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강토 옹벽의 형상을 고려한 벽체 및 인접지반 거동 연구
Investigation of Behaviours of Wall and Adjacent Ground Considering Shape of Geosynthetic Retaining Wall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7 no.1, 2018년, pp.95 - 109  

이종현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오동욱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공석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정혁상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Safety Engineering, Dongyang Univ.) ,  이용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보강토 공법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나 콘크리트 옹벽을 대체하는 공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옹벽뿐만 아니라 기초, 사면, 도로 등에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하다. 그러나, 우수와 같은 침투수로 인해 전면 벽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붕괴, 배부름 현상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곡선부에서는 응력집중 현상에 의해 전면 벽의 균열 등의 문제가 추가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보강토 옹벽 곡선부에 대한 정확한 설계 기준이 미흡하고 부실시공을 하는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피해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해 보강토 옹벽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옹벽의 형상(볼록형, 오목형)에 따른 직선부와 곡선부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GRS (Geosynthetic Retaining Segmental) wall has been widely used as a method to replace concrete retaining wall because of its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t has been variously applied for foundation, slope, road as well as retaining wall. The GRS wall system, 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합리적인 설계법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자 선행연구에 대한 추가적 연구로서, 보강토 옹벽의 형상(볼록, 오목)을 3D 수치해석에서 모델링하여 벽체의 수평 변위, 침하량, 등의 거동 및 안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평면 변형률 조건의 2D 수치 해석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보강토 옹벽의 피해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곡선부의 거동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보강토 옹벽의 곡선부와 직선부의 거동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옹벽의 형상에 따라 볼록형과 오목형 2가지 경우의 변수로 가정하여 곡선부와 직선부 및 주변 지반의 거동을 2D, 3D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전술한 보강토 옹벽의 곡선부를 포함한 실제적인 거동에 대한 본 연구를 위해 유한 요소해석 프로그램인 Plaxis 2D와 3D를 사용하였으며, 볼록형과 오목형의 두 가지 Case로 나누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Plaxis, 2016). 보강토 옹벽의 벽체는 실제 시공과 동일한 콘크리트 블록으로 모사하였으며, 블록 한 개당 높이 및 폭은 0.2m, 0.5m로 적용하였고 보강재 간 수직 간격은 실제 실무적인 점을 고려하여 0.4m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옹벽의 전체 높이는 한층 당 0.
  • 4m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옹벽의 전체 높이는 한층 당 0.4m 씩 13층으로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의 최소 높이인 5m 이상을 만족하는 5.2m로 가정하였다(Choi and Park, 2014). 보강재 길이는 (0.
  • 원지반과 성토체의 구성 모델은 지반 파괴 거동 해석에 적합한 Mohr-Coulomb 모델을, 전면벽체에는 Linear-elastic 모델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의 모델링은 지반 조건, 경계 조건, 옹벽의 높이, 보강재 길이 등 모든 조건을 2D와 3D을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3D 수치해석의 곡선부 모델링에서는 90°의 각도로 곡률반경 6m를 적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모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강토 옹벽의 대표적인 설계법은? 보강토 옹벽의 대표적인 설계법을 살펴보면, FHWA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방법과 NCMA(National Concrete Masonry Association) 방법이 있다. FHWA는 미 연방 도로국에서 제시하는 지침으로, 전면 벽체의 경우 패널식, 블록식 외에 다양한 형태의 전면 벽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NCMA의 경우 미국 석조 협회에서 제시하는 설계법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블록 형태의 전면 벽체에만 사용한다.
보강토 옹벽이란 무엇인가? 보강토 옹벽은 인장력과 마찰력이 큰 보강재를 성토체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하여 흙과 보강재간의 마찰력으로 성토체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해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전 면을 수직 벽체로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국내에서는 1986년에 띠 형 보강재가 도입되면서 사용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기존 콘크리트 옹벽의 대체 구조물로 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기술자들의 보강토 옹벽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고 설계 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현장에서 크고 작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현행 보강토 공법의 설계기준이 미흡하여 생기는 문제점은? 최근 보강토 공법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나 콘크리트 옹벽을 대체하는 공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옹벽뿐만 아니라 기초, 사면, 도로 등에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하다. 그러나, 우수와 같은 침투수로 인해 전면 벽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붕괴, 배부름 현상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곡선부에서는 응력집중 현상에 의해 전면 벽의 균열 등의 문제가 추가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보강토 옹벽 곡선부에 대한 정확한 설계 기준이 미흡하고 부실시공을 하는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rg. R. R., Christpoher, B. R., and Samtani, N. C. (2009), "Design and Construction of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nforced Soil Slopes - Volume 1, FHWANHI-10-02", National Highway Institut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2. Canadian Geotechnical Society (1985), "Excavations and Retaining Structures", Canadian Foundation Engineering Manual, Part 4. 

