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대중교통 통행패턴 분석 : 강화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Transit Ridership Pattern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focusing on Ganghwa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7 no.2, 2018년, pp.58 - 72  

이민우 (한익스프레스) ,  한종학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이향숙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화군은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 의해 기존의 농촌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체계적인 대중교통 운영이 사실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군의 일주일간 승객 교통카드 분석을 통해 강화군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화군은 평일기준 약 7천1백 명의 승객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특히 금요일에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7~8시에 뚜렷한 오전 첨두가 형성이 되었고, 주로 학생들이 하교하는 16~17시에 오후 첨두가 나타나는 특징이 나타났다. 강화군의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도서지역의 특성상 의료시설이나 인구, 학교용지 면적과 같이 주거단지나 상업단지가 밀집된 지역에서 많은 승하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화군의 버스이용 패턴을 파악하여 향후 체계적인 대중교통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nghwa has met a new development period in land use and infrastructure based on the 4th 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however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s not systematically operated yet. This paper analyzes the bus trip pattern in Ganghwa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during a week.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개인의 통행 특성을 반영하는 대규모의 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지역의 대중교통 통 행 패턴을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그동안 교통카드 분석을 수행한 연구들이 수도권이나 대 도시를 중심으로 집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직까지 통행 패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강화군에 대한 교통카드 분석은 더 큰 의미를 가진다.
  • 특히 국내의 경우 수도권과 역세권을 중심으로 분석이 집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하철이 없어 대부분의 통행을 버스에 의존하는 강화군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요일별, 시간대별, 지역별 통행량 및 환 승패턴을 분석하고, 행정구역 소단위인 각 리 단위별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인천 EB카드사의 일주일 간 승객 버스 승·하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강화군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1), 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강화군의 대중교통 통행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인천 EB카드사로부터 제공받은 2015년 3월 23일 월요일부터 일주일간의 승객 카드데이터를 제공받아 강화군의 통행패턴, 지역간이동량, 최다이용노선, 리별 승하차, 교통수단간 수송 분담률 등의 통행 특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지하철이 없어 대부분의 통행을 버스에 의존하는 강화군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요일별, 시간대별, 지역별 통행량 및 환 승패턴을 분석하고, 행정구역 소단위인 각 리 단위별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은? 현재 우리나라의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은 41.4% 수준이며, 특히 수도권 지역의 경우 48.1%에 육박하고 있다(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3).
수도권 외곽지역, 지방지역에서 대중교통의 성장이 더딘 이유는 무엇인가? 수도권의 편리한 대중교통 시스템, 버스 연계수송, 환승 할인등 서비스 확대로 수요 증가를 유도해 오고 있다. 반면 수도권 외곽지역, 지방지역은 시스템 미비로 인해 성장이 상대적으로 더딘 상황이다.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의 수요 증가가 유도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에 육박하고 있다(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3). 수도권의 편리한 대중교통 시스템, 버스 연계수송, 환승 할인등 서비스 확대로 수요 증가를 유도해 오고 있다. 반면 수도권 외곽지역, 지방지역은 시스템 미비로 인해 성장이 상대적으로 더딘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in M. Y.(2011), "Study on Analysis Travel Pattens and Applications Using Gyeonggi-do Traffic Card Data," Gyeonggi Development Institute. 

  2.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2015), Establishing Public Transportation Llanning and Bus Route Reorganization for Ganghwa. 

  3. Kim D. J., Kim D. N., Yang J. H., Sung H. G. and Rhee S. M.(2010), "An Analysis on Accuracy of Demand Forecasts based on Station-wide Characteristics - Focus on Seoul Subway,"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17, no. 1, pp.23-35. 

  4. Kim J. and Lee M. S.(2010), "A Study for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Transit Ridership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it Cent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6, no. 10, pp.305-312. 

  5. Kim J. Y., Lim S. Y., Choo S. H. and Park I. K.(2015), "Analysis of Transit Ridership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Seoul,"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pp.49-65. 

  6. Kim K. H. and Lee S. C.(2011), "A Study on Type of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ransfer Stations Using Data on Traffic Cards - Focused o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vol. 31, no. 4D, pp.519-526. 

  7. Lee J. A., Cho M. S. and Koo J. H.(2013), "Relationship Between Mixed Land-Use Characteristics and Time-Based Patterns of Subway Users - Focused on the Surrounding Areas of Seoul Subway Station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8, no. 4, pp.19-31. 

  8. Medina S. and Erath A.(2013), "Estimating dynamic workplace capacities by means of public transport smart card data and household travel survey in singapor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344, pp.20-30. 

  9. Metropolitan Transporation Authority(2013), Press release. 

  10. Moon Y. I. and Rho J. H.(2012), "A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Model on Seoul Subway Station Area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7, no. 1, pp.149-160. 

  11. Oh Y. T., Kim T. H., Park J. J. and Rho J. H.(2009),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vol.29, no. 4D, pp.467-472. 

  12. Pelletier M. P., Trepanier M. and Morency C.(2011), "Smart card data use in public transit: A literature review,"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 vol. 19, no. 4, pp.557-568. 

  13. Shi X. and Hangfei L.(2014), "The Analysis of bus commuters' travel charactristics using smart card data: The case of Shenzhen China," TRB, vol. 93, no. 14, pp.2571-2579. 

  14. Sohn D. W. and Kim J.(201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nsit Centers and Transit Ridership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7, no. 6, pp.177-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