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The Effects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Focus on Multi Group Analysis between Boys and Girl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2, 2018년, pp.145 - 156  

박가화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이지민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the above relations. The subjects were 1,882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selected from the 7th year data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연구는 또래애착이나 또래관계에서 긍정적인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혹은 매개의 역할을 살펴보고 있다면(Kim & Hong, 2015; Song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학교부적응에서 가장 많은 원인으로 꼽고 있는 친구관계의 어려움, 그중에서 청소년 스스로가 지각하고 있는 또래소외감이 청소년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 간의 선행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한 스마트폰 의존경향성 문제를 매개변인으로 청소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인 과잉양육행동, 또래관계 변인으로의 또래소외,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특히 중학교 1학년은 이전과는 다른 학교 환경 및 초기 청소년기로서 발달상 자아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로 부모로부터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성장해나가는 시기라는 관점으로 봤을 때,부모의 과잉기대와 간섭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Shin & Son, 2016) 자녀의 성장과 함께 부모의 양육방식의 변화가 함께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양육행동 중 과잉기대와 과잉간섭을 과잉양육행동으로 명명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스마트폰은 짧은 기간에 빠르게 보급된 만큼 스마트폰사용으로 인한 부정적 측면과 폐해들에 대한 대응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로 이미 우리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Park & Kim,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중독이라는 병리적인 용어보다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이라 용어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을 할 수 없을 때 불안 초조한 마음이 들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감을 받는 등의 반응을 보이는 부정적 현상으로 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과 관련하여 독립, 종속변수로서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는 점, 이미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어, 개인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람 사이의 관계적 측면을 이어주는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매개체라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매개변수로서의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부정적 영향력들의 인과관계를 조기에 발견하여 학교생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학교 부적응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부모의 과잉양육행동, 또래소외가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성차가 어떠한지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이 중독이라는 병리적인 용어보다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이라 용어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을 할 수 없을 때 불안 초조한 마음이 들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감을 받는 등의 반응을 보이는 부정적 현상으로 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과 관련하여 독립, 종속변수로서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는 점, 이미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어, 개인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람 사이의 관계적 측면을 이어주는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매개체라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매개변수로서의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 간의 선행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한 스마트폰 의존경향성 문제를 매개변인으로 청소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인 과잉양육행동, 또래관계 변인으로의 또래소외,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되어왔지만 최근 학업중단이라는 형태로 학교부적응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재조명되고 있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부정적 영향력들의 인과관계를 조기에 발견하여 학교생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학교 부적응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부모의 과잉양육행동, 또래소외가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성차가 어떠한지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집단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과잉양육태도와 또래소외가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최종 수정모형에 대한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구조동일성 검증을 거쳐야한다.
  •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되어왔지만 최근 학업중단이라는 형태로 학교부적응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재조명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 문제로 관심 받고 있는 중요한 문제들 간의 관계들을 규명하여 학교 부적응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조기에 개입하여 학교 현장 및 가정에서 활용 가능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학교 1학년 시기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의 전환기로 새로운 환경의 적응에서 부정적 영향들을 가능한 조기에 발견하여 학교 부적응과 중도 학업중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의 모색과 실천에 적절한 시기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또한, 청소년들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로 성장해 나감에 있어서 부모 역할의 변화와 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의 방향에 있어서도 주춧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추정 방법인 최 대우도법에 따라 자료는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다(왜도<4, 편 포도<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은? 전 세계 스마트폰 보급률이 2016년 말 51%에 달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85%로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Yonhap news agency, 2017). 이러한 보급률을 반영하듯 ‘스몸비(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들), 카페인 중독(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중독)’이라는 스마트폰 사용의 폐해와 관련된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우리 생활에 깊숙하게 들어와 있다(Donga.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은?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습득과 공유,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친밀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서적 욕구를 분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Song etal., 2014).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은? , 2014). 반면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은 일상생활에서의 집중력 저하, 직접 대면하는 대인관계의 어려움, 눈이나 목과 어깨 등의 신체적 고통, 유해 매체나 폭력 등에 노출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Kim & Han, 2015).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시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과 성인의 감시나 통제를 벗어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매체라는 점이 청소년에게 있어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Kim & Han,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Armasden, G. C., & Greenv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http://dx.doi.org/10.1007/BF02202939 

  2. Aydm, B., & San, S. V. (2011).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role of self -esteem.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3500-3505. http://doi.org/101016/j.sbspro.2011.04.325 

  3. Cha, E. J., & Kim, K. H. (2015). Effects of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44, 79-108. http://dx.doi.org/10.17997/SWRY.44.1.4 

  4. Chang, S. J., Song, S. W., & Jo, M. A. (2011).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ttachment to peer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2), 431-451. 

  5. Cho, C. B. (2017).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52, 5-34. http://dx.doi.org/10.17997/SWRY.52.1.1 

  6. Choliz, M. (2012). Mobile phone addiction in adolescence: The test of mobile phone dependence(TMD). Progress in Health Sciences, 2(1), 33-44 

  7. Cho, Y. J., & Choi, H. I. (2015). A study on effect of parenting practice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and peer attachment.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0, 47-70. 

  8. Gonzalez, A. L., & Wolters, C. A. (2006).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practic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mathematics. Journal of Research of Childhood Education, 21(2), 203-217. https:// doi.org/10.1080/02568540609594589 

  9. Ha, M. S., & Lee, S. B. (2009). The influence of the children-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 elasticity to adjust to school lif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8(3), 247-258. 

