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시선추적을 이용한 카페 공간 마감재 차이의 시각주의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for the Different Type of Material Finishing in Cafe Space Using by Eye-tracking원문보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can path evidence, this research have questions as (1) the difference of visual attention on finishing floor material stimulus, (2) visual attention of initial activity time and type of movement paths on AOIs, and (3) visual relation floor area with another AOIs. Eye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the SMI REDn Scientific, which sampled eye position at 30Hz and lasted 2 minutes(120s). Although viewing was binocular, only the right eye was tracked. Of the 66 observers(mean age 22 years, standard deviation: ${\pm}1.82$)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one by the four poi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s at the beginning tasks.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number of fixation and duration on AOIs divided into four parts (AOI I-Floor, AOI II-Wall, AOI III-Ceiling, and AOI IV-Counter) in the stimulus.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nalyzed as follows. First, it was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number of AOIs fixation times observed for the spatial image using the wood tile flooring material and the polishing tile. The wood tile flooring of stimulus had higher fixation number on AOI-II, AOI-III, and AOI-IV than the polishing tile. On seeing AOI-I was higher attention in the polishing tile stimulus. Second, the observers examined AOI-II intensively in both stimuli. However, the visual intensity was also followed by on the AOI-IV and AOI-I in the wood tile flooring stimulus, and on AOI-I, AO-IV in the polishing tile. Third, visual attention data on each AOIs have divided into the time range of "5 sec" for both images. In the wood tile stimulus,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followed by AOI-II, AOI-IV, and AOI-II. In the polished tile stimulus, the movement path followed by moving vertically to AOI-II, AOI-I, and AOI-II. This study approached meaningfully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tentions of visual attention, the relationship pathways of visual mechanism appeared and also activated by eye-tracking experime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can path evidence, this research have questions as (1) the difference of visual attention on finishing floor material stimulus, (2) visual attention of initial activity time and type of movement paths on AOIs, and (3) visual relation floor area with another AOIs. Eye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the SMI REDn Scientific, which sampled eye position at 30Hz and lasted 2 minutes(120s). Although viewing was binocular, only the right eye was tracked. Of the 66 observers(mean age 22 years, standard deviation: ${\pm}1.82$)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one by the four point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s at the beginning tasks.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number of fixation and duration on AOIs divided into four parts (AOI I-Floor, AOI II-Wall, AOI III-Ceiling, and AOI IV-Counter) in the stimulus.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nalyzed as follows. First, it was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number of AOIs fixation times observed for the spatial image using the wood tile flooring material and the polishing tile. The wood tile flooring of stimulus had higher fixation number on AOI-II, AOI-III, and AOI-IV than the polishing tile. On seeing AOI-I was higher attention in the polishing tile stimulus. Second, the observers examined AOI-II intensively in both stimuli. However, the visual intensity was also followed by on the AOI-IV and AOI-I in the wood tile flooring stimulus, and on AOI-I, AO-IV in the polishing tile. Third, visual attention data on each AOIs have divided into the time range of "5 sec" for both images. In the wood tile stimulus,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followed by AOI-II, AOI-IV, and AOI-II. In the polished tile stimulus, the movement path followed by moving vertically to AOI-II, AOI-I, and AOI-II. This study approached meaningfully and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tentions of visual attention, the relationship pathways of visual mechanism appeared and also activated by eye-tracking experim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무엇을 본다는 것에 집중과 의식의 본질적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사물이 감각으로 파악될 때, 의식을 통해서 포함되는 수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시각주의력의 관심으로 보았다.4) 시각주의력의 완전한 모델은 높은 수준의 시각 및 인지 기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실험을 통해서 관찰자의 의도와 목적을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의식적으로 공간을 주시하였을 때 시각주의력이 갖는 특성의 메커니즘을 시선추적의 실험 데이터로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보는 시각 정보에서 마감재가 갖는 시각적 주의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정보 획득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의식적으로 공간을 주시하였을 때 시각주의력이 갖는 특성의 메커니즘을 시선추적의 실험 데이터로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보는 시각 정보에서 마감재가 갖는 시각적 주의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정보 획득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나아가 실내 공간에서 바닥 영역의 재료를 변경한 이미지에서 시각주의력과 요소와의 관계를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보는 시각 정보에서 마감재가 갖는 시각적 주의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정보 획득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나아가 실내 공간에서 바닥 영역의 재료를 변경한 이미지에서 시각주의력과 요소와의 관계를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셋째, 실험 진행 후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공간에 대한 선호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주의력에 대한 실험 데이터분석을 목적으로 실험 데이터분석만 정리하였다.
