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환자분류체계의 개정연구
Study for Revision of the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113 - 126  

송경자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최완희 (서울대학교병원 PI팀) ,  최은하 (서울대학교병원 간호행정파트) ,  조성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유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박미미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이중엽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인하대학교병원 예방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the KPCS-1 and to standardize the three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s for general ward, ICU and NICU.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 KPCS-1 score and each nursing activity was evaluat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PCS-1 score and nursing related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PCS-1은 투약의 용법과 회수를 주로 측정하므로, 항암제와 같이 간호사의 주의를 요하여 업무량을 증가시키는 약제들이 간과되고 있다는 판단하에 본 연구에서는 약물의 분류에 따라 KCPS-1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보건복지부 분류 약품군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화학요법제, 합성마약 등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한 약들이 있었으나, 너무 다양한 약품군이 투여되고 있어서 약물에 따른 특별한 결론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 대상 환자군이 다르기는 하지만, 환자군의 특성은 살리면서 표준화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병동용, 중환자실용, 신생아중환자실용으로 환자분류체계를 체계화하고, 용어를 표준화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동용 환자분류도구인 KPCS-1의 실제 적용사례를 이용하여 환자분류점수의 양상을 파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유지하면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KPCS-1의 개정안을 제시하고, 중환자실용, 신생아중환자실용 환자분류체계와의 용어 표준화를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회에서 2009년에 개발하고 2010년에 개정한 KPCS-1의 환자분류점수 양상을 파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유지하면서 활용도를 높인 KPCS-1의 개정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의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요구 정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할 수 있는 도구인 한국형 환자분류도구(KPCS-1)를 개정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또한 환자분류도구는 적어도 3-5년마다 타당성이 재평가되어야 한다는 학계 이론이 있다[17]. 이에 KPCS-1의 실제 적용사례를 이용하여 환자분류점수의 양상을 파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유지하면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KPCS-1의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간호요구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주지 못하는 점을 보안하기 위해 개발한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원형(proto type) 환자분류도구가 주로 이용되었으나, 환자의 간호요구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 주지 못한다는비판을 받아왔다[10].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병원간호사회가 처음으로 요인형(factor type) 환자분류로 개발한 것이 중환자분류 도구이다. 이 도구는 미국의 Walter Reed Army medical Center의 환자분류도구인 WMSN (Workload Management System for Nurses)를 기본으로 개발되었으며, 2005년 중환자간호사회에서 시행한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거쳐 간호요구 정도에 입각한 환자분류도구로 이용되었다[10].
환자분류도구는 무엇인가? 적절한 간호인력 배치를 위해서 환자의 간호요구도를 타당하게 보여주고 간호의 양과 질을 객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분류도구는 환자의 간호요구를 카테고리화하여 간호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디자인된 도구이다[6]. 이는 환자 간호 수준 향상, 적정 인력 배치, 비용 절감, 그리고 간호사 보유 등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어 간호사 적정 배치와 관련성에 크다고 할 수 있다[7].
간호사 배치 수준이 높아질수록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의 성과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간호사 배치는 필수적이다[1]. 간호사 배치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망률이 낮아지고[2], 낮은 간호사 배치수준과 높은 시간외 근무가 환자 사망률, 병원감염, 쇼크, 혈류감염을 높인다는 연구[3] 등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간호사 배치수준과 환자의 사망률 사이에 역의 상관관계가 밝혀지고 있고[4], 간호사 담당 환자 수가 ADL (Activity of Daily Living)의 퇴보, 욕창 발생 및 욕창 악화의 의미있는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dersen MH, Lonning K, Bjornelv GM, Fagerstrom L. Nursing intensity and costs of nurse staffing demonstrated by RAFAELA system: Liver vs.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6;24(6):798-805. https://doi.org/10.1111/jonm.12384 

  2. Person SD, Allison JJ, Kiefe CI, Weaver MT, Williams OD, Centor RM, et al. Nurse staffing and mortality for medicare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edical Care. 2004; 42(1):4-12. 

  3. Kane RL, Shamliyan TA, Mueller C, Duval S, Wilt TJ.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 staffing levels and patient outcomes. Medical Care. 2007;45(12):1195-1204. 

  4. Kim Y, Cho SH, June KJ, Shin SA, Kim J. Effects of hospital nurse staffing on in-hospital mortality, pneumonia, sepsi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in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719-729. https://doi.org/10.4040/jkan.2012.42.5.719 

  5. Kim Y, Lee JY, Kang H. Impact of nurse, nurses' aid staffing and turnover rate on inpatient health outcom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 44(1):21-30. https://doi.org/10.4040/jkan.2014.44.1.21 

  6. Malloch K, Conovaloff A.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s, Part I: The third genera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9;29(7-8):49-56. 

  7. Harper K, McCully C. Acuity systems dialogue and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essential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7;31(4):284-299. 

  8. Upenieks VV, Kotlerman J, Akhavan J, Esser J, Ngo MJ. Assessing nursing staffing ratio: Variability in workload intensity. Policy, Politics & Nursing Practice. 2007;8(1):7-19. 

  9. Iapichino G, Radrizzani D, Bertolini G, Ferla L, Pasetti G, Pezzi A, et al. Daily classification of the level of care. A method to describe clinical course of illness, use of resources and quality of intensive care assistance. Intensive Care Medicine. 2001;27(1):131-136. 

  10. Cho YA, Shin HJ, Cho JK, Jung MK, Lee BN, Song KJ.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workload management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WMSCN) using WMS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1(1):71-84. 

  11. Yoo CS, Sim MY, Choi EH. Development of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3):401-411.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401 

  12. Yu M, Kim DY, Yoo CS. Development of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eonatal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2):205-216.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2.205 

  13. Song KJ, Kim EH, Yoo CS, Park HO, Park KO. Development of KPCS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urses) based on nursing ne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5-17. 

  14. Song KJ, Kim EH, Yoo CS, Park HA, Song MS, Park KO.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PCS-1 and estimation of nursing time conversion index.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27-143. 

  15. Song KJ, Yoo CS, Kim EH, Kim JH, Kim MA. A descriptive study for nursing care cost according to the level of care require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2):183-195. https://doi.org/10.22650/JKCNR.2012.18.2.183 

  16. Cho SH, Song KJ, Park IS, Kim YH, Kim MS, Gong DH, et al. Development of staffing levels for nursing personnel to provide inpatients with integrated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211-22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211 

  17. McHugh ML, Dwyer VL. Measurement issues in patient acuity classification for prediction of hours in nursing care.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1992;16(4):20-31. 

  18. van de Waterbeemd H. Chemometric methods in molecular design. Weinheim: VCH;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