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s on Subjective Happiness in Adolesc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1, 2018년, pp.39 - 47  

이진화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권민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tatistics of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식생활 행태를 확인하고 이러한 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4가지 논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 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와 관련하여 각각을 독립적인 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체계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 행태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확인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통제하여 식생활 행태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영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특히 이 시기의 성장과 발달은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극적으로 청소년기는 한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이 시기의 식생활 행태는 식습관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변화가 어렵고 이는 신체적 발육뿐만 아니라 심리 및 정서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1].
청소년기가 중요한 이유는?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영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특히 이 시기의 성장과 발달은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극적으로 청소년기는 한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이 시기의 식생활 행태는 식습관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변화가 어렵고 이는 신체적 발육뿐만 아니라 심리 및 정서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1].
청소년기의 식생활 행태가 중요한 이유는?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영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특히 이 시기의 성장과 발달은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극적으로 청소년기는 한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이 시기의 식생활 행태는 식습관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변화가 어렵고 이는 신체적 발육뿐만 아니라 심리 및 정서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1]. 그러나 최근 청소년기 식생활 관련 보고에 따르면 이 시기 학업과 자기 계발에 대한 과중한 요구와 관련하여 아침 결식, 고열량 인스턴트식품 섭취, 패스트푸드 및 편의점 이용 등 불규칙한 식사 시간과 적절치 못한 음식 선택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MH, Yim SY.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s,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on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5):2683-2694. 

  2. Jo JE, Park HR, Jeon SB, Kim JS, Park GE, Li Y, et al.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ie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Using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1.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3;18(2):165-176. https://doi.org/10.5720/kjcn.2013.18.2.165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cited 2018 March 1].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4. Rosenheck R. Fast food consumption and increased caloric intake: a systematic review of a trajectory towards weight gain and obesity risk. Obesity Reviews. 2008;9(6):535-547.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8.00477.x 

  5. Im Y, Oh WO, Suk MH. Adolescent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1-9. https://doi.org/10.4094/chnr.2017.23.1.1 

  6. Mahabir S. Association between diet during preadolescence and adolescence and risk for breast cancer during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3;52(5):S30-S35.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2.08.008 

  7. Duffey KJ, Gordon-Larsen P, Jacobs DR, Williams OD, Popkin BM.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fast food and restaurant food consumption with 3-y change in body mass index: the 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85(1):201-208. https://doi.org/10.1093/ajcn/85.1.201 

  8. French SA, Story M, Neumark-Sztainer D, Fulkerson JA, Hannan P. Fast food restaurant use among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nutrient intake, food choices and behavioral and psychosocial vari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alated Metabolic Disorders. 2001;25(12):1823. https://doi.org/10.1038/sj.ijo.0801820 

  9. Park JK, Lee NR. Diet habit comparison and the effect of it on aggressiveness between delinquent youth and adolescent. Annals of Tourism Research. 2012;27(2):215-238. 

  10. Cha SE, Lee HA. Analyzing adolescent family meal vs. alone meal: focusing on adolescent time use and family characteristics. Journal of Family Relation. 2017;22(4):135-156. https://doi.org/10.21321/jfr.22.4.135 

  11. Shin WK, Kang SY, Kim Y. Effects of family meals on eating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 Based on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at Goyangsi, Gyeonggido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7;29(4):149-159. https://doi.org/10.19031/jkheea.2017.12.29.4.149 

  12. Fiese BH, Foley KP, Spagnola M. Routine and ritual elements in family mealtimes: Contexts for child wellbeing and family identity.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06;111:67-90. https://doi.org/10.1002/cad.156 

  13. Fulkerson JA, Kubik MY, Story M, Lytle L, Arcan C. Are there nutritional and other benefits associated with family meals among at-risk youth?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9;45(4):389-395.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9.02.011 

  14. Hwang H, Kim Y.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happiness determinants among domestic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7;24(7):1-28. https://doi.org/10.21509/KJYS.2017.06.24.7.1 

  15. Lyubomirsky S, Lepper HS.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1999;46:137-155. 

  16. Park HM, Yum SY.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on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3):2683-2694. 

  17. Niemeier HM, Raynor HA, Lloyd-Richardson EE, Rogers ML, Wing RR. Fast food consumption and breakfast skipping: Predictors of weight gai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6;39(6):842-849.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6.07.001 

  18. Lien L. Is breakfast consumption related to mental di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ition. 2007;10(4):422-428. https://doi.org/10.1017/s1368980007258550 

  19. Park KY. Breakfast and health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2011;14(4):340-349. https://doi.org/10.5223/kjpgn.2011.14.4.340 

  20.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meal variety with breakfast eating in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8-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3;18(3):257-268. https://doi.org/10.5720/kjcn.2013.18.3.257 

  21. Her ES, Lee KH, Bae EY, Lyu ES. Interrelations among fast food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7;12(6):714-723. 

  22. Nederkoorn C, Braet C, Van EY, Tanghe A, Jansen A. Why obese children cannot resist food: the role of impulsivity. Eating behaviors. 2006;7(4):315-322. https://doi.org/10.1016/j.eatbeh.2005.11.005 

  23. Kye SY, Kwon JH, Park K. Happiness and health behaviors in South Korean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Epidemiology and Health. 2016;38:e2016022. https://doi.org/10.4178/epih.e2016022 

  24. Lesani A, Mohammadpoorasl A, Javadi M, Esfeh JM, Fakhari A. Eating breakfast,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their relation with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Eating and Weight Disorders. 2016;21:645-651. https://doi.org/10.1007/s40519-016-0261-0 

  25. Park J, You S. Study on skipping breakfast in adolescents classified by household typ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7;28(2):329-340. https://doi.org/10.7856/kjcls.2017.28.2.329 

  26. Yeoh YJ, Yoon J, Shim JE, Chung SJ.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in Korean children: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8;13(1):62-68. 

  27. Shin GN, Kim YR, Kim MH. Nutritional evaluation of convenience meals in convenience stores near the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7;22(5):375-386. https://doi.org/10.5720/kjcn.2017.22.5.375 

  28. Story M, Neumark-Sztainer D, French 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2;102(3):S40-51. https://doi.org/10.1016/S0002-8223(02)90421-9 

  29. Larson NI, Story MT, Nelson MC. Neighborhood environments: Disparities in access to healthy foods in the U.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9;36(1):74-81. https://doi.org/10.1016/j.amepre.2008.09.025 

  30. Simeon DT, Rattan RD, Panchoo K, Kungeesingh KV, Ali AC, Abdool PS. Body image of adolescents in a multi-ethnic Caribbean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3;57:157-162. https://doi.org/10.1038/sj.ejcn.16015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