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과위생사의 물질안전보건자료 인식도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and Safety of Handling Harmful Chemicals in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185 - 194  

김은경 (전남대학교 예방치학교실) ,  정경이 (호남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치과재료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의 인식도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 실태에 대해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 2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월까지 조사하였고, 23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치과재료에 대한 MSDS 인지 정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인지도가 높게 나왔으며(p<0.05),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p<0.001)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치과재료의 유해화학물질위해성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SDS인식도(p<0.001)이었고, 유해화학물질 노출 시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해위험성 교육을 받은 경험(p<0.00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들의 치과재료에 대한 MSDS 인식도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 실태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립과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dental materials and to understand the safety status of harmful chemical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5 for 250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e degre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일반적인 특성 8문항과 교육 관련 사항 2문항 그리고 치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료에 대한 MSDS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에 관한 인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김[15]의 연구를 참고하여 MSDS 관련 사항 5문항, 유해화학물질 노출 시 처리 관련 사항 3문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치과재료에 대한 MSDS 인식도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실태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치과재료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립과, 이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들의 치과재료에 대한 MSDS에 대한 인식과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실태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치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료에 대한 MSDS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에 관한 인지정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질안전보건자료란? MSDS라 함은 화학물질에 대하여 유해위험성, 응급조치요령, 취급방법 등 16가지 항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자료이다[7].
치과 인력이 가지는 피부염 중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 피부염의 두 가지 주요 형태는 접촉성 피부염과 아토피성 피부염이며 치과의사 사이의 피부병 유병율은 약 15%에서 33%까지 다양하다[1]. 이는 라텍스 글러브에 대한 알러지로 치과 인력의 피부염이 가장 빈번하게 보고 된 원인이다. 그리고 주요 치과재료인 복합레진과 임시치관제작에 사용하는 아크릴 레진과 본딩제, 의치상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PMMA 분말과 모노머 용액과 혼합되는 과정과 수복물을 배치하고 제거하는 동안 메타크릴레이트에 빈번하게 노출 될 수 있고, 보철물 및 교정물을 장착 할 때 사용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에도 노출될 위험이 있다[5].
치과구성원에게 노출된 직업으로 인한 건강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과 소진은 치과구성원들에게 직무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있다[2,3]. 이와 더불어 경피노출사고(PEI), 에어로졸에 의한 전염병, 방사선, 치과재료에 함유한 화학물질 노출, 소음, 접촉성 피부염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치과재료에 함유된 화학물질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간과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eter A. leggat et al. (2007.9.3).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in Modern Dentistry : A review , Industral healt, 45, 611-621. 

  2. M. H. Kang & S. J. Jang. (2017).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8), 95-103 

  3. M. S. Choi & D. H. Ji. (2015). The comparative study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media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27-34 

  4. Murray PE et al, (2007). A review of current status and a call for action. J. Endod, 33, 377-90, 

  5. Hagverg S et al, (2005). Exposure to volatile methacrylates in dental personnel. j. Occup Environ Hyg, 2, 302-06, 

  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otice No. 2013-37. 

  7. D. G. Jang. (2010). Glossary of terms. NAVER(Online). https://www.terms.naver.com 

  8. H. K. Kim. (2015). Hazard communication of dental materials for dental hygienists in daegu or gyeongsandbuk-do province area. Catholic University Ph.D. dissertation. Daegu. 

  9. Enforcement Rul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rticle 98 Clause 2. 

  10. Enforcement Rul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rticle 99 Clause 2. 

  11. S. CH. Shin. (2004). Facters affecting respiratory symptoms of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12. S. M. Hwang. (2016).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awareness and educa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of chemical substance handlers. Kyonggi University, Suwon. 

  13. O. H. Kwon. (2016).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of laboratory workers. Yonsei University. Suoul. 

  14. Kang, S. M. (2016).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for the health professionals , Dankook University, Chuan. 

  15. H. K. Kim. (2014). Assessment of work-related symptoms and occupational exposure to methyl methacrylate for dental hygieni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Ph.D. dissertation. Daegu. 

  16. S. J. Moon. (2014). Requlatory policies of toxic chemical substances in korea, 19(2), 249-259. 

  17. H. G. Joo. (2014).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Information for Safety of Chemical Substance Treatment and Accident Prevention,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tity Ph D. Seoul. 

  18. N. R. Oh & H. K. Kim. (2017).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in dental hygieni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215-223. 

  19. E. J. Bae. (2010) The management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in dental laboratories, Korean journal of dental technology, 32(3), 20-21, 

  20. A. T. Tiooberg, B.G . Jarvholm & A. D. Berglund. (2008). Risks with dental materials. Elsevier, 24, 940-943. 

  21. Adebola Fasunloro & Foluso John Owotade. (2004). Occupational Hazards Among Clinical Dental Stsff, The Journal of contemporary dental practice, 5(2), 1-10. 

  22. SNUS nusre. (2017). spill kit's Configuration.NAVER(Online). https://blog.naver.com/zzxxcvzzxxcv/30073562941 

  23. M. T. Polovich & S. S. Martin. (2011) Nurses'Use of Hazardous Drug-Handling Precautions and Awareness of National Safety Guilelines. Oncology Nufsing Society, 38(6), 718-726. DOI : 10.1188/11.ONE.718-726 

  24. T. S. Keegel, H. L. Saunders, A. T. Lamontagne & R. M. Nixon. (2007). Ar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useful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ccupational contact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57, 331-3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