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도체·FPD 제조설비와 클린룸의 RISK 최소화를 위한 폭발위험장소 설정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losion Hazard Proof Modeling for Risk Minimization to Semiconductor & FPD Manufature Equipment and Clean Room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2 no.1, 2018년, pp.78 - 85  

노현석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우인성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황명환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우정환 (Texas A&M 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하여 반도체 FPD 제조설비 및 클린룸에 관련한 설비의 위험성분석과 그에 대한 근원적인 안전대책을 연구하고, 설비 및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한 방폭 설계 모델링화를 검토하여 관련 설비의 설계 및 제작에 기술적인 기준과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며, 아래와 같은 성과로서 향후 반도체 FPD 산업의 기술적 기준 수립 및 관련 산업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1) 관련 국제 기술규격과 법령, 설비의 특성을 반영한 FAB 장비의 최적화된 폭발위험장소의 모델링 도출 2) FAB 장비 및 클린 룸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설비의 안전성 확보 (Fool-Proof와 Fail Safe)를 위한 안전시스템 구축방안과 안전기준 및 대책 도출 3) 향후 FAB 장비의 방폭 설계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기준 적용을 통한 신규 FAB 장비의 방폭 성능의 유연성 확보하고 수립된 안전기준을 통한 설비와 안전시스템의 신뢰성 검증 절차 운영을 위한 "안전인증제도"의 자율적 향상화.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risks of the fabrication process equipment and cleanroom for semiconductor/flat panel display (FPD)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studied the fundamental safety measures for the risk factors. We examined the explosion proof design models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equ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도체․FPD 제조공정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제품생산 환경의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반도체·FPD제조공정, 클린룸 구성, 반도체·FPD 산업의 화재·누출·폭발 사고, 폭발위험장소의 선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이번 연구에는 반도체 및 FPD 제조공정의 대표적인 진공, WET 공정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유해․위험성이 큰 인화성 가스와 액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인화성가스에 대해서는 진공 장비를 대상으로 자연발화성인 실란(SiH4)를 제외하고 수소(H2) 가스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인화성 액체는 WET 공정 장비를 대상으로 인화점이 대체적으로 높은 PGMEA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IPA(Isopropyl alcohol)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에 대하여 FAB 장비와 관련설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국내법과 국제기술코드, 관련 업계의 기술자료 및 사고사례 등을 참조하여 폭발위험장소 선정 모델링을 연구하고, 각종 관련 규격 및 기술 Know-how, 사고사례 등을 반영하여 클린룸과 FAB 장비의 Risk분석과 안전성 확보방안, 화재폭발 방지를 위한 방폭설계에 대하여 클린룸의 환기특성, 공정의 효율성과 설비 자체의 특수성, FAB 장비 및 부대설비의 시공 및성능의 기술적 안전성[4]을 고려한 최적의 폭발위험장소 선정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는 반도체 및 FPD 제조공정의 대표적인 진공, WET 공정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유해․위험성이 큰 인화성 가스와 액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인화성가스에 대해서는 진공 장비를 대상으로 자연발화성인 실란(SiH4)를 제외하고 수소(H2) 가스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인화성 액체는 WET 공정 장비를 대상으로 인화점이 대체적으로 높은 PGMEA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IPA(Isopropyl alcohol)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전기방폭의 기본 개념과 누출원 및 환기특성, 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계장기계․기구(이하 "전기설비"라 함) 선정과 관련된 이론에 대하여 기술한다.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련된 이론[2], 즉 폭발방지의 기본개념과 원리, 폭발위험분위기 생성의 방지 메커니즘과 위험성 그리고 전기설비의 방폭화 방법과 폭발위험장소의 누출량의 산정과 위험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환기특성 및 환기량 평가 산정하는 방법, 위험반경과 폭발위험장소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하여 조사연구한다."폭발위험장소(Hazardous area)"는 "전기설비를 선정·설치·사용함에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는 폭발성 가스위험분위기가 조성되거나 조성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말하며, 이러한 장소는 위험분위기의 발생 가능성, 즉 폭발성 가스분위기의 생성빈도와 지속시간에 따라 0종 장소, 1종 장소, 2종 장소 등으로 나누고 그 위험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도체 제조공정은 어떻게 되는가? 반도체 제조공정은 실리콘(Si)으로부터 웨이퍼 제조, 회로 설계 및 마스크 제작, 웨이퍼 가공, 칩 조립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반도체 제품이 생산된다.
Color filter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TFT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LC는 배열이 변화되고Back light 빛의 배열이 변화된 LC를 거쳐서 Color filter를 통해 우리 눈에 보이게 된다. Color filter는 빛의삼원색인 Red, Green, Blue로 구성되며 아주 조밀하게 붙어있어 사람 눈으로 보기에는 RGB가 합쳐져서 어떤 색이 나오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공정들은 크게① TFT array panel 제조공정, ② Color filter 제조공정, ③ Cell 제조공정, ④ Module 제조공정의 네 단계로 진행된다.
MFC(Mass flow controller)는 무엇인가? 각각의 가스는 종류별 Gascabinet에서 공급되고, 클린룸에 설치된 VMB를 통해 각각의 진공장비들은 해당MFC(Mass flow controller) 장치를 통해 일정한 질량(극소량)의 가스를 반응 Chamber내로 주입하여 증착공정을 진행한다.MFC는 온도 등에 따라 순간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부피유량을 제어하지 않고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질량으로 제어하는 설비이다. 문제는 세계적으로FAB 장비를 위해 필요한 MFC가 방폭형으로 생산되지 않고 있으며 방폭형에 대한 수요도 공급도 없으며 방폭형 MFC는 존재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한국화재보험협회. " 반도체공업 위험관리 ", 2012, pp.18-21 

  2. 한국산업표준, "KSC IEC 60079-10-1 : 2012 폭발 분위기-제10-1부:폭발위험 장소의 구분", 2012 

  3. Energy Institute, "EI-15 Area Classification Code for Installations Handling Flammable Fluids" 2005 3rd edition 

  4. NFPA 497 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Classified) Location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in Chemical Process Areas 

  5. API 505 Classification of location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t petroleum facilities classified as Class 1, Zone 0, zone 1, and zone 2 

  6. 김광일, 반도체 산업에서의 사고사례분석 및 안전대책 방안, 한국화재소방학회지 10권 1호. 1996, pp49-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