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병 정량 지표에 관한 중국의 임상연구 동향 분석 -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linical Research Trends on Quantitative Indicators of Mibyeong in China - Using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2 no.1, 2018년, pp.15 - 28  

여민경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clinical research on quantitative indicators of Mibyeong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TCM). Method : The journal search was performed using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database. Our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지식의 확산과 소득의 증대 등으로 인해 건강한 삶에 대한 인식과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예방의학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미 병의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의 한의학적 평가 진단법이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연구가 보다 많은 중국에서 선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미병의 정량 지표에 관한 임상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한국의 미병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 정량 지표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선행된 미병과 연관 있는 정량 지표의 임상연구 동향을 살펴 한국의 미병 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병의 황제내경에서 확립된 개념은 무엇인가? 미병(未病)은 예방과 양생을 강조하는 용어로 한의학에서 중요시되며, 질병이 만연하는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한 개념이다. 미병은 『황제내경』에서 확립된 개념으로1), 최근에는 ‘병은 아니지만 이상증상과 회복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현대의학에서는 건강도 질병도 아닌 상태를 뜻하는 제3상태, 반건강(半健康), 아건강(亞健康), grey zone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2,3).
미병의 개념은 무엇인가? 미병(未病)은 예방과 양생을 강조하는 용어로 한의학에서 중요시되며, 질병이 만연하는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한 개념이다. 미병은 『황제내경』에서 확립된 개념으로1), 최근에는 ‘병은 아니지만 이상증상과 회복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건강도 질병도 아닌 상태를 뜻하는 제3상태나 반건강 아건강 그레이 존등으로 표현하는 것은? 한국에서는 1997년 처음으로 미병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2008년에 이르러서야 관련 논문들이 발표되기 시작하였다4). 현재 국내의 미병 연구는 초기단계로서 현황조사, 델파이 연구, 평가·분류도구 개발 등의 연구2,5,6)가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Oh CK, Kim YJ. A Study of 'Health' by the theor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Korean Association for Philosophy of Medicine. 2008;5:19-51. 

  2. Lee JC, Kim SH, Lee YS, Song SH, Kim YY, Lee SW. The Concept of Mibyeong (subhealth) in Korea: A Delphi Stud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3;5(6):514-518. 

  3. Beak YH, Lee YS, Park KH, Lee SW, Yoo JH.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Mibyeong Questionnaire(MQ) Based on Deficiency-Stagnation pattern.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11-19. 

  4. Lee SW. Development of diagnostic guide of Mibyeong in Integrated medicine(Research Report).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3. 

  5. Lee EY, Lee YS, Park KH, Yoo JH, Lee YS. A study on recognition of Mibyeong and its prevalence in Korean public : national survey.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1-10. 

  6. Lee YS, Beak YH, Park KH, Jin HJ, Lee S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health status of healthy but unsatisfied people : Mibyeong index(未病 index).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6;20(3):45-53. 

  7. Jin HJ, Beak YH, Lee YS, Lee JC, Kim M, Kim SH. Network Analysis of "Mibyung" Research. Korean Journal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2;26(4):546-550. 

  8. Lee JC, Jin HJ. Review of Subhealth and Mee-byung Research Trend as a Method of Network Analysis from 2007 to 2011 in China. Korean Journal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2;26(5):615-620. 

  9. Lee SJ, Lee SS, Kim DH. A Study on the trends of Meebyung research. Journal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5):23-54. 

  10. 何?湖. ?健康?床指南. 北京:中?中??出版社. 2009. 

  11. Lee JC, Kim DS, Jang ES. Current Trend of Mibyeong Health Policy and Service in China through Investigation Activity of Mibyeong Technology -Report of China Technology Research Group-.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3;17(1):137-147. 

  12. Lee EK, Song AJ, Chong MS. Review on Prevetive Treatment Disease Program promoted in China.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4;18(2):47-58. 

  13. 宋素景, 李政軍, 劉蘭芬. 亞健康人群血液流變學, 微循環學和S- $100{\beta}$ 蛋白檢測的臨床意義. 南方醫科大學學報. 2009;29(2):360-361. 

  14. 鐘白雲, 鄧輝, 羅振, 廖經忠, 蔣紅梅, 劉蔚東. 長沙市健康及亞健康成人血脂生物參考區間建立. 中國內鏡雜誌. 2009;15(6):600-603. 

