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rague-Dawley Rats을 이용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26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4주 회복시험
A 26-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Test and a 4-Week Recovery Test of Cassia tora L. Water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6 no.2, 2018년, pp.157 - 169  

노종현 (한약진흥재단) ,  이무진 (한약진흥재단) ,  정호경 (한약진흥재단) ,  장지훈 (한약진흥재단) ,  심미옥 (한약진흥재단) ,  장민철 (해남자연영농조합법인) ,  용주현 (해남자연영농조합법인) ,  서형식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안병관 (한약진흥재단) ,  김종춘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독성학교실) ,  조현우 (한약진흥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assia tora L., an annual or perennial plant of the Fabaceae family, is traditional medicine with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onstipation and, anti-inflammation. Chemical compounds such as anthraquinone glycoside and naphthalene derivative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반입 시동물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전자저울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5 일간의 순화기간 중에 매일 1 회 사망, 야윔, 식욕부진, 거식, 섭취량 및 음수량, 배설상태를 포함한 일반증상을 관찰하였고, 순화기간 종료일에 체중을 측정하고 일반증상 및 체중 변화를 확인하여 동물의 건강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이상 동물은 CO2 가스 마취 하에서 안락사 시켰다.
  • 투여개시 전의 사료섭취량은 군 분리 일부터 투여 개시 일까지 1 일간의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7 일간의 섭취량을 측정하여 1 일의 평균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사육상자 별로 측정한 후 동물수당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 각 군당 5 마리에 대하여 다음의 장기에 대한 습중량을 측정하고, 절식체중에 대한 상대 장기 중량비를 산출하였다. 좌우가 있는 장기는 좌우를 합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 각 군당 5 마리에 대하여 부검 전 약 18 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부검일에 isoflurane으로 마취하여 배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 각 군당 5 마리에 대하여 투여 26 주 및 회복 4 주에 뇨검사를 실시하였다. 신선뇨 (배설 후 약 3 시간 이내의 뇨)를 수거하여, 아래 항목들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 고정한 장기 조직은 삭정, 탈수 및 파라핀 포매등의 일반적인 조직처리과정을 거쳐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박절한 후, H&E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 동물은 실험군 당 10 마리씩을 배치하여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정상대조군, 저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 (결명자 물 추출물, 300 ㎎/㎏), 중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 (결명자물추출물, 1,500 ㎎/㎏), 고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 (결명자 물추출물, 3,000 ㎎/㎏), 안트라퀴논군 (negative control,anthraquinone, 100 ㎎/㎏)으로 실험군을 분리하고 매일 오전에 경구투여용 존데를 부착한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26 주간 1 일 1 회 위 내에 경구 투여하였다.
  •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개시일 (투여전), 투여 개시 후 주1 회 부검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단, 부검일의 체중은 절식을 실시하였으므로, 체중평가에서 제외하였다.
  • 실험동물은 3 주령 수컷 SD (Sprague-Dawley) 랫드를 ㈜오리엔트바이오 (Seongnam,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반입 시동물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전자저울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5 일간의 순화기간 중에 매일 1 회 사망, 야윔, 식욕부진, 거식, 섭취량 및 음수량, 배설상태를 포함한 일반증상을 관찰하였고, 순화기간 종료일에 체중을 측정하고 일반증상 및 체중 변화를 확인하여 동물의 건강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이상 동물은 CO2 가스 마취 하에서 안락사 시켰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참고하여 모든 동물에 대해 1 일 1 회 야윔, 식욕부진, 거식, 섭취량 및 음수량, 배설상태를 포함한 일반증상을 관찰하고, 1 일 2회 빈사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시험군은 26 주간 관찰하고, 회복군은 30 주간 관찰하였다.
  • 부검시 군당 5 마리의 수컷에 대하여 정자검사를 실시하였다. 부검시 가능한 신속하게 좌, 우 부고환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우측 부고환은 조직병리학적 검사용으로 고정하였다.
  • 7 일간의 섭취량을 측정하여 1 일의 평균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사육상자 별로 측정한 후 동물수당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 사망 및 빈사동물, 모든 생존동물에 대해서 전신의 장기 조직에 대해 상세한 육안검사를 실시하였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참고하여 모든 동물에 대해 1 일 1 회 야윔, 식욕부진, 거식, 섭취량 및 음수량, 배설상태를 포함한 일반증상을 관찰하고, 1 일 2회 빈사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시험군은 26 주간 관찰하고, 회복군은 30 주간 관찰하였다.
