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지사 대웅전 포벽화 보존방안을 위한 과학적 조사
Scientific Investigation for Conservation Methodology of Bracket Mural Paintings of Daeungjeon Hall in Jikjisa Templ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2, 2018년, pp.107 - 118  

이화수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김설희 (충북대학교 문화재보존기술지원센터) ,  한경순 (건국대학교 회화보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직지사 대웅전 포벽화에 대한 보존상태 진단 및 재질분석 등 과학적 조사를 통해 벽화 보존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벽화 보존상태 평가 결과, 채색층 열화 및 벽화면 오염 등의 손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벽체 균열 및 파손 그리고 층간 분리 등 벽체의 구조적 손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학적 조사결과 밑그림 또는 덧칠의 흔적 등 채색층에서의 특이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벽화 별 초음파 탐상 속도는 표면 위치에 따라 낮게는 약 195.8 m/s부터 높게는 392.7 m/s까지 측정되어 위치에 따른 표면 물성을 비교할 수 있었으며, 적외선 열화상 촬영에서는 벽체 층간 분리 및 채색층 박리부위가 면밀하게 검출되어 손상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이 가능하였다. 재질 분석 결과 벽체는 모래와 풍화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벽체층은 모래와 세립사 이하 크기의 토양을 거의 5:5로 혼합하였고, 마감층은 중립사와 세립사를 약 6:4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마감층의 경우 극세립사 이하 크기의 혼합비율이 벽체층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지사 대웅전 포벽화는 토벽체가 갖는 구조 특성과 함께 벽체층간 밀도 차이로 인해 벽체 파손과 층간 분리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port does studied for making the method of conserving bracket murals in Daeungjeon of Jikjisa Temple, through the scientific way. Results of evaluated the conservation status at the braket mural paintings, most serious damage is structural damage like cracks, breakage, and delamination. Af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실시된 직지사 대웅전 벽화 보존처리를 위한 과학적 조사 과정의 일환으로 포벽화 상태조사 및 진단 연구 결과를 제시하여 향후 벽화 보존방안에 있어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지사 대웅전 포벽화의 심화 균열과 벽체 층간 분리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손상상태 조사를 통해 확인된 벽체 균열 및 파손 등은 건물 변위 및 벽화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부분의 심화 균열과 벽체 층간 분리현상은 건물의 거동, 중깃 및 외가지의 변형으로 인한 벽체 파손 그리고 가구재 및 벽체 하중으로 인한 영향 등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손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벽체의 미세균열은 문의 개폐 및 외기에 의한 진동, 온습도 변화에 의한 벽체의 지속적 변형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지사 대웅전 포벽화의 보존상태는 어떠한가? 직지사 대웅전 포벽화에 대한 보존상태 진단 및 재질분석 등 과학적 조사를 통해 벽화 보존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벽화 보존상태 평가 결과, 채색층 열화 및 벽화면 오염 등의 손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벽체 균열 및 파손 그리고 층간 분리 등 벽체의 구조적 손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학적 조사결과 밑그림 또는 덧칠의 흔적 등 채색층에서의 특이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안료의 입상분해는 무엇인가? 채색층에서는 입상분해와 오염으로 인한 손상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고착처리 및 세척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료의 입상분해는 벽화 제작당시 사용된 전색제가 장시간 외기에 노출되며 물리·화학적 작용으로 분해되어 채색층을 구성하는 안료간의 결속력이 약화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면 안료는 지속적으로 박락되어 벽화는 점차적으로 퇴색되므로 이에 대한 고착처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ae, S.J., Yang, H.J. and Han, K.S., 2006,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of clay wall structure containing traditional mural paintings. - The clay walls having mural paintings housed in the protective building in Muwisa Temple, Kangjin, Jeollanamde Provinc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8, 5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H.J., 2017, Study on physical change in the earthen finish layer of tomb murals due to drying. MUNHWAJAE, 50(4), 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K.S., 2003,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Korea. Doctor's thesis, University of Herzen State Pedagogical, Sankt-Peterburg. 

  4. Han, K.S., 2010, Estimation of damage degree for mural paintings in Maitreya Hall of Geumsan-sa Buddhist temple,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3), 293-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H.S., 2012, Consideration on current state of restoration of murals in temples in Korea. The Art History Journal, 38, 351-3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H.S., 2013, An analytical study of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the conservation of Korean Buddhist mural paintings. Docto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H.S., 2016, Study on material characterization of earthen wall of Buddhist mural paintings in Joseon Dynasty, 32(1), 75-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K.M., 2011, The research on condition of Buddhist mural paintings - focusing on Buddhist Temple in Chungcheong-do region. The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9, 156-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T.J., 2004, (A) Study on the way how to diagnose safety of the mural of the temple in Korea : Centering on diagnosis of safety using the velocity method by ultrasonic waves. Master's thesis, Gyeongju University, Gye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oon, H.S., 1996, Clay mineralogy. Minumsa, Seoul.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