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루미놀 기반 혈흔 탐지 시약이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novel luminol-based blood detection reagents on DNA stability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1 no.2, 2018년, pp.71 - 77  

정주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 ,  오유리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 ,  이지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 ,  임승 (경남지방경찰청 형사과 과학수사계) ,  김정목 (경남지방경찰청 형사과 과학수사계) ,  이양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광주과학수사연구소) ,  임시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혈흔의 탐색은 과학수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혈흔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을 때 흔히 루미놀이 사용된다. 최근, 루미놀을 기반으로 새로운 혈흔 탐지 시약 제조법이 개발되었고, 기존의 블루스타 제품보다 높은 활성 지속력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고된 새로운 혈흔 탐지 시약 제조법 두 가지를 선별(이하 블러드플레어A, B)하여 특이성과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기존의 블루스타와 비교하였다. 블러드플레어A, B는 혈흔 외 다른 인체분비물에서 위양성 반응이 없었으나, 채소, 구리황산염, 철황산염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함유된 표백제에 대하여 위양성 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블루스타와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추출 과정, 반응 시간에 의한 디엔에이 분해, 디엔에이 프로필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고, 블러드플레어는 비교적 디엔에이에 안정적이며, 법과학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ection of bloodstains is a very important process in scientific investigations, and luminol is often used for the detection of bloodstains that are not visible. Recently, new preparation methods of blood detection reagents based on luminol (BloodFlareA, B) were developed and reported to have h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혈흔 탐지 시약은 사건현장이나 증거물에 직접 닿아 반응하므로 검사 시약이 혈흔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야 한다.10 그리하여 블러드플레어에 포함된 화학적 물질이 혈흔 디엔에이 추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 채취 후 보존 기간 동안 혈흔 디엔에이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최종적으로 STR 증폭을 통해 디엔에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5 최근, 블루스타보다 활성 지속력이 우수한 새로운 루미놀 시약의 제조법을 보고하였는데,6 본 제조법의 법과학적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특이성(specificity) 및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보고된 루미놀 기반 혈흔 탐지 시약 제조 방법 중 두 가지 조성을 선별(이하 블러드플레어A, 블러드플레어B) 하여 시약의 특이성과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법과학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고, 이를 블루스타와 함께 비교하였다. 루미놀은 혈흔 뿐 아니라 화학적 산화제 등 루미놀을 산화시킬 수 있는 물질들과 반응하므로 다양한 물질들과의 위양성 반응 여부를 관찰하는 특이성 시험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루미놀은 언제 사용되는가? 혈흔의 탐색은 과학수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혈흔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을 때 흔히 루미놀이 사용된다. 최근, 루미놀을 기반으로 새로운 혈흔 탐지 시약 제조법이 개발되었고, 기존의 블루스타 제품보다 높은 활성 지속력이 보고되었다.
루미놀이 존재하기 전 혈흔 탐색의 한계는 무엇인가? 살인, 강도 등 강력 사건에서 혈흔의 탐색은 수사 방향의 결정과 사건 해결에 중요하다. 1 사건현장, 증거물 등의 바탕색이 혈흔과 유사하거나, 적은 양의 혈흔이 묻어 있는 경우, 특히 범인이 증거물의 혈흔 부위를 세척 및 훼손하여 제거하고자 하였다면 육안으로혈흔을 탐색하는 데 한계가 있다. 1928년에 루미놀(Luminol)이 과산화수소의 존재 하에 혈흔과 반응하면 발광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육안으로 탐색이 어려운 혈흔을 찾는데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블러드플레어A, B 는 무엇에 위양성 반응을 일으키는가? 본 연구에서는 보고된 새로운 혈흔 탐지 시약 제조법 두 가지를 선별(이하 블러드플레어A, B)하여 특이성과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기존의 블루스타와 비교하였다. 블러드플레어A, B는 혈흔 외 다른 인체분비물에서 위양성 반응이 없었으나, 채소, 구리황산염, 철황산염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함유된 표백제에 대하여 위양성 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블루스타와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디엔에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추출 과정, 반응 시간에 의한 디엔에이 분해, 디엔에이 프로필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고, 블러드플레어는 비교적 디엔에이에 안정적이며, 법과학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Y.-L Oh, J. Y, Jung, Y.-J. Kim, D.-H. Kim, and K. Lee, J. Sci. Crim. Investig., 11(1), 1-7 (2017). 

  2. Luminol, https://en.wikipedia.org/wiki/Luminol, Assessed 24 February 2018. 

  3. F. Barni, S. W. Lewis, A. Berti, G. M. Miskelly, and G. Lago, Talanta, 72(3), 896-913 (2007). 

  4. M. Grodsky, K. Wright, and P. L. Kirk, J. Crim. Law Criminol., 42, 94-104 (1951). 

  5. Bluestar forensic, https://www.bluestar-forensic.com/gb/blustar-chemistry.php, Assessed 5 January 2018. 

  6. S. Lim, J.-M. Kim, J. Y. Jung, and S.-K. Lim, Anal. Sci. Technol., 31(1), 47-56 (2018). 

  7. T. I. Quickenden and P. D. Cooper, Luminescence, 16, 251-253 (2001). 

  8. S. S. Tobe, N. Watson and N. N. Daeid, J. Forensic Sci. 52(1), 102-109 (2007). 

  9. N. Muftugil, J. Sci. Food Agric., 36, 877-880 (1985). 

  10. A. M. Gross, K. A. Harris, and G. L. Kaldun, J Forensic Sci., 44(4), 837-840 (1999). 

  11. S. Laus, L. A. Kingsley, M. Green, and R. M. Wadowsky, J. Mol. Diagn., 13(6), 695-700 (2011). 

  12. $Quantifiler^{TM}$ HP and Trio DNA Quantification Kits USER GUIDE, https://tools.thermofisher.com/content/ sfs/manuals/4485354.pdf, Assessed 13 December 2016. 

  13. J. Y. Jung, S. H. Park, S. W. Park, M. H. Park, J. W. Choi, and D. S. Lee, J. Sci. Crim. Investig., 9(3), 206-212 (2015). 

  14. O. Hansson, T. Egeland, and P. Gill, Int. J. Legal Med., 131(2) 303-31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