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육수학 연구지 분포의 메타분석과 연구자 네트워크 변화: 1968~2017
Meta-analysis of Site Distribution and Researcher Network of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1968~2017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1 no.1, 2018년, pp.124 - 134  

김지윤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주기재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도윤호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50년간 출판된 한국 육수학 논문의 연구정보와 야외조사지 정보를 공간적으로 정리하여 분포 특성과 주제별 경향을 파악하고 연구자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였다. 1968년부터 2016까지 출판된 육수학 논문을 분류한 결과 수질환경과 생물 군집 수준의 연구가 높은 비율로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물 분류군으로는 식물플랑크톤, 어류, 저서무척추동물, 동물플랑크톤, 수생식물 순으로 연구대상 빈도가 높았다. 1970~80년대에 생물상과 발생 생리학에 관련된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고 영양단계, 모델, 보전, 평가 등의 연구주제들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질과 플랑크톤 연구는 정수와 유수환경에서 유사한 수준의 연구 비율을 보였으나 저서무척추동물과 어류는 유수환경에서의 조사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하천과 저수지의 분포양상에 따라 국내 육수학의 야외조사지도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본류 상류하천에 대한 조사지 밀도가 낮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대별로는 1970년대에 도심지 본류와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인공호수에 집중된 분포 형태를 보였으나 이후 다양한 담수서식처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육수학에 관련된 연구자 네트워크도 점차 확대되어 연구자 관계 밀도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다양한 연구지원 증가로 인한 대학과 기관 사이의 공동연구 형태가 확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research topics, temporal distribution of field sites, and researcher network of 1,508 limnology publications in th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968~2012) and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13~2017). We found that water quality and sediment, phytoplankton, inverteb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창립 50주년을 맞는 한국하천호수학회에서 출판되는 “한국하천호수학회지”와 “생태와 환경”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대상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각 연구대상지에서 진행된 연구대상생물과 연구주제 등을 범주화하였고, 부가적인 정보로 각 논문의 저자와 소속기관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한국의 육수학 연구의 역사와 연구동향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난 50여 년간 국내 육수학 분야의 최대 전문학술지인 “생태와 환경(구 한국육수학회지)”에 출판된 논문들의 연구내용과 연구대상지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창립 50주년을 맞는 한국하천호수학회에서 출판되는 “한국하천호수학회지”와 “생태와 환경”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대상지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육수의 특성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 1997)을 흔히 “유로 연장이 짧고 하천의 최상부부터 교란 요인들이 많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는 하천들이 아주 적다”고 기술한다. 또한 “수자원 확보 및 관리를 위해서 댐과 보 등이 건설되고 산업화와 도시화 등으로 인해 오염물질 유입의 증가와 부영화로 인하여 수질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다”고도 표현한다. 야외 연구대상지의 교란된 하천과 댐 상수원지에 집중된 분포는 이러한 우리나라 육수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육수학이란? 육수학(陸水學, limnology)은 육상에 존재하는 수역(水域), 즉 호소(湖沼), 하천, 지하수 등의 육수(inland water)에서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인 여러 가지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육수학자들은 다양한 수생태계 환경에서 생물을 연구하지만 일반적으로 조사지역은 육상에 분포하는 수체와 인근 환경으로 제한된다(Gleick, 1993).
육수학 분야에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예는? 최근 서지정보 보관, 검색기술의 발달과 공간분석 기법의 발달을 바탕으로 기존에 출판된 논문 또는 공개된 연구 결과 자료에 숨어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추출하거나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추출하는 메타데이터 (meta data)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육수학 분야에서도 약 3만여 편의 학술논문 텍스트를 메타데이터로 이용해 논문에 사용된 단어의 빈도와 단어간의 연결성 등을 파악하여 연구주제의 변화를 파악한 바 있다(Kim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onrad, C.C. and K.G. Hilchey. 2011. A review of citizen science and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monitoring: issues and opportuniti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76(1): 273-291. 

  2. Cooper, C., J. Dickinson, T. Phillips and R. Bonney. 2007 Citizen science as a tool for conservation in residential ecosystems. Ecology and Society 12(2): 11. 

  3. Dickinson, J.L., J. Shirk, D. Bonter, R. Bonney, R.L. Crain, J. Martin, T. Phillips and K. Purcell. 2012. The current state of citizen science as a tool for ecological research and public engagement.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0(6): 291-297. 

  4. Gleick, P.H. 1993. Water in crisis.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5. Griffin, E. 2017. Rescue old data before it's too late. Nature 545(7654): 267. 

  6. Joo, G.J., H.W. Kim and H. Kyong. 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0(1): 69-78. 

  7. Karl, J.W., J.E. Herrick, R.S. Unnasch, J.K. Gillan, E.C. Ellis, W.G. Lutters and L.J. Martin. 2013. Discovering ecologically relevant knowledge from published studies through geosemantic searching. Bioscience 63(8): 674-682. 

  8. Kim, J.Y., G.J. Joo, H.W. Kim, G.Y. Kim and Y. Do. 2016. A scientometric study of the limnological societies: inferences of research collaboration and core topics based on publication networks. Inland Waters 6(3): 395-405. 

  9. Kim, J.Y., G.J. Joo and Y. Do. 2018. Through 100 years of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publications: development of ecological research topics and scientific collaborations. Ecosphere 9(2): e02109. 

  10. Kim, J.Y., Y. Do, G.J. Joo, E. Kim, E.Y. Park, S.H. Lee and M.S. Baek. 2016a. The research trend and social perceptions related with the tap water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9(3): 208-214. 

  11. Liao, J. and Y. Huang. 2014. Global trend in aquatic ecosystem research from 1992 to 2011. Scientometrics 98(2): 1203-1219. 

  12. Martin, L.J., B. Blossey and E. Ellis. 2012. Mapping where ecologists work: biases in the global distribution of terrestrial ecological observation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0(4): 195-2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