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시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of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apabi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Fusion Ag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2, 2018년, pp.45 - 50  

김정열 (총신대학교 중독재활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강화와 조직효과성 향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개발역량의 태도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지식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가치와 기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와 지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태도와 기술은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태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인 가치, 태도, 기술, 지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할 경우, 직무만족이 낮아지거나 이직하고자 하는 의도정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 아직까지 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조직의 환경이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135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hasize the enhancement of resource development capac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t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를 어떠한지,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여 사회복지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과 조직효과성 간의 상관관계가 어떠한 지를 조사하고,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cClleland가 정의한 개인역량은 무엇인가? 개인역량은 학자들의 견해에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국외학자의 경우, McClleland는 개인역량을 조직구성원이 각자의 직무에 부여하는 가치, 태도, 기술, 지식의 집합체로 정의하였고[6], Spencer와 Spencer는 동기부여, 개인의 특성, 기술, 자아개념, 지식의 5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7]. 국내학자의 경우, 개인역량은 조직구성원이 각자의 업무에 부여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를 의미한다[8].
조직효과성의 정의를 내리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조직이 정한 목표의 달성을 조직효과성이라 본다. 그러나 다양화된 현대사회는 다양한 조직이 있고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들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일관되게 조직효과성의 정의는 내리기 어렵고 또한 학자들의 견해가 다양해서 조직효과성에 대해 합의된 견해가 없기 때문이다. 초기 조직효과성은 조직목표의 달성으로 이해되었으나 근래에는 자원 확보능력과 인적·물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이를 통해 얻어진 성과로 보기도 한다[13,14].
사회복지조직 관리에서 누구나가 인정하는 개인역량이 개발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복지조직이 지역주민들에 대한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복지조직의 성과를 달성한다는 것은 지방자치라는 제도적 목적을 달성하는 것과 사회복지정책의 목적 달성이 된다. 그리고 사회복지조직은 개인역량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주관적일 수 있으며, 인적서비스 자체가 수치화하기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어 사회복지사 간 개인역량에 대한 인식은 개인적 입장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 관리에서 사회복지사 누구나가 인정하는 개인역량이 제도적으로 개발·관리되어야 개인의 자원개발역량을 통한 조직효과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Y. Kim. (2016). Convergence Research of University Student Servant leadership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hnolog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65-170.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07615 

  2. J. Y. Kim. (2016). Convergence of the Image of the Professor in Human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Self Image: Mediating effect of voice imag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7(4), 229-234.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07622 DOI : 10.22156/cs4smb.2017.7.4.229 

  3. M. S. Park. (2018). In the Fusion Era of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8(1), 79-87.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23478 

  4. S. C. Jeong. (2013).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recognition on the organizational justice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artment of Regional and Welfare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5. R. M. Steers. (1977).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2(1), 46-56. DOI : 10.2307/2391745 

  6. D. C. McClleland.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 DOI : 10.1037/h0034092 

  7. L. M. Spencer & P. S. M. Spencer. (2008).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8. H. M. Lee. (2008). Competency Evaluation: Human Capital Capability Model Development and Competency Evaluation. Seoul: Lead Lead Publishing. 

  9. U. S. Park. (2002). Competency-Based HRM and Its Implication for the Korean Firms. Business Management Research, 8(1), 115-137. 

  10. Y. S. Song. (2000). Approaches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 management era and core competencies. Corporate education, 2(1), 76-79. 

  11. J. U. Lee. (2016).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y Scale for Social Worker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Daegu. 

  12. S. H. Oh, J. J. Sun & S. H. Jang. (2017).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Global Competences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3-26.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03816 DOI : 10.22156/cs4smb.2017.7.3.013 

  13. H. C. Kim.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Culture up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Infantry Battalion of the Army.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14. Y. C. Kim.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ystem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Iksan. 

  15. S. P. Robbins. (1990). Organization Theory: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 New York: Prentice-Hall.Inc. 

  16. J. D. Kang. (1995). Modern Business Organization. Seoul: Park Young-sa. 

  17. B. S. Kim, K. G. Park & K. H. Cho. (2000). Understand and manage your organization. Seoul: British History. 

  18. J. H. Choi. (2001).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Iteration of Leadership Styles with Employee's Value Syste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usan. 

  19. H. D. Lee.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eneral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 J. H. Kim.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the local governements in Gyeonggi-Provinc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Seoul. 

  21. G. N. Abbott. (2005). Linking valu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8(4), 531-551. DOI : 10.1348/096317905x26174 

  22. J. B. Lee & O. S. Cho. (2018).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Fusion·Integrated Generation of Youth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1), 281-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