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척추 수술 후 껌씹기가 복부 불편감, 변 배출시간과 변비 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hewing Gum on Abdominal Discomfort, the First Defecation, and Constipation after Spine Surger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85 - 93  

김형자 (서울아산병원) ,  김정희 (서울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ewing gum on the reduction of postoperative ileus and recovery after surger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ong 82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between May 2015 and October 2015. Patients in experi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척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껌씹기가 척추 수술환자의 복부 불편감, 변 배출시간과 변비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할당 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척추 수술 환자에게 껌씹기를 적용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척추 수술 후 발생하는 장폐색 증상에 대해 sham feeding의 한 형태인 껌씹기를 적용하여 수술 후 복부 불편감, 변 배출시간 및 변비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로 비약물적 요법을 이용하여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 또한, 척추 수술 환자의 장운동 회복을 위한 연구가 적고, 무작위 대조군 할당 실험 설계를 시도한 본 연구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에 척추 수술 환자에게 부작용이 적고 임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Sham feeding의 한 방법인 껌씹기를 적용하여 수술 후 복부 불편감, 변 배출시간과 변비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척추 수술 환자에게 껌씹기를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 배출시간이 빠를 것이다.
  • ‘척추 수술 환자에게 껌씹기를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비 정도가 적을 것이다.
  • 1) 척추 수술 환자에게 껌씹기를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복부 불편감이 적을 것이다.
  • 2) 척추 수술 환자에게 껌씹기를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 배출시간이 빠를 것이다.
  • 3) 척추 수술 환자에게 껌씹기를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비 정도가 적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후 장폐색이란? 수술 후 장폐색은 위장관 연동운동의 정상적 기능이 감소 또는 지연된 상태로 정의되고, 위장관 내 분비물 축적, 복부팽만, 오심과 구토, 가스배출 및 배변의 지연 등의 증상이 복부 수술과 정형 외과, 부인과 및 비뇨기과 수술을 포함한 기타 수술후에 발생하는 문제로[1,2], 재원일수의 연장, 의료비용과 사망률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3,4]. 수술 후 장폐색의 기전은 3단계로 교감신경계과정, 호르몬 및 염증 기전, 장폐색의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화 단계로 구분되고 있다[2].
수술 후 장폐색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수술 후 장폐색은 위장관 연동운동의 정상적 기능이 감소 또는 지연된 상태로 정의되고, 위장관 내 분비물 축적, 복부팽만, 오심과 구토, 가스배출 및 배변의 지연 등의 증상이 복부 수술과 정형 외과, 부인과 및 비뇨기과 수술을 포함한 기타 수술후에 발생하는 문제로[1,2], 재원일수의 연장, 의료비용과 사망률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3,4]. 수술 후 장폐색의 기전은 3단계로 교감신경계과정, 호르몬 및 염증 기전, 장폐색의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화 단계로 구분되고 있다[2].
수술 후 장폐색의 기전 3단계 중 장 운동을 저하시키는 단계는 무엇인가? 수술 후 장폐색의 기전은 3단계로 교감신경계과정, 호르몬 및 염증 기전, 장폐색의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화 단계로 구분되고 있다[2]. 수술에 대한 반응의 첫 번째 단계는 신경을 통해 이루어지며 피부의 절개는 corticotrophin 방출 인자에 의해 중독된 adrenergic 운동 신경 활동의 증가를 유도하여 장 운동력을 저하시키고[5], 두 번째 단계는 외과적 조작 후 3~4시간에 시작되는 염증 단계로 신경 단계가 퇴색함에 따라 증가된 염증이 장벽에 나타나며 단핵구, 대식세포 및 비만 세포를 포함하여 염증 분자를 분비하고 스스로를 자동 조절하게 되고 이 두 번째 단계 동안, 장 상피 장벽의 침투성이 증가하여 염증 및 수술 후 장폐색을 증가시킬 수 있다[6]. 또한 이 시기에 칼륨 농도의 변화는 칼슘 채널을 열어 평활근 수축과 장폐색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어 수분 전해질 균형이 중요하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Venara A, Neunlist M, Slim K, Barbieux J, Colas PA, Hamy A, et al. Postoperative ileus: Pathophysiology, incidence, and prevention. Journal of Visceral Surgery. 2016;153(6):439-446. http://dx.doi.org/10.1016/j.jviscsurg.2016.08.010 

  2. Iyer S, Saunders WB, Stemkowski S. Economic burden of postoperative ileus associated with colectom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Managed Care & Specialty Pharmacy. 2009; 15(6):485-494. http://dx.doi.org/10.18553/jmcp.2009.15.6.485 

  3. Fineberg SJ, Nandyala SV, Kurd MF, Marquez-Lara A, Noureldin M, Sankaranarayanan S,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ileus following anterior, posterior, and circumferential lumbar fusion. The Spine Journal. 2014;14 (8):1680-1685. http://dx.doi.org/10.1016/j.spinee.2013.10.015 

  4. Bauer AJ, Boeckxstaens GE. Mechanisms of postoperative ileus. Neurogastroenterology & Motility. 2004;16 Suppl 2:54-60. http://dx.doi.org/10.1111/j.1743-3150.2004.00558.x 

