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위한 치매노인의 식사행동장애 대처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Caregivers in Feeding Difficulty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2, 2018년, pp.167 - 181  

홍현화 (경남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developed and tested the effects of a co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caregivers in feeding difficulty amo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comprised 34 caregivers (exper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치매노인의 식사행동장애 대처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요양보호사의 급식지식, 급식태도, 급식행동과 치매노인의 식사행동장애, 식사량,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급식태도가 긍정적일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급식행동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식사행동장애 대처기술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요양보호사로부터 식사보조를 받는 실험군(이하 실험군 치매노인)은 대조군 보다 식사행동장애가 적을 것이다. ;
  • 가설 5.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사량이 증가할 것이다. ;
  • 가설 6.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체질량지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1. 식사행동장애 대처기술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하 실험군 요양보호사)은 대조군보다 급식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에 비해 2015년 치매환자 수가 몇 명으로 증가하였는가?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의 대표적 질환인 치매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여, 치매환자 수가 2012년 약 54만 명에서 2015년 64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2050년에는 271만 명으로 예상되어 매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하는 추세이다[1]. 또한 치매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수는 2006년 105,253명에서 2014년 442,855명으로 9년 전에 비해 337,602명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이 19.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가 빠르게 증가한 이유는? 국내에서는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자의 장기요양에 대한 요구 증가와 가족의 부양부담에 따른 관리대책으로 2008년 7월부터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1].
2050년 예상 치매환자 수는?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의 대표적 질환인 치매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여, 치매환자 수가 2012년 약 54만 명에서 2015년 64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2050년에는 271만 명으로 예상되어 매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하는 추세이다[1]. 또한 치매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수는 2006년 105,253명에서 2014년 442,855명으로 9년 전에 비해 337,602명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이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rd comprehensive plan for dementia management ('16-'20) [Internet]. Seoul: Author; c2015 [cited 2015 Dec 2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9062&page1. 

  2. Choi ID, Lee YM. Study on the efficient integr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geriatric hospitals by using NHIC survey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3):855-869. 

  3. Chang CC, Roberts BL. Feeding difficulty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17):2266-2274.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7.02275.x 

  4. Watson R, Green SM. Feeding and dementi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4(1):86-9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793.x 

  5. Volicer L, Seltzer B, Rheaume Y, Fabiszewski K, Herz L, Shapiro R, et al. Progression of Alzheimer type dementia in institutionalized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987;6(1):83-94. https://doi.org/10.1177/073346488700600107 

  6. Jansen S, Ball L, Desbrow B, Morgan K, Moyle W, Hughes R. Nutrition and dementia care: Informing dietetic practice. Nutrition & Dietetics. 2015;72(1):36-46. https://doi.org/10.1111/1747-0080.12144 

  7. Amella EJ. Factors influencing the proportion of food consumed by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9;47(7):879-885.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9.tb03849.x 

  8. Simmons SF, Osterweil D, Schnelle JF. Improving food intake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feeding assistance: A staffing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2001;56(12):M790-M794. https://doi.org/10.1093/gerona/56.12.M790 

  9. Amella EJ. Feeding and hydration issue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04;39(3):607-623. https://doi.org/10.1016/j.cnur.2004.02.014 

  10. Liu W, Galik E, Boltz M, Nahm ES, Resnick B. Optimizing eating performance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A systematic review.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2015;12(4):228-235. https://doi.org/10.1111/wvn.12100 

  11. Oh JJ. Assisting demented patients with feeding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2):315-328. 

  12. Batchelor-Murphy M, Amella EJ, Zapka J, Mueller M, Beck C. Feasibility of a web-based dementia feed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home staff. Geriatric Nursing. 2015;36(3):212-218.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5.02.003 

  13. Chang CC, Lin LC. Effects of a feeding skills training programme on nursing assistants and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5;14(10):1185-1192.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5.01240.x 

  14. Chang CC, Wykle ML, Madigan EA. The effect of a feed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assistants who feed dementia patients in Taiwanese nursing homes. Geriatric Nursing. 2006;27(4):229-237.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06.03.007 

  15. Chang CC. Effects of a feeding skills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tion, and behavior of formal caregivers toward feeding dementia patients in Taiwan nursing homes [dissertation]. Cleveland (OH):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05. p. 1-230. 

  16. Watson R. Measuring feeding difficulty in patients with dementia: Perspectives and problem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3;18(1):25-31.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3.18010025.x 

  17. Liu W, Cheon J, Thomas SA. Interventions on mealtime difficultie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4;51(1):14-27.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12.021 

  18. Chang CC, Roberts BL. Strategies for feeding patients with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11;111(4):36-44. https://doi.org/10.1097/01.naj.0000396553.01996.5e 

  19. Hong HH, Gu MO. Feeding difficul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elder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2):1240-1252. https://doi.org/10.5762/kais.2015.16.2.1240 

  20. Lee J, Ryu SA. Factors associated with feeding difficulty in long-term care facility older adul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2017;19(1):1-12. https://doi.org/10.17079/jkgn.2017.19.1.1 

  21. Baek SY. Effects of a feeding assistance education on care providers for elderly patients in a geriatric hospital [master's thesis]. Busan: Busan University; 2014. p. 1-98. 

  22. Park MS, Choi-Kwon S.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 behavior toward oral hygiene for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84-693.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84 

  23. Coleman P. Improving oral health care for the frail elderly: A review of widespread problems and best practices. Geriatric Nursing. 2002;23(4):189-199. https://doi.org/10.1067/mgn.2002.126964 

  24. MacEntee MI, Wyatt CCL, Beattie BL, Paterson B, Levy-Milne R, McCandless L, et al. Provision of mouth-car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 educational trial.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7;35(1):25-34.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7.00318.x 

  25. Ajzen I, Fishbein M.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p. 1-278. 

  26. Hui J, Wenqin Y, Yan G. Family-paid caregivers in hospital health care in Chin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8):1026-1033. https://doi.org/10.1111/jonm.12017 

  27. Suominen MH, Kivisto SM, Pitkala KH.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professionals' practice and on the nutrition of aged residents in dementia ward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61(10):1226-1232. https://doi.org/10.1038/sj.ejcn.1602639 

  28. Inoue S, Zimmet P.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Melbourne: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Feb. Report No.: 0-9577082-1-1. 

  29. Lorefalt B, Wilhelmsson S. A multifaceted intervention model can give a lasting improvement of older peoples' nutritional status.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12;16(4):378-382. https://doi.org/10.1007/s12603-011-036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