실험의 목적은 실험 자극물로 제시되는 카페 환경 이미지에서 의도성 문구와 재료의 특성을 알고 선택적으로 시각주의력(Visual Attention)9)에 대한 관심영역이나 선호영역은 어디인지에 대해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조사에서 마감재의 시각적 중요성을 파악하고 시각뿐만 아니라 복합적 감각의 요소를 내포하는 특성을 참고하였다. 시선추적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 이미지에서 시각적 요인으로 마감재가 공간에서 시각적 지각과 주의력의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연구하였다.
마감재료 또한 공간을 지각하고 분위기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마감재의 차이가 있는 카페 공간 이미지에서 대화를 위한 방문 목적성을 가졌을 때 공간이미지의 구성요소에 대해 주시강도의 변화가 있는지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서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른 관심영역별 시각주의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드타일과 폴리싱타일을 마감으로 사용할 경우, 시선추적실험을 통해 공간 영역별 집중도를 살펴봄으로써 관심영역과 시각주의력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살펴본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마감재질에 주시강도의 차이가 시각주의력에 수직적 이동, 수평적 이동으로 영향을 끼친 것을 시선추적 실험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카페 공간의 이미지를 시자극물로 제시하여 실내 마감 재료의 차이에 따라 시각주의력 과정을 추적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첫째, 카페 환경을 나타내는 공간을 선택하여 컴퓨터 그래픽(CG) 이미지8)로 작업하였다.
둘째, 예비실험(2명)과 본 실험(66명)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실험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와 재확인을 하여 본 실험 과정을 결정하였다. 실험은 마감재 차이에 따른 시각자극물에 따라 참여자를 나누어 진행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실험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와 재확인을 하여 본 실험 과정을 결정하였다. 실험은 마감재 차이에 따른 시각자극물에 따라 참여자를 나누어 진행하였다. 그룹을 나눈 것은 실험 과정에서 이미지를 중복하는 학습 인지를 피하기 위함이다.
셋째, 실험 진행 후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공간에 대한 선호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주의력에 대한 실험 데이터분석을 목적으로 실험 데이터분석만 정리하였다.
위의 내용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데이터를 분석했다.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① 원데이터(Raw-data)를 선별하고, ② 실험에 사용된 공간 이미지를 관심영역(AOIs) 기준으로 구분, ③ 데이터 분석은 일반적 분석과 시계열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위의 내용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데이터를 분석했다.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① 원데이터(Raw-data)를 선별하고, ② 실험에 사용된 공간 이미지를 관심영역(AOIs) 기준으로 구분, ③ 데이터 분석은 일반적 분석과 시계열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마감재를 공간에서 복합감각의 요소로 서지은(2011)은 마감재는 공간을 인지하는데 시각적인 요소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며, 공간에서 차별적인 디자인을 위해 가장 선호하는 요소라고 하였다. 연구에서 재료의 색채, 질감, 패턴을 이미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곡숙 외(2011)는 상업공간에서 마감재의 시각적 촉감개념과 표현을 촉감 형용사 어휘를 사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곡숙 외(2011)는 상업공간에서 마감재의 시각적 촉감개념과 표현을 촉감 형용사 어휘를 사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공간에서 마감재는 시각뿐만 아니라, 촉각, 청각 등 복합적인 감각요소를 내포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감각에 따른 감성어휘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마감재의 현황에 따라 공간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서 김민아 외(2012)는 실내 마감재에 대한 거주자 의식 조사에서 마감재에 대한 선호와 지각에서 마감재를 건강에 대한 요인과 중요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선행 연구는 공간에서 마감재의 중요성을 파악하면서 조사 평가 방법은 현황조사를 통한 사례분석과 감성어휘에 따른 인터뷰 및 설문 조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조사에서 마감재의 시각적 중요성을 파악하고 시각뿐만 아니라 복합적 감각의 요소를 내포하는 특성을 참고하였다. 시선추적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 이미지에서 시각적 요인으로 마감재가 공간에서 시각적 지각과 주의력의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연구하였다.
