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가 보강된 인스턴트커피의 품질 특성과 기호도에 미세분쇄 원두커피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ground Coffe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Instant Coffee supplemented with Probiotic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4 no.1 = no.92, 2018년, pp.140 - 150  

임상호 (남양유업(주) 중앙연구소) ,  한성희 (고려대학교 BK21Plus 보건과학사업단) ,  고봉수 (남양유업(주) 중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ffects of microground coffe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instant coffee with probiotics were investigat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with two factors (roasting degree and dose of microground coffee) was used and ranges of roasting degree and dose were 30~5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 Furfural 함량은 중간 로스팅 정도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으나, Lee 등(2013)의 연구에서는 로스팅이 강할수록 함량이 낮아 본 실험과 불일치하였다. 그러나, Furfural은 최적조건으로 선정된 로스팅 정도(L 30)에서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여 미세분쇄원두커피를 혼합하여 인스턴트에서 부족한 향미를 보강하려는 본 실험의 목적과 부합하였다
  • 미세분쇄 원두커피와 Bacillus coagulans 유산생성균이 함유된 인스턴트원두커피의 로스팅 정도 및 혼합비율 최적화는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아로마의 선호도 및 유의성이 인정된 3개 주요 향미성분(2,5-dimethyl-pyrazine, ethylpyrazine, furfural)을 최대(maximum)로 하는 최적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최근에는 커피의 대중성을 활용하여 인스턴트 커피를 기능성 소재인 Probiotics를 전달하는 운반체로 사용하기도 하였다(Ko, Lim, & Han, 2016).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들어있는 인스턴트 커피에 미세분쇄원두커피를 혼합하여 인스턴트 커피의 향기가 보강되는 것을 관능평가와 향기성분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커피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적 특성인 기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세분쇄 원두커피의 최적 로스팅 정도와 혼합 함량을 결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첨가된 인스턴트 커피의 품질특성과 기호도에 미치는 미세분쇄 원두커피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세분쇄 원두커피의 로스팅 정도와 혼합비율을 독립변수로 한 중심합성계획법을 사용되었고, 실험 구간은 각각 30~50(L값), 5~10%이었다.
  • 로스팅 정도가 높을수록 원두커피의 향을 많이 느꼈다는 결과로 볼 때 (Lee, Kim, Kim, Lee, & Yeum, 2013), 본 실험에서 aroma 선호도가 높아진 이유는 미세분쇄 원두커피의 로스팅 정도와 혼합비율의 증가에 따라 향 강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미세분쇄 원두커피의 로스팅 정도와 혼합비율을 증가시켜 인스턴트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키려는 본 실험 목적과 부합하였다
  • 관능특성으로는 아로마 선호도, 단맛 강도, 쓴맛 강도, 신맛 강도, 바디 강도, 전반적 선호도가 평가되었고, 모든 항목에서 2차식 모델의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아로마 선호도와 전반적 선호도의 경우, 미세분쇄 원두커피의 로스팅 정도와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aroma 선호도와 전반적인 선호도가 증가하였고, 이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첨가된 인스턴트 커피에 미세분쇄 원두커피를 혼합하여 인스턴트 커피의 향기와 전반적 선호도를 증가시키려는 실험의 목적과 부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미(flavor)는 무엇인가? 향미(flavor)는 향기(aroma), 맛(taste), 조직감(texture)과 촉각(mouthfeel)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감각이다(Taylor & Roozen, 1996). 이중에서 향기는 커피 향미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인스턴트 커피의 제조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인스턴트 커피는 로스팅 후에 분쇄, 추출, 농축 및 건조되는데(Mussatto, Machado, Martins, & Teixeira, 2011), 인스턴트 커피 가공 공정 중 로스팅 시 생성된 향들이 종종 분해되거나 없어진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커피산업에서는 SCC(Spinning cone column) 등의 향 회수공정을 주요 수단으로 하여 부족한 향을 보강하고 있으나(Schuchmann, 2007), 원두커피의 향을 따라잡지는 못하고 있다.
커피 향기성분 중 가장 풍부한 것 2가지는 무엇인가? 현재까지 커피에서 수백 개 이상의 향기성분들이 밝혀졌으며(Petisca, Pérez-Palacios, Farah, Pinho, & Ferreira, 2013), 이 커피 향기성분들은 탄화수소,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카르복실산, 에스터, 피라진, 피롤, 피리딘, 기타 염기, 함 함유 화합물, 퓨란, 퓨라논, 페놀, 옥사졸 등으로 분류되었다. 양적으로는 퓨란과 피라진이 가장 많으나, 질적으로는 황함유 화합물과 피라진을 커피의 향미에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보았다(Nijssen, Visscher, Maarse, Willemsens, & Boelens, 1996). 이렇듯이 실제로는 적은 수의 향기성분들이 커피의 향미와 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고(Buffo & Cardelli-Freire, 2004), 원두커피에 대해서는 오직 20~30개의 개별 향기성분들이 커피의 향기를 규정한다고 보고되었다(Mayer & Grosch, 2001; Sanz, Maeztu, Zapelena, Bello, & Cid,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urdock, G. A. (2016). Fenaroli's handbook of flavor ingredients. Boca Raton, FL, US: CRC Press. 

