quality - Leaching procedures for subsequent chemical and ecotoxicological testing of soil and soil materials - Part 3: Up-flow percolation test. 

  8. Jung, M.C., 1994, Sequential extraction of heavy metal in soils and a case study, Econ. Environ. Geol., 27, 469-477. 

  9. Lee, H., Yu, G., Choi, Y., Jho, E.H., and Nam, K., 2017, Longterm leaching prediction of constituents in coal bottom ash used as a structural fill material, J. Soil. Sediment., 1-10. 

  10. Li, X., Poon, C.S., Sun, H., Lo, I., and Kirk, D.W., 2001, Heavy metal speciation and leaching behaviors in cement based solidified/stabilized waste materials, J. Hazard. Mater., 82, 215-230. 

  11.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Business management guideline for treatment and recycle of construction waste. 

  12.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2015 Nationwide waste occurrence and treatment status. 

  13.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The third study for establishment of recycle basic plan of construction waste. 

  14.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Regulation concerning procedure and method for recycling environmental assessment. 

  15.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Basic plan for groundwater management. 

  16.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Quality standard for recycled aggregate. 

  17. Patterson, J.W., 1985,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Second edition, Butterworth, Boston. 

  18. Saeki, K., Okazaki, M., and Matsumoto, S., 1993, The chemical phase changes in heavy metals with drying and oxidation of the lake sediments, Water Res., 27, 1243-1251. 

  19. Tessier, A., Campbell, P.G.,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 Chem., 51, 844-851. 

  20. Verschoor, A., Lijzen, J., Cleven, R., Comans, R., Dijkstra, J., and Vermij, P., 2007, Kritische emissiewaarden voor bouwstoffen, Milieuhygienische onderbouwing en consequenties voor bouwmaterialen. 

  21. Wijaya, A.R., Ouchi, A.K., Tanaka, K., Cohen, M.D., Sirirattanachai, S., Shinjo, R., and Ohde, S., 2013,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and Pb isotopic compositions in the Chao Phraya River sediments: Implication for anthropogenic inputs from urbanized areas, Bangkok, J. Geochem. Explor., 126, 45-54. 

  22. Zhu, G., Guo, Q., Xiao, H., Chen, T., and Yang, J., 2017, Multivariate statistical and lead isotopic analyses approach to identify heavy metal sources in topsoil from the industrial zone of Beijing Capital Iron and Steel Factory, Environ. Sci. Pollut. R., 24, 14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