(1980)는 시각 시스템의 구조사이에 관심이라는 주의력(Attention)의 관계를 입증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시각의 관심이라는 신호가 어디서 발생되고 관심의 초점을 두는 곳에서 주의력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보는 것에 대해 정의를 주의력의 관심과 아이디어가 은유적으로 갖는 판단의 모델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의도에 따라 시각의 주의력에 대한 이론을 재실험한 연구들서는 시선추적 실험으로 시간에 따라서 Fixation과 Saccade를 분석하고 의도성에 따른 시각주의력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였다. <그림 2>에서는 Scan path에서 Fixation number, Fixation duration, Fixation saccade 등을 분석하였다. 시간에 따라 데이터 값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의도성에 따라 이미지에서 관심영역을 추출하였다.
모든 시선은 좌우상단 Target을 기점으로 ‘ㄱ’를 그리며 중앙으로 집중되며, 중앙에서 바깥으로 시선이 퍼지고, 시선의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향한다 하였다. 사람의 시선은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찾아 주시 경로를 형성함을 파악하였다. 김실비아(2015)는 전시관 입구홀에서 안내사인 Target에 따라 관람객 주시특성에 대한 정보에 관한 연구에서 사람의 시선은 특정 물체가 시선에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탐사하며 경로를 형성하고 흥미를 끄는 영역과 주목 받지 않은 영역을 파악하여 공간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의 공간요소의 면적을 기준으로 시선고정강도 분석을 통해 마감재 차이에 따른 시각주의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에서 마감재의 차이에 따른 실험이므로 가급적 의 원본사진의 카페 환경과 유사한 CG 이미지가 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감재 변화의 의도성에 따른 이미지에 대한 시선추적 실험으로 Fixation11) 데이터를 관심영역으로 구분하고 시각주의력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주시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선고정의 횟수와 우세주시강도를 추출하여 이미지 자극물에 따른 시각주의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관심영역으로 구분하고 시각주의력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주시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선고정의 횟수와 우세주시강도를 추출하여 이미지 자극물에 따른 시각주의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마감재 차이에 따른 시지각 정보획득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그래픽(CG)이미지를 대상으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고, 실험 참가자의 데이터들 중에 유효율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선정하였다. 동일한 공간에서 바닥마감재의 차이를 둔 것이므로 카페 공간을 4개 관심영역(Area Of Interests)으로 구분하여 면적비율을 산출하고 각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Fixation Count)를 정리하였다.
마감재 차이에 따른 시지각 정보획득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그래픽(CG)이미지를 대상으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고, 실험 참가자의 데이터들 중에 유효율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선정하였다. 동일한 공간에서 바닥마감재의 차이를 둔 것이므로 카페 공간을 4개 관심영역(Area Of Interests)으로 구분하여 면적비율을 산출하고 각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Fixation Count)를 정리하였다. 공간에 대한 시선고정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할 것이 예상되므로 1인 참가자당 전체 실험 시간 2분(120초)을 5초 단위로 분류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관심영역의 시선고정 횟수를 정리하였다.
동일한 공간에서 바닥마감재의 차이를 둔 것이므로 카페 공간을 4개 관심영역(Area Of Interests)으로 구분하여 면적비율을 산출하고 각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Fixation Count)를 정리하였다. 공간에 대한 시선고정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할 것이 예상되므로 1인 참가자당 전체 실험 시간 2분(120초)을 5초 단위로 분류하여 시간흐름에 따른 관심영역의 시선고정 횟수를 정리하였다.
