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색효과를 고려한 사질토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
Behavior of cement-based permeation grouting in cohesionless soil considering clogging phenomen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0 no.2, 2018년, pp.485 - 500  

서종우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이인모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김병규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권영삼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질토에서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을 실내 챔버 모형실험 결과를 토대로 흙의 입도분포에 따라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불가 영역,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가능 영역, 그리고 급결제 혼합 필요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가능 영역에서는 대표 간극 반지름의 개념을 제안하였고 사질토에서의 평균 간극 반지름에 대한 대표 간극 반지름의 비를 실내실험 결과와 폐색 이론식을 비교함으로 구할 수 있었으며, 입도분포에 따라 1.07에서 1.35 정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조건 별로 실험결과와 이론식을 비교하여, lumped parameter (${\theta}$)를 흙의 대표 간극 반지름과 시멘트 그라우트재의 물시멘트비로부터 구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급결제 혼합 필요 영역에서는 겔화 시간의 조절을 통한 주입 깊이의 제한과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고 그 실험값이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 함수를 적용한 이론값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ehavior of cement-based permeation grouting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depending on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soils: (1) zone of cement-based permeation grouting not feasible; (2) zone of cement-based permeation grouting feasible; and (3) zone in which an accelerating ag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선 9가지 실험 케이스의 시료는 급결제 혼합 필요 영역, 시멘트 침투그라우팅 가능 영역, 시멘트 침투그라우팅 불가능 영역을 각각 대표한다. 각 영역을 입도분포에 따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시멘트 그라우팅의 거동이 변화하는 경계 입도분포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행 착오법으로 입도분포를 변화시켜가며 그라우트 주입실험을 실시하였고 주입거동의 경계 결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umped parameter (θ)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를 시멘트 그라우트의 물시멘트 비와 지반의 간극 반지름으로 보고 물시멘트비, 간극 반지름, 그리고 lumped parameter (θ)의 관계식을 도출하여 별도의 실험 없이 lumped parameter (θ)를 결정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그라우트가 뉴턴 유체로 거동하여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w/c = 1.25 이상인 조건(Yang et al., 2011)에서 실내 챔버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사질토 지반의 입도분포에 따른 시멘트 그라우트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이 가능한 조건에서 lumped parameter (θ)에 대한 경험식을 제안하고 급결제가 필요한 조건에서는 실험값과 점도 변화 함수를 적용한 이론값이 일치함을 보여 각 거동에서 그라우트 침투 모델을 통한 주입 성능 예측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에서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을 입도분포에 따라 분류하고 각 거동을 일차원 그라우트 침투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고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사질토에서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을 예측하고 분석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논문의 실험 및 연구는 모두 일차원 흐름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므로 Kim et al. (2009)의 그라우트 침투 모델 중 일차원 흐름에 관련된 이론식을 바탕으로 일차원 그라우트 침투 프로그램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그라우트 침투 프로그램이란 주입영역을 미소영역으로 분할하고 미분된 주입시간 동안 발생되는 그라우트의 점도 변화, 그라우트 입자의 흡착으로 인한 간극률, 투수계수, 간극유속, 그리고 흡착계수의 변화를 고려하고 주입시간에 대해 적분 개념을 적용하여 주입시간에 따른 주입량, 그라우트 입자의 흡착량, 지반의 투수 계수 및 간극률을 단계적으로 계산하는 프로그램이다.

가설 설정

  • 2. 급결제를 혼합한 그라우트의 점도는 수화반응 시간의 함수이다.
  • 3. 흡착된 그라우트 입자는 다시 이탈되지 않는다.
  • 4. 시멘트 입자의 분산과 확산은 무시할 수 있다.
  • 5. 주입압은 일정한 크기로 유지 된다 (등압주입 조건).
  • 6. 초기 지반 간극은 물로 포화되어 있다.
  • 포화가 완료되면 그라우트를 조성하고 주입장치 내에서 일정한 속도로 교반시켜 재료분리를 방지하며 모형지반으로 주입한 다. 그라우트의 주입량은 포화조건에서 그라우트 주입에 따라 발생된 유출수의 양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시간에 따른 유출수의 양을 Data Logger를 이용하여 측정해 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을 흙의 입도분포에 따라 구분하면? 사질토에서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을 실내 챔버 모형실험 결과를 토대로 흙의 입도분포에 따라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불가 영역,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가능 영역, 그리고 급결제 혼합 필요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가능 영역에서는 대표 간극 반지름의 개념을 제안하였고 사질토에서의 평균 간극 반지름에 대한 대표 간극 반지름의 비를 실내실험 결과와 폐색 이론식을 비교함으로 구할 수 있었으며, 입도분포에 따라 1.
시간-주입량 곡선의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 결정한 방법이 의미하는 바는? 이 결정 방법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준편차 b를 0으로 놓은 후의 이론적인 거동은 단일한 간극반경을 가지는 지반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b = 0 조건에서 m값을 바꿔가며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는 것은 간극 반지름이 분포를 가지는 경우와 단일한 간극반경을 가지는 경우가 동일한 거동을 하도록 하는 m 값을 찾는 과정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대표 간극 반지름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내 챔버 모형실험이 필요하므 로 본 연구의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라우트 침투 프로그램이란? (2009)의 그라우트 침투 모델 중 일차원 흐름에 관련된 이론식을 바탕으로 일차원 그라우트 침투 프로그램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그라우트 침투 프로그램이란 주입영역을 미소영역으로 분할하고 미분된 주입시간 동안 발생되는 그라우트의 점도 변화, 그라우트 입자의 흡착으로 인한 간극률, 투수계수, 간극유속, 그리고 흡착계수의 변화를 고려하고 주입시간에 대해 적분 개념을 적용하여 주입시간에 따른 주입량, 그라우트 입자의 흡착량, 지반의 투수 계수 및 간극률을 단계적으로 계산하는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의 가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Arya, L.M., Dierolf, T.S. (1992), "Predicting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from particle-size distributions: an improved method to calculate pore radii from particle radii",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Indirect Methods for Estimating the Hydraulic Properties of Unsaturated Soils,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CA, pp. 115-124. 

  2. Joo, E.J., Kim, Y.K., Shin, J.H., Kwon, O.Y. (2010), "Numerical study for the optimum grouting design of subsea tunnel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2, No. 5, pp. 349-358. 

  3. Kim, J.S., Lee, I.M., Jang, J.H., Choi, H. (2009), "Groutability of cement-based grout with consideration of viscosity and filtration phenomenon",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 33, No. 16, pp. 1771-1797. 

  4. Lee, J.W., Kim, H.M., Yazdani, M., Park, E.S. (2017), "Influence of design parameters of grout injection in rock mass using numerical analysi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27, No. 5, pp. 324-332. 

  5. Reddi, L.N., Bonala, M.V.S. (1997), "Analytical solution for fine particle accumulation in soil filter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3, No. 12, pp. 1143-1152. 

  6. Yang, Z.Q., Hou, K.P., Guo, T.T. (2011), "Study on the effects of different water-cement ratios on the flow pattern properties of cement grouts",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Vol. 71, pp. 1264-1267. 

  7. You, K.H. (2011), "Analysis on the effect of strength improvement and water barrier by tunnel grouting reinforcement",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3, No. 4, pp. 291-304. 

  8. You, K.H., Jie, H.K., Seo, K.W., Kim, S.J., You, D.W. (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ock mass permeability before and after grouting & injection volume and the parameters of Q system in a jointed rock mass tunne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4,No. 6, pp. 617-6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