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임기 여대생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과 세균성 질염 발생의 위험요인
Feminine Hygiene Behaviors and Risk Factors for Bacterial Vaginosi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1, 2018년, pp.87 - 95  

최정실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feminine hygiene behaviors to identify factors predicting bacterial vaginosis infection. Methods: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Data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까지 조사된 적이 없는 여대생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균성 질염 발생의 위험도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여대생은 가정과 학교에서 스스로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관리를 수행하는 가임기 여성이고, 추후 임신에 필요한 생식기 구조와 기능을 보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간호 대상자이다. 본 연구는 가임기 여대생 385명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균성 질염 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세균성 질염 발생률은 37.
  • 본 연구는 가임기 여대생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균성 질염 발생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세균성 질염은 전 세계 가임기 여성들이 경험하는 생식기계 감염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 한국 여대생의 발생률은 37.
  • 본 연구는 가임기 여대생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균성 질염 발생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임기 여대생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균성 질염발생의 위험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관리란 무엇인가? 여성의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 관리는 생리적으로 배출되는 배뇨/배변 후 또는 월경기간에 생식기를 청결하게 하고자 생식기 부위를 씻거나 건조하는 행위와 월경기에 사용하는 패드나 탐폰의 관리에 대한 일련의 행위를 의미한다[1,2].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의 올바른 관리는 생식기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추후 임신이 가능하도록 생식기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1].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과 가장 연관이 있는 질병은 무엇인가? 생식기계 감염에서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과 관련성이 가장 높다고 보고되고 있는 질병은 세균성 질염과 외음부-질 칸디다증으로 특히 세균성 질염은 질 분비물과 냄새의 이상이 주요 증상이다[5]. 세균성 질염은 명확한 발생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질 내 주요 정상 세균총인 lactobacillus의 균형이 깨어져 질 내 산도가 산성에서 알칼리로 변화하여 면역 반응은 약화되고 감염에 취약해지면서 발생하는 감염증이다[6,7].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대생은 스스로 생식기 관련 개인위생관리를 수행하는 가임기 여성이고, 추후 임신에 필요한 생식기 구조와 기능을 보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간호 대상자이다[15]. 세균성 질염은 골반염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며, 여성생식기 수술 후 감염을 유발하고, 특히 임산부의 경우 조기양막파수, 조기진통, 자궁 내막염 등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에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3,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H, Cho KM. Personal hygiene practices related to genito-urinary tract and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in fe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3):215-224.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3.215. 

  2. Czerwinski BS. Variation in feminine hygiene practices as a function of ag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0;29(6):625-633. 

  3. Ahn SH. Feminine hygiene and vaginal douche practice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85-294.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4.285. 

  4. Schwebke JR, Desmond RA, Oh MK. Predictors of bacterial vaginosis in adolescent women who douch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2004;31(7):433-436. 

  5. Klebanoff MA, Nansel TR, Brotman RM, Zhang J, Yu KF, Schwebke JR, et al. Personal hygienic behaviors and bacterial vaginosi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2010;37(2):94-99. http://dx.doi.org/OLQ.0b013e3181bc063c. 

  6. Hill GB. The microbiology of bacterial vaginosi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3;169(2 Pt 2):450-454. 

  7. Nyirjesy P. Vulvovaginal candidiasis and bacterial vaginosis.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2008;22(4):637-652. http://dx.doi.org/10.1016/j.idc.2008.05.002. 

  8. Kenyon C, Colebunders R, Crucitti, T. The global epidemiology of bacterial vaginosi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3;209(6):505-523. http://dx.doi.org/10.1016/j.ajog.2013.05.006. 

  9. Sumpter C, Torondel B. A systematic review of the health and social effects of menstrual hygiene management. PLoS ONE. 2013;8(4):e62004.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62004. 

  10. Sevil S, Kevser O, Aleattin U, Dilek A, Tijen N. An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ital hygiene practices, genital infection. Gynecology & Obstetrics. 2013;3(6):1-5. http://dx.doi.org/10.4172/2161-0932.1000187. 

  11. Hutchinson KB, Kip KE, Ness RB; Gynecologic Infection Follow-Through(GIFT) Investigators. Vaginal douching and development of bacterial vaginosis among women with normal and abnormal vaginal microflora.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2007;34(9):671-675. 

  12. Low N, Broutet N, Adu-Sarkodie Y, Barton P, Hossain M, Hawkes S. Global control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Lancet. 2006;368(9551):2001-2016.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urvey on the use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and provides safety information [Internet]. Seou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cited 2018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x37&searchkeytitle:contents&mid675&searchword%BB%FD%B8%AE&y9&division&pageNo1&seq37330&sitecode1&cmdv. 

  14. Se JH, Na SY, Kim MG. A study on the VOCs emission rate from sanitary pad in market.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Analytical Sciences ; 2017 May; Gangwon. 

  15. Ameade EP, Garti HA. Relationship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on menstruation and their menstrual hygiene practices: A study in Tamale, Ghana. Advances in Preventive Medicine. 2016;2016:1056235. http://dx.doi.org/ 10.1155/2016/1056235. 

  16.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17. Cottrell BH. Vaginal douching practices of women in eight Florida panhandle counti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al, & Neonatal Nursing. 2006;35(1):24-33. 

  18. Anand E, Singh J, Unisa S. Menstrual hygiene practices and its association with reproductive tract infections and abnormal vaginal discharge among women in India.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care. 2015;6(4):249-254. http://dx.doi.org/10.1016/j.srhc. 2015.06.001. 

  19. Bilardi JE, Walker SM, Temple-Smith MJ, McNair RP, Mooney-Somers J, Vodstrcil LA, et al. Women view key sexual behaviors as the trigger for the onset and recurrence of bacterial vaginosis. PLoS One. 2017;12(3):e0173637.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73637. 

  20. Ogino M, Iino K, Minoura S. Habitual use of warm-water cleaning toilets is related to the aggravation of vaginal microflora.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Research. 2010;36(5):1071-1074. 

  21. Cottrell BH, Close FT. Vaginal douching among university women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08;56(4):415-4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