자극물 이미지 종류에 따른 시선의 정리를 통해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른 시선주의력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편 시선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에 더 많은 주의집중이 일어났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간구성 면적에 따른 시선고정 비율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카페 공간의 현장조사를 통해 시각자극물 대상을 선정하고 카운터와 실내공간 전체가 보이는 이미지를 대상으로 CG를 제작하였다. 공간에서 마감재의 차이에 따른 실험이므로 가급적 <그림 3>의 원본사진의 카페 환경과 유사한 CG 이미지가 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5 이상이며, 특정 전공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전공을 가진 자로 선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선추적기(Eye-tracker)는 SMI사의 SMI REDn Scientific이며, 1초에 30㎐로 설정하여 주시데이터를 저장하였으며, 실험과정에서 초점조정과 유효성 검사를 하였다.14) 데이터는 Blink, Fixation, Saccade로 저장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Fixation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내공간은 바닥, 벽(기둥), 천장으로 구성되는데 의 실험이미지를 과 같이 AOI Ⅰ-Floor (바닥영역), AOI Ⅱ-Wall (벽면영역), AOI Ⅲ-Ceiling(천장영역), AOI Ⅳ-Counter (카운터영역)의 4개로 구분하였다(이하 내용에서는 AOI-Ⅰ,Ⅱ,Ⅲ,Ⅳ로 정리함).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질의 차이를 가진 2개 이미지를 대상으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했는데, 각 공간의 차이는 바닥의 차이이다. 4개 공간구성요소의 면적은 <표 3>과 같이 공간구성요소별 면적이 상이하기 때문에 주시횟수의 빈도를 그대로 주시특성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공간의 면적이 넓으면 더 많은 주시횟수를 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면적과 주시횟수의 동등비교를 위해 면적과 주시횟수를 백분율로 변경한 후에 면적당 주의집중력 강도15)를 추출하였다.
폴리싱타일 마감을 사용한 공간이미지에서의 주시시간 범위의 관심영역별 주의집중력 강도를 에 정리하였다.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른 관심영역별 특성을 비교함에 있어 본 절에서는 시간범위별 주의집중력 강도값을 근거로 관심영역별 차이에 따른 바닥마감재 차이에 따른 공간구성요소의 상호간의 시선고정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둘째, 예비실험(2명)과 본 실험(66명)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실험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와 재확인을 하여 본 실험 과정을 결정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 여성 참가자로 총 66명으로 평균 나이 22세(표준편차: ± 1.82)이다.
실내공간 바닥마감재질은 와 같이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을 적용하여 2개의 자극물을 각각 작성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일시는 2017년 10월 31일에서 2017년 11월 2일까지 총 3일간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 여성 참가자로 총 66명으로 평균 나이 22세(표준편차: ± 1.
실험에 사용한 시선추적기(Eye-tracker)는 SMI사의 SMI REDn Scientific이며, 1초에 30㎐로 설정하여 주시데이터를 저장하였으며, 실험과정에서 초점조정과 유효성 검사를 하였다.14) 데이터는 Blink, Fixation, Saccade로 저장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Fixation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공간에서 마감재는 시각에 의해서 시선을 유도하지만, 경험을 통해 청각, 촉각 등 복합적인 감각을 함께 지각한다.1) 공간지각을 하는데 마감재의 표현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이 지각하는 과정에서 시각은 환경에서 관심 있는 개체를 인지하고 흥미 있는 것에 반응을 나타낸다.
사물이 감각으로 파악될 때, 의식을 통해서 포함되는 수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시각주의력의 관심으로 보았다.4) 시각주의력의 완전한 모델은 높은 수준의 시각 및 인지 기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시각적인 관심을 단순히 시각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설명 할 수는 없으며, 의도적으로 높은 수준(의도 혹은 선입견 등)의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
<그림 2>에서는 Scan path에서 Fixation number, Fixation duration, Fixation saccade 등을 분석하였다. 시간에 따라 데이터 값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의도성에 따라 이미지에서 관심영역을 추출하였다. 이는 시선추적 실험에 의해 시각 주의력은 의도성에 대한 관련된 이론을 뒷받침하며 입증하였다.