  3. Choi, I. G. and Park, Y. M. (2014), "Geotechnical Engineering for Filed Practice", Goomibook, pp.359-374. 

  4. Das, B. M.(2010),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CENGAGE Leaning, USA. pp.302-367. 

  5. James G. Collin (2001), "Lessons Learned from A Segmental Retaining Wall Failure",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Vol.19, pp.445-454. 

  6. James M. Gere (2004), SI Mechanics of materials 5th, Intervision, pp.24-26. 

  7. Jung, H. S. (2017) "Comparison of Behaviour of Straight and Curved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from Numerical Analysis Results",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16, No.4, pp.83-92. 

  8. Ki, J. S., Rew, W. H., Kim, S. K. and Chun, B. S. (2012) "A Behavior of Curve Section of Reinforced Retaining Wall by Model Test",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32, No.6C, pp.249-257. 

  9. Kim, H. T., Bang, Y. K., Park, J. Y., Choi, D. H., Lee, H. K., and Youn, K. W. (1998) "Quasi-Three Dimensional Stability Analysis of the Geosynthetic-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Korean Geotechnical Soviety, Vol.14, No.4, pp. 177-201. 

  10. Kim, S. S. (2007), "A failure case of 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6, No.2, pp.15-20. 

  11. Kim, Y. M., Lee, K. H. and Lim, K. S. (2006), "A study on the Shear Strength Reduction Technique of Slope Stability Analysis", 2006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12. Kim, Y. S., Ko, H. W., Kim, J. H., and Lee, J. G. (2012),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Joomunjin Standard Sand Using Cyclic Triaxial Test",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8, No.12, pp.53-64. 

  13.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07), "Geosynthetic retaining segmental wall design code for highway construction". 

  14.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3), "Practice tips of national road construction design", pp.37-38. 

  15.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2010), "Pracrice of reinforced soil method", CIR, pp.11-141, 187-240. 

  16.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998), "Geotextile design and construction", pp.302-303. 

  17. Lee, H. M., Yoo, H. K., Seo, Y. C. and Park, Y. S. (2001) "Behavoir of the Geogrid-Reinforced Slope", 2001 Geosynthetics Conference, pp.91-100. 

  18. Lee, I. M. (2014), "Principles of Foundation Engineering", CIR, pp.277-302. 

  19. Lee, K. W. and Singh, A. (1971), "Relative Denstity and Relative Compaction",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on, ASCE, Vol.97, No.SM7, pp.1049-1052. 

  20. Plaxis (2016), "Plaxis 3D Reference Manual", Plaxis, pp.85-90, 223-225. 

  21. Shibuya, S., Kawaguchi, T., Chae, J. G. (2007), "Failure of Reinforced Earth as Attacked by Typhoon",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Soils and Foundation, Vol.47, No.1, pp.153-160. 

  22. Wong, K. S, B. B. Broms (1994), "Failure modes at model tests of a geotextile reinforced wall", Geotextile and Geomembranes, Vol.13, No.6, pp.403-413. 

  23. Yoo, C. S., Jung, H, S., and Lee, S. W. (2004) "A case study of the collapsed retaining wall", Korean Geosynthetics Socitey, Vol.3, No.2, pp.13-21. 

  24. Yoo, C. S., Jung, H. Y. and Jung, H. S. (2005) "A case study in a rainfall induced failure of geosynthetics-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4, No.1, pp.17-25.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