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선추적을 이용한 카페 공간 마감재 차이의 시각주의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Visual Attention for the Different Type of Material Finishing in Cafe Space Using by Eye-tracking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7 no.2 = no.127, 2018년, pp.3 - 11  

최진경 (숭실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김주연 (숭실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intensionally changing eye - gaze on the cafe space images with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the Yarbus' experiment, he argued that changing information that an observer is asked to obtain from an image changes pattern of eye movements. Based on the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엇을 본다는 것에 집중과 의식의 본질적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사물이 감각으로 파악될 때, 의식을 통해서 포함되는 수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시각주의력의 관심으로 보았다.4) 시각주의력의 완전한 모델은 높은 수준의 시각 및 인지 기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 실험을 통해서 관찰자의 의도와 목적을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의식적으로 공간을 주시하였을 때 시각주의력이 갖는 특성의 메커니즘을 시선추적의 실험 데이터로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보는 시각 정보에서 마감재가 갖는 시각적 주의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정보 획득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의식적으로 공간을 주시하였을 때 시각주의력이 갖는 특성의 메커니즘을 시선추적의 실험 데이터로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보는 시각 정보에서 마감재가 갖는 시각적 주의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정보 획득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나아가 실내 공간에서 바닥 영역의 재료를 변경한 이미지에서 시각주의력과 요소와의 관계를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보는 시각 정보에서 마감재가 갖는 시각적 주의력을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정보 획득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있다. 나아가 실내 공간에서 바닥 영역의 재료를 변경한 이미지에서 시각주의력과 요소와의 관계를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셋째, 실험 진행 후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공간에 대한 선호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주의력에 대한 실험 데이터분석을 목적으로 실험 데이터분석만 정리하였다.
  • 실험의 목적은 실험 자극물로 제시되는 카페 환경 이미지에서 의도성 문구와 재료의 특성을 알고 선택적으로 시각주의력(Visual Attention)9)에 대한 관심영역이나 선호영역은 어디인지에 대해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 조사에서 마감재의 시각적 중요성을 파악하고 시각뿐만 아니라 복합적 감각의 요소를 내포하는 특성을 참고하였다. 시선추적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 이미지에서 시각적 요인으로 마감재가 공간에서 시각적 지각과 주의력의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연구하였다.
  • 마감재료 또한 공간을 지각하고 분위기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마감재의 차이가 있는 카페 공간 이미지에서 대화를 위한 방문 목적성을 가졌을 때 공간이미지의 구성요소에 대해 주시강도의 변화가 있는지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서 바닥마감재의 차이에 따른 관심영역별 시각주의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우드타일과 폴리싱타일을 마감으로 사용할 경우, 시선추적실험을 통해 공간 영역별 집중도를 살펴봄으로써 관심영역과 시각주의력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살펴본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마감재질에 주시강도의 차이가 시각주의력에 수직적 이동, 수평적 이동으로 영향을 끼친 것을 시선추적 실험으로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카페 공간의 이미지를 시자극물로 제시하여 실내 마감 재료의 차이에 따라 시각주의력 과정을 추적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 공간에서 마감재료는 어떠한 것에 영향을 주는가? 실내 공간에서 마감재료는 공간의 분위기를 결정하며 방문자 및 거주자에게 공간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 공간에서 마감재료는 눈으로 보이며 판단되어진다.
시각적인 메커니즘을 통한 인간의 인지과정은? 인간이 지각하는 과정에서 시각은 환경에서 관심 있는 개체를 인지하고 흥미 있는 것에 반응을 나타낸다.2) 사람은 정보의 80% 이상을 눈의 감각을 통해 받아들이는데3) 시각적인 메커니즘으로 James(1890)는 인간은 눈으로 보이는 것 중에 본인의 관심이 무엇인지 알며 동시에 여러 가지 생각 가능한 사물에 대한 정의를 하고 마음에 선명하고 생생한 형태로 남겨 놓는다고 하였다. 무엇을 본다는 것에 집중과 의식의 본질적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의 관심영역별 시선고청 횟수 차이 결과는? 첫째, 우드타일 마감과 폴리싱타일 마감을 사용한 공간이미지에 대한 관심영역별 시선고정 횟수의 평균에 차이가 나타났다. 바닥에 적용된 마감이 우드타일 마감일 경우 벽면영역, 천장영역, 카운터영역에서 폴리싱타일 마감보다 높게 나왔으나, 바닥영역은 폴리싱타일 마감의 공간이미지에서 높게 나왔다. 바닥 마감재료의 변화가 시각 주의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아서 아사 버거,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이지희 옮김, 마포; 미진사, 1997 