시선추적 데이터에서 우드타일 마감의 공간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 평균을 보면 AOI-Ⅲ→AOI-Ⅱ→AOI- Ⅳ→AOI-Ⅰ 순으로 높았으며, 폴리싱타일 마감의 경우에도 시선고정 횟수는 달랐지만 동일한 순위를 보이고 있었다.
각 공간의 면적배분을 비율로 정리하면 과 같이 AOI-Ⅰ은 40.5%, AOI-Ⅱ는 11.8%, AOI-Ⅲ는 23.7%, AOI-Ⅳ는 24.1%로 나타났으며, AOI-Ⅰ이 40.5%로 가장 넓은 공간을 점유하고 있었다.
시선추적 데이터에서 우드타일 마감의 공간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 평균을 보면 AOI-Ⅲ→AOI-Ⅱ→AOI- Ⅳ→AOI-Ⅰ 순으로 높았으며, 폴리싱타일 마감의 경우에도 시선고정 횟수는 달랐지만 동일한 순위를 보이고 있었다. 마감재에 따른 시선고정 횟수의 차이를 보면 AOI-Ⅱ, AOI-Ⅲ, AOI-Ⅳ에서 우드타일 마감이 높았다. 그러나 우드타일 마감이 폴리싱타일 마감보다 AOI-Ⅰ에서 98.
2%였다. 유효데이터 중 AOI-Ⅰ은 35.2%로 시선고정 횟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시선고정 횟수로만 보았을 때 우드타일 마감의 바닥마감재를 사용한 공간구성 이미지의 경우 AOI-Ⅰ영역이 다른 관심영역에 비하여 시선고정 횟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폴리싱타일 마감 공간에 대한 시선고정 평균을 살펴보면 전체 시선고정 중 유효데이터는 73.8%, 불용데이터는 26.2%였다.<그림 7> 유효데이터 중 AOI-Ⅰ은 40.
2%였다.<그림 7> 유효데이터 중 AOI-Ⅰ은 40.1%로 시선고정 횟수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선고정 비율에서 우드타일 마감을 사용한 관심영역 이미지의 경우와 같이 폴리싱타일 마감의 관심영역에서도 바닥을 다른 공간구성요소에 비하여 많이 주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등비교를 위해 관심영역에 따른 비율을 살펴보면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의 주의데이터의 비율은 AOI-Ⅰ, AOI- Ⅳ, AOI-Ⅱ, AOI-Ⅲ의 순으로 동일하였다. 우드타일 마감의 AOI-Ⅰ이 35.2%이었으며, 폴리싱타일 마감일 때 AOI-Ⅰ(40.1%)로 우드타일 마감보다 높았다.
6%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감재질의 차이에 나타난 구성요소의 주시비율을 보면 우드타일 마감에서는 AOI-Ⅳ (+2.9%)와 AOI-Ⅱ(+4.6%), 폴리싱타일 마감은 AOI-Ⅰ(4.9%)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즉 바닥마감재가 우드타일 마감으로 된 경우에는 AOI-Ⅳ․AOI-Ⅱ를, 폴리싱타일로 마감된 경우에는 AOI-Ⅰ을 더 주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즉 바닥마감재가 우드타일 마감으로 된 경우에는 AOI-Ⅳ․AOI-Ⅱ를, 폴리싱타일로 마감된 경우에는 AOI-Ⅰ을 더 주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시간범위별 주의집중력 강도를 정리한 것이 <표 6>이다. 우드타일 마감을 사용한 공간이미지에서의 구성요소별 주의집중 강도의 전체 평균을 보면 AOI-Ⅱ가 1.5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OI-Ⅰ과 AOI-Ⅳ는 각각 0.87이었으며 AOI-Ⅲ는 0.10으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면적을 기준으로 한 주의 집중 비율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AOI-Ⅱ를 1.
