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초진 간호사의 한국형 응급 환자 분류도구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riage Nurses'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Performance Abilit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94 - 102  

이은경 (가천대 길병원) ,  김지수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riage nurses'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performance ability, perception of importance, education needs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riage nurses' the KTAS performance ability.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엇보다도 KTAS의 실무자인 응급실 초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192개 KTAS 항목을 수행하는 데 따른 유용성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KTAS를 수행하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의 KTAS 수행능력과 KTAS에 대한 중요도 인식 그리고 KTAS 수행에 필요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KTAS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최근 한국형 응급 환자 분류도구(KTAS)가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으나 실제 사용자인 응급실 초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들의 KTAS 수행능력과 중요도 그리고 그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고 KTAS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응급실 초진 간호사의 전문적인 발전을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의 KTAS 수행능력과 중요도,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KTAS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형 응급 환자 중증도 분류체계인 KTAS를 사용하고 있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를 대상으로 KTAS 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KTAS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KTAS 항목 중에서 객관적인 간호사정이 가능한 호흡상태 수행능력이 가장 높았던 반면, 심리 ‧ 정신 건강 및 환경영향의 수행능력은 가장 낮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의 KTAS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KTAS 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응급실 경력, KTAS 업무경력, 중요도, 교육요구도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교육요구도가 낮을수록, 응급실 경력이 많을수록 KTAS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따라서 KTAS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사용자가 필요한 내용에 대한 교육을 더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충분한 응급실 실무경험을 갖춘 응급전문간호사는 KTAS 전문 인력으로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년 전국의 응급실 이용자는? 더욱이 국내 응급의료의 현실 상, 경증 환자의 응급실 방문이 빈번하여 응급 실은 과밀화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2]. 통계에 따르면 2015 년 전국의 응급실 이용자는 10,343,985명이었고 이는 인구 천명당 응급실 이용자 수가 200.7명에 해당하는 수치이다[3].
응급 환자 중증도 분류를 담당하는 이는 누구인가? 중증도 분류를 담당 하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triage nurse)는 환자와의 첫 대면을 통해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진료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판단해야 하므로 전문적 지식과 의사소통기술이 필요하다[9]. 현재 KTAS를 사용하여 응급 환자 중증도 분류를 담당하는 응급실 초진 간호사(triage nurse)는 응급실 만 1년 이상의 경력과 6시간의 교육이수를 요구하고 있다[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의 구성 및 그 이용은? KTAS에 따른 중증도 분류단계는 소생, 중증, 응급, 준응급, 비응급의 5단계로 이루 어져 있고 감염의심 환자에 대해 비감염, 비말 ‧ 공기감염, 접촉감염, 미상 등을 숫자로 표기하도록 되어있다. 총 19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주 호소(chief complain), 증상의 구체적인 내용, 현병력, 과거력, 약물복용 등을 문진하면서 동시에 시진을 통해 환자의 외관을 통한 일반적 증상을 확인할 수 있고, 활력 징후 등 객관적 측정 지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환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u KH, Jang K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riage nursing work in emergency roo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4): 477-489.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4.477 

  2. Oh YH. Problems and policy direction of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s. Health and Welfare Issue&Focus. 2011;105: 1-8. 

  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statistic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ternet].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7 [cited 2017 November 27]. Available from: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4. Kim YH, Lee HJ, Cho SJ. A study on the triage and statistical da- ta of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PN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1):68-80. https://doi.org/10.4040/jkan.2001.31.1.68 

  5.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cited 2017 July 12].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ng/engLsSc.do?menuId1&query emergency&x15&y28. 

  6. Lee GH, Cho SJ, Rhee JE, Lim TH, Park I, Lee JH, et al. Standardization of triage and acuity scal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December. 

  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ternet]. Seoul: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2017 [cited 2017 July 12]. Available from: http://www.ktas.org. 

  8. Travers DA, Waller AE, Bowling JM, Flowers D, Tintinalli J. Five level triage system more effective than three-level in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2;28(5):395-400. http://dx.doi.org/10.1067/men.2002.127184 

  9. Reay G, Rankin JA, Then KL. Momentary fitting in a fluid environment: A grounded theory of triage nurse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016;26:8-13. http://dx.doi.org/10.1016/j.ienj.2015.09.006 

  10. Kim BJ, Lee EN, Kang KH, Kim SS, Kim SA, Sung YH, et al.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81-95. 

  11. Oh JH. How do you like to use KTAS?: User survey at the time of one year. 2017 Korea emergency medicine conference; 2017 April 20-21;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Gwangju: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7. p. 100-106. 

  12. Lim TH.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December. 

  13. Lee YM. Activitie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riage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p. 1-59. 

  14. Atack L, Rankin JA, Then KL. Effectiveness of a 6-week online course in the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for emergency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5;31(5):436-441. http://dx.doi.org/10.1016/j.jen.2005.07.005 

  15. Goransson KE, Ehrenberg A, Marklund B, Ehnfors M. Emergency department triage: Is there a link between nurs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ccuracy in triage decision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6;14(2):83-88. http://dx.doi.org/10.1016/j.aaen.2005.12.001 

  16. Cone KJ, Murray R. Characteristics, insights, decision making, and preparation of ED triage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2;28(5):401-406. http://dx.doi.org/doi:10.1067/men.2002.1275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