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C-HMS을 이용한 안성천 유역의 강우 유출 특성 분석
Analyis of stormwater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Anseongcun basin using HEC-HM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17 - 24  

황병기 (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양승빈 (상명대학교 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였던 안성천 하류 저지대의 홍수-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HEC-HMS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은 SCS-CN 방법으로 손실계산을, Clark의 단위도법으로 강우의 직접유출 변환을, 지수함수적 감소방법으로 기저유량을, Musingum 방벙으로 하도추적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모형에서 매개변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최적화 기법을 시행착오법과 병행하여 최적화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도달시간, 저류함수, 기저유량 관련 상수들이 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도달시간은 첨두유량 발생 시각에 영향을, 저류상수는 첨두 유량의 증감에 영향을 기저유량 감소비는 수문곡선 하강부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모형 보정을 거친 변수를 사용하여 2건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여 실측 자료와 비교를 하였으며, 유출체적, 첨두유량, 첨두시각을 포함한 중요 수문현상에 대하여 상당히 정확하게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입안자가 홍수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EC-HMS model was applied to identify the rainfall-runoff processes for the Anseongchun basin,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tream has been damaged severely by tropical storms in the past. Modeling processes include incorporating with the SCS-CN model for loss, Clark's UH model for transform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안성천 유역의 수문환경변화에 따른 홍수 유출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HEC-HMS의 유출체적, 첨두유량 및 첨두 발생시각, 도달시간 등에 관한 모의 능력을 평가하고, 최적화기법을 활용하여 유역에 적합한 최적의 매개변수를 구하고,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각 매개변수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강우유출 사상에 대한 수문현상 모의의 적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또한, 유역에서 실제 관측한 수문사상과 모형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산출한 수문사상과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안성천 중상류 지역 하천 특성에 가장 적절한 유출 모의 방법을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안성천 유역의 수문환경변화에 따른 홍수 유출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HEC-HMS의 유출체적, 첨두유량 및 첨두 발생시각, 도달시간 등에 관한 모의 능력을 평가하고, 최적화기법을 활용하여 유역에 적합한 최적의 매개변수를 구하고,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각 매개변수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강우유출 사상에 대한 수문현상 모의의 적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또한, 유역에서 실제 관측한 수문사상과 모형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산출한 수문사상과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안성천 중상류 지역 하천 특성에 가장 적절한 유출 모의 방법을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문환경변화에 따른 홍수 유출 변동을 분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 최근 국지 성 호우가 빈번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침수 피해 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으나, 도시화와 개발사업의 증가 로 인해 유역의 유출환경이 좋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도시화는 불투수면적의 증대, 표면조도 계수의 감소 등과 같은 수문현상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동일 강우에도 첨두 유량과 유출 용적이 증가되어 유출수문곡선의 변화로 저지대 및 하류지역에는 도시형의 재해를 초래하기도 한다[1-2].
홍수 유출 모의에 사용되는 모형은 무엇인가? 홍수 유출 모의에 사용되는 모형은 SWAT, HEC-HMS, SWMM 등이 있다. SWAT 모형은 일단위 유출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유출 모의에는 적합하나[1], 재해적인 측면에서 도시화가 홍수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분 단위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SWAT 모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홍수 유출 모의에 사용되는 모형은 SWAT, HEC-HMS, SWMM 등이 있다. SWAT 모형은 일단위 유출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유출 모의에는 적합하나[1], 재해적인 측면에서 도시화가 홍수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분 단위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SWMM 모형은 단일사상에 대한 강우-유출 및 수질 모의를 할 수 있는 모형으로 개발되어[4], 최근 연속형 수문 및 수질모의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나[5], 수질 모의가 우선으 로 개발된 모형으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다양한 시간 및 공간적 분포의 수문 환경에 대응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C. Yang, S. K. Yang, J. H. Lee, W.Y. Jung, K.H. Ko, "Flood Discharge Analysis on Land Use Changes in Han Stream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24, no. 4, pp. 425-435, 2015. DOI: https://doi.org/10.5322/JESI.2015.24.4.425 

  2. J. H. Choi, J. J. Lee, H. H. Kwon, "An Analysis of Runoff Variation due to Urbanization in Cho-Kyung Stream Watershed", Korean Wetland Society, vol. 11, no. 3, pp. 161-169, 2009. 

  3. Ministry of Land and Maritime Affairs, "Comprehensive Flood Damage Mitigation Measures and Stream Valleys of Master Plan for Anseongchun Basin", Water, vol. 7, pp. 5155-5172, 2005. 

  4. Huber, W. C. and R. E. Dickinson,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Ver. IV", U.S. EPA, Cincinnati, OH, 1988. 

  5. L. A. Rossman,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Version 5.0", U.S. EPA, 2010. 

  6. US Army Corps of Engineers(USACE), "HEC1 Flood Hydrograph Package User's Manual", Davis, CA, 1998. 

  7. US Army Corps of Engineers(USACE),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User's Manual (version 4.1)", Davis, CA, 2015. 

  8. W. U. Jung, S. K. Yang, D. S, Kim, "Flood Discharge to Decision of Parameters in Han Strea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23, no. 4, pp. 533-541, 2014. DOI: http://doi.org/10.5322/JESI.2014.4.533 

  9. S. J. Jin, C. H. Ham, K. H. Cho, G. S. Kim, "An Application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HEC-HMS Model", 38th Convention and Civil Expo,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525-528, 2012. 

  10. J. H. Lim, B. H. Lee, B. S. Kim, "Analysis of Flood Runoff Characteristics in the Youngdong Region Using HEC-HMS Hydrologic Model", 38th Convention and Civil Expo,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718-721, 2012. 

  11. D. A. Zema, "Comparing Different Infiltration Methods of the HEC-HMS Model : The Case Study of The Mesima Torrent (Southern Italy)", Land Degradation and Development, vol. 28, pp. 294-308, 2017. DOI: https://doi.org/10.1002/ldr.2591 

  12. E. Abushandi, B. Merkel, "Modeling Rainfall Runoff Relationships Using HEC-HMS for a Single Rain Event in an Arid Region of Jordan",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7, pp. 2391-2409, 2013. DOI: https://doi.org/10.1007/s11269-013-0293-4 

  13. H. Jin, R. Liang, P. Tumura, "Flood Runoff in Semi-arid and Sub-humid Regions, A case Study: A Simulation of Jianghe Watershed in Nothern China", Water, vol. 7, pp. 5155-5172, 2015. DOI: https://doi.org/10.3390/w7095155 

  14. Halwatura. D, Najim. M. M. M, "Application of the HEC-HMS model for runoff simulation in a tropical catchment", Environmental Modeling and Software, vol. 46, pp. 155-162, 2013. DOI: https://doi.org/10.1016/j.envsoft.2013.03.006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2012. 

  16. US Army Corps of Engineers(USACE),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Application's Guide",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Davis, CA, 2015. 

  17.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GIS)", 2012. 

  18.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Soil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2010. 

  1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Design Flood Estimation Tips", 2012. 

  20. J. Peters,, "Flood Plain Hydrology Program HEC-1 on IBM Compatible Personal Computers: Lec. 6: Unit Hydrograph Development Course", UC Davis, CA, 1993. 

  21. US Army Corps of Engineers(USACE),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Technical Reference Manual )", Davis, CA,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