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과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Capabilities required for Culinary Arts Curriculum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4 no.3 = no.94, 2018년, pp.47 - 59  

김태현 (대림대학교 호텔외식서비스과) ,  김태희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cational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blamed for training skill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field. This study was sought for finding out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hotel entry-level cook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case studies in terms of NCS's basic competen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심층면접을 통해 국가직업능력표준에서 제시하는 일반적인 직업기초능력이 아닌 조리직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국내 전문대학 조리교육과정에 개설되어있는 직업기초능력교과목의 사례를 조사하고 호텔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NCS에서 제시하는 10대 직업기초능력가운데 신입조리사가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2년의 짧은 수업연한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신입조리사를 위한 실무형 교육 과정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조리직에게 요구되는 직업 기초능력의 우선순위 도출이 중요한 이유는 교사와 교수들은 교과영역(외국어, 수리, 기술능력)에서 학생들의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나, 호텔전문가들은 비교과영역(문제해 결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직업 기초능력의 현장성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어(Kim, 2006) 학계와 업계 간의 갭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NCS에서 제시하는 10대 직업기초능력은 내용이 방대하여 전문대학의 2년이라는 짧은 수업연한에 모든 내용을 담기에는 시간적으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분야의 신입조리사직(職)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으로 범위를 좁혀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직무능력을 강조했던 조리교육에서 벗어나 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 측면에서 2년제 호텔조리사 교육과정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조리사직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조리사 양성에 있어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직업기초능력의 중요성과 실무중심 조리교육과정에 직업기초능력을 포함시켜야 하는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NCS에서 제시하는 10대 직업기초능력 가운데 호텔조리사 양성과정에 우선적으로 포함시켜야 할 직업기초능력과 조리직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을 도출하여 교육과정 개선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이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심층면접을 통해 국가직업능력표준에서 제시하는 일반적인 직업기초능력이 아닌 조리직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국내 전문대학 조리교육과정에 개설되어있는 직업기초능력교과목의 사례를 조사하고 호텔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NCS에서 제시하는 10대 직업기초능력가운데 신입조리사가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역량모델 관점에서 본다면 지금까지 조리교육은 조리사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요소들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특히 신입조리사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잠재적 역량요소를 파악하기 위해서 현장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설문에 반영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기초능력이란 무엇인가?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연구에서 Lee (2006)는 ‘직업세계에서 생존하는데 필요한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능력과 다른 능력에 기초가 되는 능력들의 총체’로 정의하였고 NCS에서는 직업기초능력을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모든 직업인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정의(NCS, 2014)하고 있다.
NCS가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의 분류는 무엇인가? NCS에서는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의 10개 능력으로 제시하였다. NCS에서 제시하는 각 능력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량모델의 분류는 무엇인가? 역량모델은 Spencer & Spencer(1993)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빙산모형(iceberg model)이라고 하는데 역량을 동기(motive), 특질(trait), 자아개념(self-concept), 지식(knowledge), 기술(skills) 등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지식․기술과 같이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개발할 수 있는 가시적 역량(visible competency)과 동기․특질․자아개념과 같이 외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잠재적 역량(invisible competency)으로 나누었는데 역량관점에서 조리기술과 이론적 지식은 가시적 역량에 해당되고, 조리사로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인 직업기초능력이나 역량은 잠재적 역량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Ahn, J. H. (2016). The hotel cooks' competency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2. Ansa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ansan.ac.kr 

  3. Baekseok Arts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bau.ac.kr 

  4. Bucheo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bc.ac.kr 

  5. Cho, Y. L. (2002). A study of requirement of on the job training in hotel kitchen (Master's thesis). Kyonggi Univesity. 

  6. Choi, H. J., Shin, S. Y., Yang., & Cha, J. A. (2007). Usage frequency and importance of competencies required to restaurant industry professionals.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2(2), 201-209. 

  7. Choi, I. S., & Hong, D. Y.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ks training model-outside the existing systems.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5(2), 163-181. 

  8. Choi, K. S. (2010). Development of the college curriculum using the competency-based model. The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0), 464-478. 

  9. 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2014). Retrieved from http://www.ciachef.edu 

  10. Daelim University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daelim.ac.kr 

  11. Dong Seoul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du.ac.kr 

  12. Dowon Technical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doowon.ac.kr 

  13. Hu, M. L. (2010). Developing a core competency model of innovative culinary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9(4), 582-590. 

  14. Hyejeon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hj.ac.kr 

  15. Jang, M. H. (2005). Current state of the management of culinary education and measures to educate human resources in the culinary field.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1(2), 1-19. 

  16. Janga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jangan.ac.kr 

  17. JEI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jeiu.ac.kr 

  18. Jin, Y. M., & Kim. S. H. (1998).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otel cooking curriculum in Korean college. Hejeon College, 4, 65-81. 

