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를 이용한 상지 재활도구 보유현황과 사용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예비연구
A Pilot Investigation for usage Problems, Improvement Needs and Current Status of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quipment using SN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3 no.2, 2018년, pp.463 - 472  

문종훈 (인천사랑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나창호 (글로리 병원 작업치료실) ,  박경영 (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허성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융합연구소) ,  이창형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상 문제, 그리고 개선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병원환경 작업치료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72개를 분석하였으며, 2차 설문은 47개를 분석하였다. 1차 설문에서 16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율은 29.2~97.2%로 확인되었으며, 2차 설문에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경험은 36.2~97.9%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설문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상 문제는 47명 중 15명(31.9%)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개선 필요성은 23명(49%)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개방형 설문형태로 취합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문제는 흥미, 내구성, 난이도, 다양한 방향에 대한 조절기능, 설치 및 편리성 부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선사항은 디지털화, 내구성, 난이도, 조절기능, 편리성 증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상지 재활도구의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폐쇄형 설문지의 개발에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ilot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status, usage problems,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quipment(: UERE)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OT) of hospital setting in Korea. The authors received a questionnaires of clinicians wor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예비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상 문제 및 개선 필요성을 조사하여 상지 재활도구의 개선을 위한 설문지 개발 및 개선방안을 찾는데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실에서 보유 및 사용하고 있는 도구의 사용현황과 사용경험, 그리고 작업치료사가 인식한 사용문제와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 현재 연구에서 설문에 제시한 상지 재활도구는 1차에서는 16가지, 2차에서는 9가지로 선정하였는데, 이는 본 저자들과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3명이 토의를 거쳐 적절한 재활도구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실에서 사용하는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 문제와 개선 필요성을 조사하기 위한 예비조사 이므로 간단한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을 혼합하여 질의하였다. 폐쇄형 질문은 사용문제와 개선 필요성으로 구분하였고 질문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예비 연구에서 우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 작업치료사의 사용경험, 사용상 문제, 그리고 개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개방 형 질문은 ‘그렇게 생각한다’, ‘매우 그렇게 생각한다’라고 표시한 치료사에게 질문하였다. 즉,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치료사가 어떠한 사용문제가 있는지 개방형으로 서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선 필요성도 같은 형태로 개방형으로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란 무엇인가? 작업치료는 재활의학의 한 분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요인을 고려해 대상자가 원하는 작업(occupation)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이다 [1]. 여기서 ‘작업’이라는 용어는 특정 행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가 원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작업치료의 영역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여기서 ‘작업’이라는 용어는 특정 행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가 원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작업치료의 영역은 감각·활동훈련, 일상생활훈련, 인지 치료, 삼킴장애치료, 상지 보조기 제작 및 훈련 등이 있다[2-4].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의 장애는 어떤 요인이 되는가? 특히,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의 장애는 옷 입기, 먹기, 화장실 사용하기 등과 같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일상생활을 수행할 때 제한을 경험하도록 만든다[7]. 이는 환자에게는 자존감 감소로 인한 우울증을 유발시키고 배우자 또는 가족들에게는 부양 부담을 증가시킨다[8]. 결국 상지의 기능장애는 환자 본 인과 가족들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 라서, 상지기능의 향상은 신체장애 작업치료 영역에서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며, 병원 환경 작업치료실에서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E. A. Townsend and H. J. Polatajko. Advancing an occupational therapy vision for health, well-being, and justice through occupation. Ottawa, ON: CAOT Publications. 2007. 

  2. J. Moon and I. Park, "The Effects of Self-Exercise Based on Health Care Applic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Daily Living,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3, 2017, pp. 515-524. 

  3. J. Moon and Y. Won,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Using Tablet PC Applications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nd Satisfac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1, 2017, pp. 219-228. 

  4. J. Moon and Y. Won, "Effects of orofacial exercises training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1, no. 10, 2016, pp. 995-1002. 

  5. J. Moon and Y. Won,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4, 2017, pp. 1095-1104. 

  6. E. C. Jauch, J. L. Saver, H. P. Adams, A. Bruno, B. M. Demaerschalk, P. Khatri, and D. R. Summers,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Stroke, vol. 44, no. 3, 2013, pp. 870-947. 

  7. N. Yang, H. Park, T. Yoon, and J. Moon, "Effectiveness of Motion-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J.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2018, vol. 12, no. 1, In press. 

  8. S. Elmstahl, B. Malmberg, and L. Annerstedt, "Caregiver's burden of patients 3 years after stroke assessed by a novel caregiver burden scal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7, no. 2, 1996, pp. 177-182. 

  9. J. Moon, S. Lee, K. Kim, and Y. Won, "Effects of Purposeful Activities Combined with Music on Upper Extremity Function, Therapeutic Motivation, Mood in Acute Stroke Patients," PNF and movements, 2017, vol. ???, no. ??, pp. ???-???. 

  10. S. M. Michaelsen, R. Dannenbaum, and M. F. Levin, "Task-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 on arm recovery in stroke," Stroke, vol. 37, no. 1, 2006, pp. 186-192. 

  11. L. L. Huang, C. F. Lee, C. L. Hsieh, and M. H. Chen,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stroke patients in Taiwan: usage problems and improvement need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 20, no. 4, 2013, pp. 205-214. 

  12. L. L. Huang, H. H. Yang, C. F. Lee, and M. H. Chen, "Improvement Design of the Clinical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Product for Stroke Patient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f Design, User Experience, and Usability, Canada, July 2016, pp. 597-605. 

  13. J. Moon, S. Heo, C. Na, S. Kim, S. Kang, H. Kim, "Healthcare Research for Sexual Function and Preference of Women According to Penile Characteristic Using Questionnaire of Smartphone SN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5, 2017, pp. 941-956. 

  14. J. Yoon, S. Heo, C. Na, S. Kim, J. Moon, "Healthcare Research for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Function Using Questionnaire of Smartphone SN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6, 2017, pp. 1197-1210. 

  15. C. English and S. Hillier, "Circuit class therapy for improving mobil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43, no. 7, 2011, pp. 565-573. 

  16. T. Y. Kheng. Rehabilitation Engineering. India: In-Tech.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