0」이상의 강도 값을 가진 영역을 우세한 영역으로 설정하여 정리한 것이 <표 8>이다. 우드타일 마감의 경우 AOI-Ⅰ은 3개, AOI-Ⅱ는 22개, AOI-Ⅲ는 0개, AOI-Ⅳ는 5개로 AOI-Ⅱ의 시선고정 횟수 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OI-Ⅳ, AOI-Ⅰ의 순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6>에서 AOI-Ⅰ과 AOI-Ⅳ의 강도 값이 0.
우드타일 마감의 경우 AOI-Ⅰ은 3개, AOI-Ⅱ는 22개, AOI-Ⅲ는 0개, AOI-Ⅳ는 5개로 AOI-Ⅱ의 시선고정 횟수 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OI-Ⅳ, AOI-Ⅰ의 순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6>에서 AOI-Ⅰ과 AOI-Ⅳ의 강도 값이 0.87로 동일했지만 우세강도를 보인 시간범위의 시선고정 빈도에서는 AOI-Ⅳ가 높았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면 우드타일 마감 공간에서는 전체적으로는 AOI-Ⅱ에 대한 우세가 모든 시간에 걸쳐 강하게 나타났으며 AOI-Ⅰ과 AOI-Ⅳ는 전체적으로는 동일하게 주시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세부 시간범위로 볼 경우에는 AOI-Ⅳ를 더 우세하게 주시한 시간범위가 많았다고 볼 수 있다.
87로 동일했지만 우세강도를 보인 시간범위의 시선고정 빈도에서는 AOI-Ⅳ가 높았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면 우드타일 마감 공간에서는 전체적으로는 AOI-Ⅱ에 대한 우세가 모든 시간에 걸쳐 강하게 나타났으며 AOI-Ⅰ과 AOI-Ⅳ는 전체적으로는 동일하게 주시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세부 시간범위로 볼 경우에는 AOI-Ⅳ를 더 우세하게 주시한 시간범위가 많았다고 볼 수 있다.
즉 동일한 공간에서 바닥마감재의 차이를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으로 할 경우, 가장 강하게 주시하는 구역은 공통적으로 AOI-Ⅱ이지만, 2순위로 우세하게 주시하는 구역은 우드타일 마감에서는 AOI-Ⅳ이지만 폴리싱타일 마감에서는 AOI-Ⅰ인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싱타일 마감에서는 우드타일 마감에 비해 AOI-Ⅱ에 대한 시선고정이 줄어들고 AOI-Ⅰ에 대한 시선고정이 우세하게 높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공간에서 시각주의력에 차이가 발생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일한 공간에서 바닥마감재의 차이를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으로 할 경우, 가장 강하게 주시하는 구역은 공통적으로 AOI-Ⅱ이지만, 2순위로 우세하게 주시하는 구역은 우드타일 마감에서는 AOI-Ⅳ이지만 폴리싱타일 마감에서는 AOI-Ⅰ인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싱타일 마감에서는 우드타일 마감에 비해 AOI-Ⅱ에 대한 시선고정이 줄어들고 AOI-Ⅰ에 대한 시선고정이 우세하게 높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공간에서 시각주의력에 차이가 발생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에서 가장 우세 빈도가 높았던 AOI-Ⅱ를 보면 우드타일 마감으로 한 경우의 주시 우세강도가 [1.55]로 매우 높았는데 의 마감재 상호를 비교한 결과도 우드타일 마감의 빈도가 22개 : 17개로 앞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우세강도 흐름에서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라 주의집중력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마감재의 주의집중력을 보면 주시시간의 흐름 중심에는 벽면영역에 해당하는 AOI-Ⅱ가 자리 잡고 있다.