  19. Jung, C. Y., Seo, W. S., Lee, K. A., & Choi, D. S. (2000). Statu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griculture & Life Science, 4, 1-22. 

  20. Jung, H. S., Seo, K. H., & Yoon, H. H. (2004). Present situation of internship prgram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studies.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7(3), 65-85. 

  21. Jung, Y. K., Hwang, H. J., & Heo, K. S. (2006). The effects of internship program satisfaction on the career decisions of culinary major students.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22(5), 702-711. 

  22. Kang, J. H. (2009). A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 of learning effects depending on cooking practical education methods (Doctori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23. Kay, C., & Russette, J. (2000). Hospitality management competencies. The Cornell Hotel &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41(2), 52-63. 

  24. Kim, D. H. (2003). A study of the importance of the place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sity. 

  25. Kim, H. J. (2007). Analysis on core competency of food service industry workers (Doctori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26. Kim, J. M. (2001). Developing a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y for developing the human resources of an enterpris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20(2), 109-128. 

  27. Kim, K. Y., & Kim, K. B. (2001). A study the logic relation subject actual training thread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the satisfaction to sleep regarding as evaluation. Kyunggi Tourism & Research, 5, 1-40. 

  28. Kim, M. S., Byun, J. W., & Park, S. J. (2005). A study on competencies that hotel industry demands for hotel new comers.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14(4), 20-35. 

  29. Kim, O. R. (2003). A study on satisfaction of foodservice & culinary students by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sity. 

  30. Kim, S. H. (2006).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workplace key competence in tourism and culinary system students (Doctorial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31. Kim, T. H., & Kim, W. M. (2005). A study on the learning model for efficient culinary practice.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1(1), 1-17. 

  32. Kim, T. H., & Na, J. K. (2008). The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model for teaching-learning in culinary practical education.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4(4), 14-26. 

  33. Kim, T. H., & Kim, T. H. (201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quality attributes and culinary education cased on the Kano model.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9(5), 170-183. 

  34. Kim, Y. M., Kim, S. S., & Seo, J. M. (2009). A study of identifying hotel employees'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t competencies requires according to hotel divisions. Korean Hospitality & Tourism Academe, 18(1), 17-38. 

  35. Kimpo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kimpo.ac.kr 

  36. Korea Tourism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ktc.ac.kr 

  37. Kyungmi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kyungmin.ac.kr 

  38. Le Cordon Bleu (2014). Retrieved from http://www.cordonbleu.com 

  39. Lee, J. H. (2012).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participation regarding the impa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 satisfaction.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8(1), 246-258. 

  40. Lee, M. G. (2006). Principles of vocational education. Seoul, Korea: Gyoyukgwahaksa Publishing. 

  41. Lee, Y. B. (2003).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to improve job competence in department of culinary arts.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6(2), 143-164. 

  42. Lucia, A. D. & Lesp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USA: Jossey-Bass Pfeiffer Publishing. 

  43.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44.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 Development, August, 73-77. 

  45. Na, J. K. (1997). A study on the problems concerning the training for cooks at higher education.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6(1), 5-35. 

  46. Na, K. H. (2005). A study o satisfaction of curriculum in foodservice and culinary manageme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sity. 

  47. Na, Y. S., Jeng, J. H., & Lee, J. H. (1999).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culinary department of college.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5(2), 31-56. 

  48.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2014). Retrieved from http://www.ncs.go.kr 

  49. Oh, S. T. (2000). Outsourcing strategy in Hotel culinary function.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6(1), 275-290. 

  50. Osa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osan.ac.kr 

  51. Park, H. J. (2006). Analysis on core competency of foodservice industry worker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52. Park, J. J. (1998). A study on curriculum of hotel cuisine department. Daegu Mirae College, 30(3), 357-100. 

  53. Park, S. M. (2011).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as an element of vocational abilit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0(3), 327-351. 

  54. Seojeong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seojeong.ac.kr 

  55. Shin Ansa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sau.ac.kr 

  56. Sparrow P. (1996). Linking competencies to pay: too good true? People Management, 2(23), 1-6. 

  57.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USA: John Wiley Publishing. 

  58. Suwon Science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ssc.ac.kr 

  59. Suwon Women's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swc.ac.kr 

  60. Tas, R. F. (1988). Teaching future manager.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29(2), 41-43. 

  61. Tongwon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tw.ac.kr 

  62. Tsujicho (2014). Retrieved from http://www.tsujicho.com 

  63. Won, J. D. (1994). A study on industry and school cooperation in cuisine department of the tourist hotel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64. Woosong College (2014). Retrieved from http://www.wsi.ac.kr 

  65. Yeonsung University (2014). Retrieved from http://www.yeonsung.ac.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