  5. Boeckxstaens GE, de Jonge WJ. Neuroimmune mechanisms in postoperative ileus. Gut. 2009;58(9):1300-1311. http://dx.doi.org/10.1136/gut.2008.169250 

  6. Kreiss C, Toegel S, Bauer AJ. Alpha2-adrenergic regulation of NO production alters postoperative intestinal smooth muscle dysfunction in rod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004;287(3):G658-666. http://dx.doi.org/10.1152/ajpgi.00526.2003 

  7. Berghmans TM, Hulsewe K, Buurman WA, Luyer MD. Stimul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colorectal surgery: 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2012;13:93. http://dx.doi.org/10.1186/1745-6215-13-93 

  8. Oh CH, Ji GY, Yoon SH, Hyun D, Park HC, Kim YJ. Paralytic ileus and prophylactic gastrointestinal motility medication after spinal operation. Yonsei Medical Journal. 2015;56(6): 1627-1631. http://dx.doi.org/10.3349/ymj.2015.56.6.1627 

  9. Jalanko T, Helenius I, Pakarinen M, Koivusalo A.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neuromuscular scolios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Surgery. 2017:1457496917748223. http://dx.doi.org/10.1177/1457496917748223 

  10. Kim YK, Lee HY. The effectiveness of meridian acupressure program using sticker needles to bowel movement on post spinal 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5;11(1):33-41. 

  11. Ann SH.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with essential oils on constipation among spinal surgery woman patients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1. p. 1-26. 

  12. Fujii T, Morita H, Sutoh T, Yajima R, Yamaguchi S, Tsutsumi S, et al. Benefit of oral feeding as early as one day after elective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Oral feeding on first versus second postoperative day. International Surgery. 2014;99(3):211-215. http://dx.doi.org/10.9738/intsurg-d-13-00146.1 

  13. Atkinson C, Penfold CM, Ness AR, Longman RJ, Thomas SJ, Hollingworth W,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ostoperative chewing gum versus standard care after colorectal resection.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16;103(8):962-970. http://dx.doi.org/10.1002/bjs.10194 

  14. Chan CYW, Chiu CK, Lee CK, Gani SMA, Mohamad SM, Hasan MS, et al. Usage of chewing gum in posterior spinal fusion surgery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pine. 2017;42(19):1427-1433. http://dx.doi.org/10.1097/brs.0000000000002135 

  15. Ciardulli A, Saccone G, Di Mascio D, Caissutti C, Berghella V. Chewing gum improves postoperative recovery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after cesarean deliv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017:1-9. http://dx.doi.org/10.1080/14767058.2017.1330883 

  16. Jennings JK, Doyle JS, Gilbert SR, Conklin MJ, Khoury JG. The use of chewing gum postoperatively in pediatric scoliosis patients facilitates an earlier return to normal bowel function. Spine Deformity. 2015;3(3):263-266. http://dx.doi.org/10.1016/j.jspd.2014.12.001 

  17. Noble EJ, Harris R, Hosie KB, Thomas S, Lewis SJ. Gum chewing reduces postoperative ile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2009;7(2):100-105. http://dx.doi.org/10.1016/j.ijsu.2009.01.006 

  18. Topcu SY, Oztekin SD. Effect of gum chewing on reducing postoperative ileus and recovery after colorectal surger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2016;23:21-25. http://dx.doi.org/10.1016/j.ctcp.2016.02.001 

  19. Short V, Herbert G, Perry R, Atkinson C, Ness AR, Penfold C, et al. Chewing gum for postoperative recovery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2):CD006506.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506.pub3 

  20. Schuster R, Grewal N, Greaney GC, Waxman K. Gum chewing reduces ileus after elective open sigmoid colectomy. Archives of Surgery. 2006;141(2):174-176. http://dx.doi.org/10.1001/archsurg.141.2.174 

  21. Stern RM, Crawford HE, Stewart WR, Vasey MW, Koch KL. Sham feeding. Cephalic-vagal influences on gastric myoelectric activity.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1989;34(4): 521-527. 

  22. Pinto S, Caldeira S, Martins JC, Rodgers B. Evolutionary analysis of the concept of comfort.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7; 31(4):243-252. http://dx.doi.org/10.1097/hnp.0000000000000217 

  23.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Chronic Constipation Task Force.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hronic constipation in North America.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5;100 Suppl 1:S1-4. http://dx.doi.org/10.1111/j.1572-0241.2005.50613_1.x 

  24. McMillan SC, Williams F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Cancer Nursing. 1989;12(3): 183-188. 

  25. Quah HM, Samad A, Neathey AJ, Hay DJ, Maw A. Does gum chewing reduce postoperative ileus following open colec- tomy for left-sided colon and rectal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lorectal Disease. 2006;8(1): 64-70. http://dx.doi.org/10.1111/j.1463-1318.2005.00884.x 

  26. Asao T, Kuwano H, Nakamura J, Morinaga N, Hirayama I, Ide M. Gum chewing enhances early recovery from postoperative ileus after laparoscopic colectom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002;195(1):30-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