  15. 許家?, 張志楓, 李?, 屠立平, 費兆馥, 基於圖像分析的亞健康狀態舌象顔色特徵硏究. 遙寧中醫雜誌, 2010;37(12):2328-2330. 

  16. 許家?, 屠立平, 邸智, 陳園, 陳淸光, 張利, 崔龍?, 費兆馥, 張志楓. 亞健康狀態的四診信息分析於辨證分類硏究. 北京中醫藥大學學報. 2011;34(11): 741-750. 

  17. 郭小玉, 沈紅軍, 李方潔. 亞健康者的短程心律變異性特徵. 臨床心電學雜誌. 2011;20(6):432-434. 

  18. 黃敏, 馬健, 李金晏. 210例亞健康人群血液生化指標檢測的臨床分析. 中國醫藥指南. 2012;10(31):494-495. 

  19. 許家?, 吳宏進, 陸?明, 屠立平, 張志楓, 陳曉. 不同健康狀態的面部光譜色度特徵分析. 生物醫學工程學雜誌. 2012;29(6):1062-1067. 

  20. 楊麗蓉, 馬正東, 吳波. 圍絶經期婦女"亞健康"狀態常見證素於性激素, 血液生化的相關性硏究. 中醫藥學報. 2012;40(4):64-67. 

  21. 梁勤, 竇嬌瑩, 閻曉霞. 亞健康人群"氣虛血瘀"證型瘀血流變指標的相關性硏究. 內蒙古中醫藥. 2013;30:57-58. 

  22. 王春華, 胡玲, 劉磊, 王潔, 許靜, 李前輝, 劉洋. 亞健康狀態人群的疲勞於免疫指標相關性硏究. 中醫藥臨床雜誌. 2015;27(1):50-52. 

  23. 陳亮, ?濱. 122例亞健康人群血液生化指標檢測的臨床分析. 重慶醫學. 2016;45(15):2111-2113. 

  24. Jin HJ, Lee YS, Yu HN, Lee SW. Analyzing Patent Trend of Mibyeong.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21-28. 

  25. 中華中醫藥學會. 亞健康中醫臨床指南.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2006. 

  26. 魏育林, 孔晶, 劉國玲, 韓標, 王曉娟, 鄭應, 胡志峰, 宋海?, 劉偉. 205例綜合醫院亞健康狀態員工中醫證候特征和主要證型探析. 中華中醫藥雜志. 2008;23(2):107-110. 

  27. Lee JC, Kim SH, Lee YS, Jang ES, Lee SW. Overview of relations between concepts of sub-health(Mibyung) and Korean medicine patterns.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2;6(2):31-39. 

  28. Kang YH. Encyclopedia of Life Science. Seoul:Academibooks. 2008. 

  29. Suh SH, Yoo SS. Effect of Physical Vibration on Blood Visco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Seasonal Conference). 1997;1:542-545. 

  30. Jeon BH, Hong WW, Jeong WY. Study on the Oriental Medical Concept of Blood Stasis. Korean Journal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989;4(4):93-102. 

  31. Takechi M. Kim YS, Park YB translator. Eastwest medicine of Mibyeong. Seoul: Koonja Publisher. 2008. 

  32. Kim K, Ha YJ, Park SJ, Choi NR, Lee YS, Joo JC. Characteristics of Fatigue in Sasang Constitution by Analyzing Questionnaire and Medical Devices Data.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3;25(4):306-319. 

  33. Lee DE. The Effect of Dangguibohyultang and Ssangbohwan on the Muscle Recovery in Rats.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1996;17(1):361-373. 

  34. Park CK. Annotation for Yellow Emperor's Canon of Internal Medicine. Seoul: Jibmoondang. 2005. 

  35. Larsson R, Oberg PA, Larsson SE. Changes of Trapezius Muscle Blood Flow and Electromyography in Chronic Neck Pain due to Trapezius Myalgia. Pain. 1999;79(1):45-50. 

  36. Larsson SE, Bodegard L, Henriksson KG, Oberg PA. Chronic Trapezius Myalgia. Morphology and Blood Flow Studied in 17 Patients. Acta orthopaedica Scandinavica. 1990;61(5):394-398. 

  37. Hagg GM. Human Muscle Fiber Abnormalities Related to Occupational Load.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0;83(2-3): 159-165. 

  38. Shin SM, Kim KT, Ko H. Fatigue Diagnostic Measure Research Through The Heart Rate Variability of Chronic Fatigue Patients and Healthy Students in Korean Medical Hospital. Korean Journal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5;29(5):409-41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