  • 각 군당 5 마리에 대하여 투여 26 주 및 회복 4 주에 뇨검사를 실시하였다. 신선뇨 (배설 후 약 3 시간 이내의 뇨)를 수거하여, 아래 항목들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선뇨 채취 중에는 투여 및 사료급여를 실시하지 않고,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 안트라퀴논군 실험군은, 식품의약안전처의 독성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안트라퀴논은 랫드에게 100 ㎎/㎏/day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을 때 독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있어 (MFDS, 2009), 본 실험에서 100 ㎎/㎏/day 농도의 안트라퀴논을 섭취시키도록 하였다.
  • 온도 20 ± 2℃, 습도 55 ± 5%, 12 시간 명암조건 및 조도150 - 300 Lux로 설정한 뒤 사육하고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인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 (2918C, Harlan Laboratories Inc., Indianapolis, IN, USA)와 장흥군 수돗물을 필터유수살균기로 여과 후 자외선을 조사하고 자유섭취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결명자 물 추출물의 안전성평가 일환으로 26 주 반복 경구투여시 나타날 수 있는 독성의 질적, 양적인 평가를 위해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관리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 2014-136호)”에 따라 26 주 동안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4 주 회복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결명자에 대한 일반 독성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한계용량인 1,000 ㎎/㎏ 농도 (Han et al., 2013) 및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velopment (OECD)의 급성독성 시험 허용량인 2,000 ㎎/㎏의 농도 (OECD, 2001)를 포함하여 실험 농도를 설정하고 결명자 (Cassia tora L.)를 300, 1,500 및 3,000 ㎎/㎏/day의 농도로 26 주 반복경구투여 독성시험, 4 주 회복시험을 실시하였다.
  • 동물은 실험군 당 10 마리씩을 배치하여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정상대조군, 저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 (결명자 물 추출물, 300 ㎎/㎏), 중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 (결명자물추출물, 1,500 ㎎/㎏), 고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 (결명자 물추출물, 3,000 ㎎/㎏), 안트라퀴논군 (negative control,anthraquinone, 100 ㎎/㎏)으로 실험군을 분리하고 매일 오전에 경구투여용 존데를 부착한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26 주간 1 일 1 회 위 내에 경구 투여하였다.
  • 좌측 부고환은 미부를 정체하여 1% bovine serum albumin(BSA)가 포함된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7.4 (DPBS)에 넣어 약 10 분간 배양한 후, 적절한 정자농도로 희석하여 마이크로피펫으로 취해 슬라이드에 도말한 후 Diff-Quick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 4 (DPBS)에 넣어 약 10 분간 배양한 후, 적절한 정자농도로 희석하여 마이크로피펫으로 취해 슬라이드에 도말한 후 Diff-Quick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총 200 개의 정자 중 기형정자수를 계수하여 정자기형률을 산출하였다.
  • 혈액생화학분석기인 FUJI DRI-CHEM 4000i (Fujifilm,Dokyo, Japan)과 전해질분석기 EasyLyte (Medica Co.,Bedford, MA, USA)를 이용하여 alanine aminotrasferase (ALT),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kaline phosphatase (ALP),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 (Crea), total bilirubin (T-Bili), total protein (TP), chloride (Cl), sodium (Na)과 potassium (K)을 측정하였다.
  • 혈액학적 검사는 채취한 혈액 약 1 ㎖을 BD Vacutainer™ glass blood collection tube with K3 EDT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에 넣은 후, IDEXX ProCyte DX hematology analyzer (IDEXX Laboratories Inc.,Westbrook, ME, USA)를 이용하여 적혈구수 (erythrocyte count, RBC), 혈색소량 (hemoglobin, HGB), 헤마토크리트치(hematocrit, HCT), 평균적혈구용적 (mean corpuscular volume, MCV),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량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농도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혈소판수(platelet, PLT), 백혈구수 (leucocyte count, WBC), 백혈구백분율 (WBC differential counting)과 망상적혈구 (reticulocytes,Reti)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부검시 군당 5 마리의 수컷에 대하여 정자검사를 실시하였다. 부검시 가능한 신속하게 좌, 우 부고환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우측 부고환은 조직병리학적 검사용으로 고정하였다.
  • 실험동물은 3 주령 수컷 SD (Sprague-Dawley) 랫드를 ㈜오리엔트바이오 (Seongnam,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반입 시동물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전자저울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결명자 (Cassia tora L.)는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채취한 것으로 대림약초 (Jecheon, Korea)에서 구입한뒤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정종길교수님의 식물학적 동정을 거쳐서 사용하였고 시료의 확증표본은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에 보관하고 있다.

