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Change in the Commercially Gentrified Residential Areas in Seoul, Korea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4 no.1, 2018년, pp.31 - 47  

이기훈 (미국 New York University 부동산금융학과) ,  이수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천상현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 특성을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은 단독주택 연면적 비율이 높고 근린생활시설이 많은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고속도로 및 지하철 입구와 대학교 그리고 많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구 집중시설과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어션이 발생한 집계구의 도로 특성은 도로 길이가 길고, 도로 면적이 작으며, 도로망 네트워크의 부분 통합도 값이 크고, 3지 교차로가 많은 집계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이 골목길과 같은 유기적 도로망과 단독주택 위주의 낮은 주거밀도 그리고 인구유발시설과의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변화특성을 살펴보면, 2006년과 비교하여 2014년에 커피숍과 주점이 증가하고 근린생활시설의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점과 한식 음식점의 폐업기간은 2006년과 비교하여 2014년에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에 대한 입지특성과 토지이용변화를 토대로 주거지역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business type in the residental areas that have commercial gentrification issues in Seoul, Korea,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gentrification occurrence area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공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무엇을 경험하는가? 도시 공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성장과 쇠퇴를 경험한다. 서울시의 경우 강북지역을 중심으로 오래되고 낙후된 특정 가로에 새로운 활력과 함께 재활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로짓모형을 통해 분석결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많이 발생하는 곳은 어디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 특성을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은 단독주택 연면적 비율이 높고 근린생활시설이 많은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고속도로 및 지하철 입구와 대학교 그리고 많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구 집중시설과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어션이 발생한 집계구의 도로 특성은 도로 길이가 길고, 도로 면적이 작으며, 도로망 네트워크의 부분 통합도 값이 크고, 3지 교차로가 많은 집계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젠트리피케어션이 발생하는 도로의 특성은 무엇인가? 이에 더하여, 고속도로 및 지하철 입구와 대학교 그리고 많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구 집중시설과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어션이 발생한 집계구의 도로 특성은 도로 길이가 길고, 도로 면적이 작으며, 도로망 네트워크의 부분 통합도 값이 크고, 3지 교차로가 많은 집계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이 골목길과 같은 유기적 도로망과 단독주택 위주의 낮은 주거밀도 그리고 인구유발시설과의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 걸, 2007,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원인과 설명요인, 한국도시지리학회, 10(1), pp.37-49. 

  2. 김수아, 2015, 신개발주의와 젠트리피케이션, 황해문화, 10, pp.43-59. 

  3. 김지적.김성록, 2017,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및 실무적 적용 방안, 법과 정책연구, 17(2), pp.119-141. 

  4. 박아름, 2016, 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임대료 영향요인 분석: 경리단길을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5. 박재은, 2015,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정책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6. 서울시, 2015,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 서울: 서울연구원. 

  7. 서울시, 2016, 젠트리피케이션 데이터 분석결과 보고, 서울: 서울시 정보기획관. 

  8. 송지은.이용우, 2016, 도심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대응방안 연구-도시계획적 수단을 중심으로, 경기: 국토연구원. 

  9. 염지혜.양승우, 2014,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5(6), pp.111-122. 

  10. 오창화.김영호, 2017, 공간회귀와 공간 필터링을 이용한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원인 및 특징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9(3), pp.71-86. 

  11. 윤윤채.박진아, 2016,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도시연구, 17(4), pp.17-32. 

  12. 이주아.구자훈, 2013, 가로의 물리적 여건과 보행량의 영향관계 분석, 국토계획, 48(4), pp.269-286. 

  13. 정동규, 2017,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에 위치한 음식점 생존과 폐업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진창종, 2013,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관점에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5. 최열.김상현.이재송, 2014,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학보, 59, pp.45-58. 

  16. 통계청. 2007. 기초단위구를 이용한 통계지역 획정 및 유지관리 체계 구축. 통계청 

  17. 허자연, 2015, 서울시 상업가로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8. Babbie, E., 2001,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Wadsworth/Thomson Learning. 

  19. Figueroa, R. A., 1995, A housing-based delineation of gentrification: A small area analysis of Regina, Canada, Geoforum, 26(2), pp.25-236. 

  20. Galster, G. and Peacock, S., 1986, Urban gentrification: Evaluating altrna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8(3), pp.321-337. 

  21. Glass, R. L., 1964, London: Aspects of change, MacGibbon & Kee. 

  22. Hamnett, C., 1984, Gentrification and residential location theory: A review and assessment, Geography and the Urban Environment: Progress in Research and Application, 6, pp.283-319. 

  23. Hillier, B. and Hanson, J., 199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Hillier, B., 1998,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Ley, D., 1980, Liberal ideology and the postindustrial cit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0, pp.238-258. 

  26. Ley, D., 1986,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inner-city gentrification: A Canadian assessment,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6(4), pp.521-535. 

  27. Ley, D., 1996, The new middle class and the remaking of the central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28. Smith, N., 1979, Toward a theory of gentrification a back to the city movement by capital, not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4), pp.538-548. 

  29. Smith, N., 1987, Gentrification and the rent gap,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7(3), pp.462-465. 

  30. Van Criekingen, M., & Decorly, J. M., 2003, Revisiting the diversity of gentrification: Neighbourhood renewal processes in Brussels and Montreal, Urban Studies, 40(12), pp.2451-2468. 

  31. Wang, S. W. H., 2011, Commercial gentrification and entrepreneurial governance in Shanghia: A case study of Taikang road creative cluster, Urban Policy and Research, 29(4), pp.363-380. 

  32. Zukin, S., Trujillo, V., Frase, P., Jackson, D., Recuber, T., & Walker, A., 2009, New retail capital and neighborhood change: Boutiques and gentrification in New York City, City & Community, 8(1), pp.47-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