  2. Buffo, R. A., & Cardelli-Freire, C. (2004). Coffee flavour: An overview. Flavour & Fragrance Journal, 19(2), 99-104. 

  3. Gorbach, S. L. (2002). Probiotics in the third millennium. Digestive and Liver Disease, 34, S2-S7. 

  4. Lee, M. J., Kim, S. E., Kim, J. H., Lee, S. W., & Yeum, D. M. (2013).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Nutrition, 42(2), 255-261. 

  5. Ko, B. S., Lim, S. H., & Han, S. H. (2017). Optimization of coffee extract condition for the manufacture of instant coffee by RSM. Korean Journal of Food Nutrition, 30(2), 319-325. 

  6. Ko, B. S., Lim, S. H., & Han, S. H. (2016).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uitable for manufacture of freeze-dried coffee. Korean Journal of Food Nutrition, 29(6), 1023-1029. 

  7. Euromonitor International. (2015). Micro-ground instant coffee takes off. Available from http://blog.euromonitor.com/2015/09/premium-instant-coffee-takes-share-in-uk-reflecting-strong-potential-in-tea-drinking-markets.html [cited 15 August 2017]. 

  8. Kim, K. J. (2001). Studies on the changes in chemical constitu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coffee beans during roasting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9. Kumazawa, K., & Masuda, H. (2003). Identification of odoractive 3-mercapto-3-methylbutyl acetate in volatile fraction of roasted coffee brew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51(10), 3079-3082. 

  10. Lee, D. H., Jeong, I. J., & Kim, K. J. (2013). Methods and applications of dual response surface optimiz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9(5), 342-350. 

  11. Lee, M. J., Kim, S. E., Kim, J. H., Lee, S. W., & Yeum, D. M. (2013).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Nutrition, 42(2), 255-261. 

  12. Li, J., Ma, C., Ma, Y., Li, Y., Zhou, W., & Xu, P. (2007). Medium optimization by combin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desirability function: An application in glutamine production. Applied Microbiology & Biotechnology, 74(3), 563-571. 

  13. Lee, S. Y., Hwang, I. K., Park, M. H., & Seo, H. S. (2007).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luted espresso (Americano) in relation to dilution rates.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23(6), 839-847. 

  14. Masuda, H., & Mihara, S. (1988). Olfactive properties of alkylpyrazines and 3-substituted 2-alkylpyrazines.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36(3), 584-587. 

  15. Mayer, F., & Grosch, W. (2001). Aroma simulation on the basis of the odourant composition of roasted coffee headspace. Flavour & Fragrance Journal, 16(3), 180-190. 

  16. Mussatto, S. I., Machado, E. M., Martins, S., & Teixeira, J. A. (2011). Production,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coffee and its industrial residues. Food and Bioprocess Technology, 4(5), 661-672. 

  17. Nijssen, L. M., Visscher, C. A., Maarse, H., Willemsens, L. C., & Boelens, M. H. (1996). Volatile compounds in foo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entral Institute for Nutrition & Food Research. Zeist, The Netherlands: TNO. 

  18. Petisca, C., Perez-Palacios, T., Farah, A., Pinho, O., & Ferreira, I. M. (2013). Furans and other volatile compounds in ground roasted and espresso coffee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Effect of roasting speed. Food & Bioproducts Processing, 91(3), 233-241. 

  19. Ribeiro, J. S., Augusto, F., Salva, T. J. G., Thomaziello, R. A., & Ferreira, M. M. C. (2009). Prediction of sensory properties of Brazilian Arabica roasted coffees by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and partial least squares. Analytica Chimica Acta, 634(2), 172-179. 

  20. Rawson, N. E., & Li, X. (2004). The cellular basis of flavour perception: taste and aroma. Flavor Perception, pp. 57-85, Hoboken, NJ, US: Wiley-Blackwell. 

  21. Sanz, C., Maeztu, L., Zapelena, M. J., Bello, J., & Cid, C. (2002).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analysis of three blends of coffee: influence of different proportions of Arabica and Robusta and influence of roasting coffee with sugar.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 Agriculture, 82(8), 840-847. 

  22. Schuchmann, H. (2007). Product design for coffee based beverages. Product Design & Engineering, 2. 

  23. Seo, H. S. (2002).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ffee in relation to the roasting degre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4. Seo, H. S. (2006). Development of sensory and sensibility evaluations of coffee and analysis of coffee preference types with segmented coffee consumer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5. Sunarharum, W. B., Williams, D. J., & Smyth, H. E. (2014). Complexity of coffee flavor: A compositional and sensory perspectiv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62, 315-325. 

  26. Talbot, J. M. (1997). The struggle for control of a commodity chain: instant coffee from Latin America. Latin American Research Review, 32(2), 117-135. 

  27. Taylor, A. J., & Roozen, J. P. (1996). Volatile flavor release from foods during eating.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 Nutrition, 36(8), 765-7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