데이터처리

  • 모든 통계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분산의 동질성 및 시험군간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 사후검정으로 Scheffe 다중검정 (유의수준: 양측 5% 및 1%)을 실시하였고 분산이 이질적이며 시험군간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 사후검정으로 Dunnett’s T3 다중검사 (유의수준: 양측 5% 및 1%)를 실시하였다.
  • 실험에서 얻어진 체중, 사료섭취량, 뇨량,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장기중량 결과는 분산의 동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Levene’s 검사를 실시한 후, 일원변량분석 (One-wayANOVA) 검사를 하여 유의성 (유의수준: 5%)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명자는 무엇인가? 결명자 (Cassia tora L.)는 콩과 (Leguminosae)에 속하는 초본식물이며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흔히 분포되어 있는 식물이다 (Parson andCuthbertson, 1992).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결명자 (決 子,Cassiae semen)는 결명과 초결명 (Cassia obtusifolia L.
결명자는 어떤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가? 결명자는 anthraquinone 계열 화합물인 emodin과 alaternin,cassiaside, rubrofusarin 같은 여러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oi et al., 1994, 1996, 1997).
논문에 따르면 결명자 물 추출물이 쥐를 대상으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할 수 있는 근거는? 대조군 및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사망동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일반증상, 체중, 사료섭취량, 뇨 검사, 장기 중량, 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독성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정자검사에서도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yodele AAE, Abacha FZ, Yahaya T, Arfo SB, Musa HI and Kevin IN. (2015). Acute toxicity and some elemental assessment of Senna tora Linn thylakoids in natural population of northeastern nig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2:375-381. 

  2. Choi JS, Jung JH, Lee HJ and Kang SS. (1996). The NMR assignments of anthraquinones from Cassia tor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9:302-306. 

  3. Choi JS, Lee HJ and Kang SS. (1994). Alatemin, cassiaside and rubrofusarin gentiobioside, radical scavenging principles from the seeds of Cassia tora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7:462-466. 

  4. Choi JS, Lee HJ, Park KY, Ha JO and Kang SS. (1997). In vitro antimutagenic effects of anthraquinone aglycones and naphthopyrone glycosides from Cassia tora. Planta Medica. 63:11-14. 

  5. Cholendra A, Vijayaraghavan R, Babu Y, Mohan SK, Rao SD, Dorababu K and Reddy KK. (2014). Acute toxicity studies of Cassia tora leaf powder.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4:176-181. 

  6. Dodd DE, Layko DK, Cantwell KE, Willson GA and Thomas RS. (2013). Subchronic toxicity evaluation of anthraquinone in fischer 344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32:358-367. 

  7. Essa'a VJ and Medoua GN. (2013). Subchronic toxicity of the beverage made from Cassia occidentalis seeds in m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s. 2:237-242. 

  8. Han HY, Kim SN, Yang YS, Han SC, Seok JH, Roh HS, Lee JK, Jeong JY, Jeong YW, Kim JA and Min BS. (2015). Toxicity assessment of Polygalae radix aqueous extract orally administered to rats for 2 consecutive week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6:44-51. 

  9. Han SR, Han HY, Park HJ, Min BS, Chung MK, Moon KS, Jeong JY, Roh HS, Seok JH and Kim SK. (2013). Toxicity assessment of Cyperi rhizoma aqueous extract orally administered to rats for 13 consecutive weeks. Yakhak Hoeji. 57:258-264. 

  10. Han TW, Um MY, Lim YH, Kim JK and Kim IH. (2016). Single- and repeated-dose oral toxicity in rats and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of Morus alba L.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5:1406-1413. 

  11. Hardman JG and Limbrid LE. (1995).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 McGrawhill. New York. NY, USA. p.1546. 

  12. Hong KH, Choi WH, Ahn J, Jung CH and Ha TY.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and dietary fiber from Cassia tora L. seed.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5:612-619. 