즉 우드타일로 바닥마감을 하는 경우에는 바닥에 주시를 하는 경우 보다는 중심이 되는 벽면영역과 수평 이동되는 카운터영역에 대한 주시가 높게 형성되는 반면, 폴리싱타일 마감인 경우에는 중심이 되는 벽면영역과 수직 이동하는 바닥공간에 우세주시 특성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바닥마감재의 차이가 관심영역으로 공간을 주시하는 시각주의에 큰 차이를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장[AOI-Ⅲ]의 시선고정 빈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여기서는 시선고정 빈도가 비교적 높은 AOI-Ⅰ․Ⅱ․Ⅳ를 대상으로 정리한 것이 <표 9>이다. 평균 강도값이 2순위로 높았던 AOI-Ⅰ과 AOI-Ⅳ를 보면, AOI-Ⅰ에서 폴리싱타일로 바닥을 마감(10회)한 경우가 우드타일 마감(3회)에 비해 주시빈도와 주의집중력이 높았다. 이에 비해 카운터 영역에 해당하는 AOI-Ⅳ은 우드타일 마감(5회)으로 한 경우의 시선고정 강도의 빈도와 주의집중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바닥마감의 AOI-Ⅰ과 대비를 이룬다.
첫째,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을 사용한 공간이미지에 대한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의 평균에 차이가 나타났다. 바닥에 적용된 마감이 우드타일 마감일 경우 벽면영역, 천장영역, 카운터영역에서 폴리싱타일 마감보다 높게 나왔으나, 바닥영역은 폴리싱타일 마감의 공간이미지에서 높게 나왔다.
첫째,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을 사용한 공간이미지에 대한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의 평균에 차이가 나타났다. 바닥에 적용된 마감이 우드타일 마감일 경우 벽면영역, 천장영역, 카운터영역에서 폴리싱타일 마감보다 높게 나왔으나, 바닥영역은 폴리싱타일 마감의 공간이미지에서 높게 나왔다. 바닥 마감재료의 변화가 시각 주의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닥에 적용된 마감이 우드타일 마감일 경우 벽면영역, 천장영역, 카운터영역에서 폴리싱타일 마감보다 높게 나왔으나, 바닥영역은 폴리싱타일 마감의 공간이미지에서 높게 나왔다. 바닥 마감재료의 변화가 시각 주의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간이미지에서 공간구성 영역별 주시강도는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에서 공통적으로 벽면영역에서 높게 나왔다. 하지만 우드타일 마감의 경우 카운터영역, 바닥영역의 순으로 높은 주시강도를 가졌으나 폴리싱타일 마감의 경우는 바닥영역이 2번째로 높은 주시강도를 가지며 카운터영역의 주시강도가 3번째로 높았다.
셋째, 공간구성 영역별 시각 주의력을 「5초」의 시간범위에 대하여 이동은 2개 마감재질 모두 벽면영역을 중심으로 삼으면서 시선이동을 하고 있었다. 우드타일 마감에서는 벽면영역에서 시작하여 카운터영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벽면영역을 주시하는 형태로 시각주의력이 수평이동이 특징이다.
이에 비해 폴리싱타일 마감에서는 벽면영역을 중심으로 둔 것은 우드타일 마감과 동일했지만 좌측의 카운터영역을 주시하는 것이 아니라 바닥영역으로 우세주시가 이동했다가 다시 중심이 되는 벽면영역으로 되돌아가는 이동특성을 보였다. 바닥마감재의 차이가 사람의 시각주의력의 이동경향에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
또한 마감재질에 주시강도의 차이가 시각주의력에 수직적 이동, 수평적 이동으로 영향을 끼친 것을 시선추적 실험으로 알 수 있었다. 마감에 따른 시각주의력의 방향성에 차이가 있어 이를 통하여 공간이 갖는 목적성과 의도성에 따라 마감재질을 고려한다면 소비자에 의해 활용되는 공간의 구성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가 시선이동 결과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춰 시선추적 실험을 구성하고 분석했기 때문에 바닥마감이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일 때 공간 이미지의 어떤 특성이 주시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주의력에 끼친 영향을 파악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향후 후속연구로서 다양한 바닥마감재로써 시각주의력의 방향성을 알아보고, 마감재질의 차이가 어떠한 공간 요인으로 인하여 시각주의력의 변화를 주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가 시선이동 결과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춰 시선추적 실험을 구성하고 분석했기 때문에 바닥마감이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일 때 공간 이미지의 어떤 특성이 주시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주의력에 끼친 영향을 파악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향후 후속연구로서 다양한 바닥마감재로써 시각주의력의 방향성을 알아보고, 마감재질의 차이가 어떠한 공간 요인으로 인하여 시각주의력의 변화를 주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 공간에서 마감재료는 어떠한 것에 영향을 주는가?