  2. 김주연, 박준수. 시선추적 실험에 따른 가로공간요소의 관심영역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권, 5호, 2017 

  3. 김종하, 김주연, 시각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방법, 한국감성과학회, 18권, 4호, 2015 

  4. 김민아, 이재훈. 인테리어전문가를 통해 본 아파트 실내마감재 선정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4권, 1호, 2012 

  5. 김소희, 건축물 용도에 따른 내 외부 마감 재료의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권, 2호, 2005 

  6. 서지은, 주거공간의 시각적 차별화를 위한 마감재 혼합적 표현 방법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권, 2호, 2011 

  7. 이곡숙, 서지은, 상업공간에서 마감재에 의한 시각적촉감 표현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권, 1호, 2011 

  8. 이상호, 김태환, 공공건물의 마감재 감성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5호, 2002 

  9. 김주연, 김종하, 블루투스 제품광고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영역과 주의집중,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7권, 2호, 2017 

  10. 여미, 주시빈도를 적용한 파사드디자인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경성대 석사논문, 2013 

  11. 김실비아, 전시관 입구홀에서의 관람객 주시특성에 관한 연구 -국립생물자원관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2015 

  12. Merleau-Ponty M.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1996 

  13. James, W.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1, New York: Hoit. 1890 

  14. Gamito, P. S. P., Rosa, P. J. I See Me, You See Me : Inferring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rom Gazing Behaviour,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15. Von Helmholtz, H. Treatise on Physiological Optics: Translated from the 3rd German Ed: Optical Society of America. 1925 

  16. Duchowski, Andrew T. Eye tracking methodology.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2007 

  17. Holmqvist, Kenneth, et al.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UP Oxford, 2011 

  18. Yarbus, A.L., Eye Movements and Vision, Plenum Press, 1967 

  19. Desimone, R., Duncan, J. Neural mechanisms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8(1), 1995 

  20. Folstein, J. R., Monfared, S. S., Maravel, T. The effect of category learning on visual atten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Psychophysiology, 54(12), 2017 

  21. Koch, C., Ullman, S. Shifts in selective visual attention: towards the underlying neural circuitry. Human Neurobiology, Springer-Verlag, 4, 1987 

  22. Treisman, A. Features and objects in visual processing. Scientific American, 255(5), 1986 

  23. Wirth, M., Isaacowitz, D. M., Kunzmann, U. Visual attention and emotional reactions to negative stimuli: The role of age and cognitive reappraisal. Psychology and Aging, 32(6), 2017 

  24. Gidlof, K., Anikin, A., Lingonblad, M., Wallin, A. Looking is buying. How visual attention and choice are affected by consumer preferences and properties of the supermarket shelf. Appetite, 116, 2017 

  25. Milosavljevic, M., Navalpakkam, V., Koch, C., Rangel, A. Relative visual saliency differences induce sizable bias in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2(1), 2012 

  26. Orquin, J. L., Mueller Loose, S. Attention and choice: A review on eye movements in decision making. Acta Psychologica, 144(1), 2013 

  27. Parnamets, P., Johansson, R., Gidlof, K., Wallin, A. How information availability interacts with visual attention during judgment and decision tasks.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29(2-3), 2016 

  28. Michael I. Posner, Charles R. R. Snyder, Brian J. Davidson, Attention and the Detection of Signa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09(2), 1980 

  29. DeAngelus, M., Pelz, J. B. Top-down control of eye movements: Yarbus revisited. Visual Cognition, 17(6/7), 2009 

  30. Greene, M. R., Liu, T., Wolfe, J. M. Reconsidering Yarbus: A failure to predict observers' task from eye movement patterns. Vision research, 6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