  13. Kim DH, Kim S, Jung WY, Park SJ, Park DH, Kim JM, Cheong JH and Ryu JH. (2009).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seeds of Cassia obtusifolia on transient cerebral global ischemia in mice.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7:1473-1479. 

  14. Kim DH, Yoon BH, Kim YW, Lee S, Shin BY, Jung JW, Kim HJ, Lee YS, Choi JS, Kim SY, Lee KT and Ryu JH. (2007). The seed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ameliorates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or transient cerebral hypoperfusion in mice.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39:241-245. 

  15. Kim MS, Lim SJ, Lee HJ and Nho CW. (2015). Cassia tora seed extract and its active compound aurantio-obtusin inhibit allergic responses in IgE-mediated mast cells and anaphylactic model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3:9037-9046. 

  16. Kim SH, Choi EJ, Kim DH, Lee KY, Lee M, Baek SW, Kwack SJ, Kang TS, Kim YC and Sung SH. (2008). Stability test of the extracts of Cimicifugae rhizoma, Achyranthis radix, Artemisia capillaris Herba, Moutan cortex Radicis and Arecae semen for toxicity study.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9:241-245. 

  17. Kim YH, Kim JY, Han JM, Lee HY, Jung IC, Jin MR, Kim SH and Park YC. (2014). A thirteen 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test and a four week recovery test of GST in sprague dawley rats.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35:223-243. 

  18. Liu SM, Sun C and Xie WH. (2009). Effect of semen Cassiae extracts on expression of lipogenesis genes in hyperlipidemia model mice. Chiness Traditional and Herbal Drugs. 40:583-587. 

  19. Luo X, Xu X, Huang C, Wu X, Liu J, Lan B and Xu J. (2011). Experiment study of total anthraquinone in Cassiae semen on lipid peroxidation and PPAR-gamma expression in liver tissues of rats with alcoholic fatty liver. China Journal of Chiness Materia Medica. 36:1654-1659.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09). Tox-info. anthraquino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p.7. 

  21. Nadai SR, Calore EE, Manzione CR, Puga FR and Perez NM. (2003). Effect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Senna occidentalis seeds in the large bowel of rats. Pathology-Research and Practice. 199:733-737. 

  22.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NIFDSE). (2012). Manual of toxicity study standard to drugs.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Cheongju, Korea. p.10. 

  23. Nho JH, Jung HK, Lee MJ, Jang JH, Sim MO, Jung JK, Lee KH, An BK, Cho JH, Jang MC, Yong JH and Cho HW. (2016). Effect of roasted water extract of fermented Cassia tora L. by Lactobacillus casei on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odel in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471-478. 

  24. Oh JM, Jo JH, Kim BH and Kim SK. (2006). Single dose toxicity study of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tract in mice.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21:331-335. 

  25.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1).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p.1-4. 

  26.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9). OECD test guideline 45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p.1-16. 

  27. Park YC, Lee JS, Kim DY, Son HY, Lee JW, Cheoi YS, Kim KK, Yu CY, Chung IM, Im MH, Lee KJ, Choi RN, Shim HS and Lim JD. (2013). A 90 day repeated dose-oral toxicity study of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rground parts in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474-485. 

  28. Parson WT and Cuthbertson EG. (1992). Noxious weeds of Australia. Inkarta Press.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29. Voss KA and Brennecke LH. (1991). Toxicological and hematological effects of sicklepod(Cassia obtusifolia) seeds in sprague-dawley rats: A subchronic feeding study. Toxicon. 29:1329-1336. 

  30. Wei N, Lv H and Liu M. (2012).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tions of reducing blood lipid in semen Cassiae. Guangdong Chemical Industry. 9:99-100. 

  31. Yen GC and Chuang DY. (2000). Antioxidant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Cassia tora L.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roasting.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8:2760-2765. 

  32. Yen GC and Chung DY. (1999).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Cassia tora L. prepared under different degrees of roasting on the oxidative damage to biomolecul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7:1326-1332. 

  33. Yi JH, Park HJ, Lee S, Jung JW, Kim BC, Lee YC, Ryu JH and Kim DH. (2016). Cassia obtusifolia seed ameliorates amyloid ${\beta}$ -induced synaptic dysfunction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kt/GSK- $3{\beta}$ pathway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78:50-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