실내 공간에서 마감재료는 공간의 분위기를 결정하며 방문자 및 거주자에게 공간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 공간에서 마감재료는 눈으로 보이며 판단되어진다.
시각적인 메커니즘을 통한 인간의 인지과정은?
인간이 지각하는 과정에서 시각은 환경에서 관심 있는 개체를 인지하고 흥미 있는 것에 반응을 나타낸다.2) 사람은 정보의 80% 이상을 눈의 감각을 통해 받아들이는데3) 시각적인 메커니즘으로 James(1890)는 인간은 눈으로 보이는 것 중에 본인의 관심이 무엇인지 알며 동시에 여러 가지 생각 가능한 사물에 대한 정의를 하고 마음에 선명하고 생생한 형태로 남겨 놓는다고 하였다. 무엇을 본다는 것에 집중과 의식의 본질적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의 관심영역별 시선고청 횟수 차이 결과는?
첫째,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을 사용한 공간이미지에 대한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의 평균에 차이가 나타났다. 바닥에 적용된 마감이 우드타일 마감일 경우 벽면영역, 천장영역, 카운터영역에서 폴리싱타일 마감보다 높게 나왔으나, 바닥영역은 폴리싱타일 마감의 공간이미지에서 높게 나왔다. 바닥 마감재료의 변화가 시각 주의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30)
아서 아사 버거,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이지희 옮김, 마포; 미진사, 1997
김주연, 박준수. 시선추적 실험에 따른 가로공간요소의 관심영역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권, 5호, 2017
여미, 주시빈도를 적용한 파사드디자인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경성대 석사논문, 2013
김실비아, 전시관 입구홀에서의 관람객 주시특성에 관한 연구 -국립생물자원관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2015
Merleau-Ponty M.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1996
James, W.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1, New York: Hoit. 1890
Gamito, P. S. P., Rosa, P. J. I See Me, You See Me : Inferring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rom Gazing Behaviour,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Von Helmholtz, H. Treatise on Physiological Optics: Translated from the 3rd German Ed: Optical Society of America. 1925
Duchowski, Andrew T. Eye tracking methodology.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2007
Holmqvist, Kenneth, et al.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UP Oxford, 2011
Yarbus, A.L., Eye Movements and Vision, Plenum Press, 1967
Desimone, R., Duncan, J. Neural mechanisms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8(1), 1995
Folstein, J. R., Monfared, S. S., Maravel, T. The effect of category learning on visual atten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Psychophysiology, 54(12), 2017
Koch, C., Ullman, S. Shifts in selective visual attention: towards the underlying neural circuitry. Human Neurobiology, Springer-Verlag, 4, 1987
Treisman, A. Features and objects in visual processing. Scientific American, 255(5), 1986
Wirth, M., Isaacowitz, D. M., Kunzmann, U. Visual attention and emotional reactions to negative stimuli: The role of age and cognitive reappraisal. Psychology and Aging, 32(6), 2017
Gidlof, K., Anikin, A., Lingonblad, M., Wallin, A. Looking is buying. How visual attention and choice are affected by consumer preferences and properties of the supermarket shelf. Appetite, 116, 2017
Parnamets, P., Johansson, R., Gidlof, K., Wallin, A. How information availability interacts with visual attention during judgment and decision tasks.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29(2-3), 2016
Michael I. Posner, Charles R. R. Snyder, Brian J. Davidson, Attention and the Detection of Signa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09(2), 1980
DeAngelus, M., Pelz, J. B. Top-down control of eye movements: Yarbus revisited. Visual Cognition, 17(6/7), 2009
Greene, M. R., Liu, T., Wolfe, J. M. Reconsidering Yarbus: A failure to predict observers' task from eye movement patterns. Vision research, 62, 20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