  10. Hall, J. A., & Baym, N. K. (2012). Calling and texting (too much): Mobile maintenance expectations, (over) dependence, entrapment, and friendship satisfaction. New Media & Society, 14(2), 316-331. https://doi.org/10.1177.1461444811415047 

  11. Han, J. H. (2017 February 8). The first 50% of the global Smartphone penetration broke... South Korea 85%. Yonhap News. Retrieved January 13, 2018,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08/0200000000AKR20170208052100017.HTML 

  12. Harter, S. (1990).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selfrepresentations: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aladaptive behavior.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2), 113-142. http://dx.doi.org/10.1007/BF01176205 

  13. Hong, N. M., & Yim, E. E. (2016).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adolescent’s depression mediated by peer-alienation and cell-phone dependency.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0(3), 417-436. http://dx.doi.org/10.21459/kccr.2016.20.3.417 

  14. Hong, S. H.,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4), 636-654. http://dx.doi. org/10.1177/0013164403251332 

  15. Hur, M. Y. (2000).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 Jang, H. J. (2002).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ictive using cellular ph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H. S. (2014).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dentity in the influence of peer-alienation of youth to mobile phone dependenc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527-537. http://doi.org/10.5392/JKCA.2014.14.12.527 

  18. Kim, H. J., & Hong, S. H.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6(1), 413-429. http://doi.org/10.20972/kjee.26.1.201503.413 

  19. Kim, J. H. (2012).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of youth mediated by mobile phone use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3), 97-120. 

  20. Kim, J. H., & Kim, E. H. (2017).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al attitude types and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 (3), 353-363. https://doi.org/10.14400/JDC.2017.15.3.353 

  21. Kim, J. H., Kim, S. B., & Jung, I. K.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he school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5(4), 241-269. http://doi.org.1014816/sky.2014.11.75.241 

  22. Kim, J. S. (2017, October 4). Have you ever used the internet addicted adulthood and adolescence, smoking and closely. DongA. Retrieved January 13, 2018, from http://weekly.donga.com/3/all/11/1078044/1 

  23. Kim, J. U., & Kim, J. H. (2014).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rearing attitude, covert narcissism,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1041- 105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041 

  24. Kim, N. H., & Yoon, M. S. (2017). The effects of parental over-control and neglect on adolescent's peer alienation: mediating roles of smart phone dependency. Social Science Studies 41(2), 283-312. 

  25. Kim, N. Y. (2016). A study on impact of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on the aggress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attitude of parent caring.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3(2), 87- 103. 

  26. Kim, S. A., & Han, Y. S. (2015). Longitudinal study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ce: Mediating role of ego identit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 75-89. 

  27. Kim, S. B., Seong, N. M., & Kang, J. S. (2017). Moder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8), 145-151. https://doi.org/10.5762/ KAIS.2017.18.8.145 

  28. Kim, S. Y., & Hong, S. H. (2014). Estimating adolescent' changes in mobile phone dependence: Testing for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Studies on Korea Youth, 25(3), 101-123. 

  29. Kim, Y. M., Lim, Y. M. (2013).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al over- involvement,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5(2), 343-366. 

  30. Kim, Y. S., & Cho, H. I. (2017).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 toward rearing,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1(3), 529-561. https://doi.org/10.17286/ KJEP.2017.31.3.07 

  31. Korean media panel survey team. (2016). 2016 main contents of the Korean media panel findings. Korea: KISDI STAT Report. 

  3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7). 13th online survey of youth health behavior. Retrived January 13, 2018,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 jsp?cid77749&menuIdsHOME001-MNU1130-MNU2393- MNU2749 

  33. Kwon, Y. J.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nqu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9, 177-204. 

  34. Lee, A. R., & Lee, G. I. (2012). The effect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2), 27-39 

  35. Lee, E. J., Lee, J. A., Lee, H. J., & Chung, I. J. (2012). The effect of mobile phone usage type on school maladjustment: A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4), 189- 214. 

  36. Lee, H. Y.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1), 133-157. 

  37. Lee, J. H. (2016). A study for smart phone addiction model for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9), 433- 442. http://dx.doi.org/10.5392/2016.16.09.433 

  38. Lee, S. H., Kim, H. S., Na, E. Y., Lee, S. Y., Kim, S. N., Bae, J. H., et al. (2002). A study of youth mobile phone use and the effects. Seoul: Social Mental Health Institute. 

  39. Lee, Y. M. (2014). The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and self-control on smart phone addic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0. Lim, S. A. (2013).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steem influencing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6(1), 121-138. 

  41. Lim, S. A. (2014). The effects of democratic and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on child'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chool adjus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using SEM).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7(2), 73- 93. 

  42. Lim, S. A., & Kwon, M. N. (2016).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e in the relation of parent's neglecting attitude and school adaption. Child Protection Research, 1(2), 55-83 

  43. Lu, X., Watanabe, J., Liu, Q., Uji, M., Shono, M., & Kitamura, T. (2011). Internet and mobile phone text-messaging depend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 with dysphoric mood among Japanese adults. Computer in Human Behavior, 27(5), 1702-1709. https://doi. org/10.1016/j.chb.2011.02.009 

  44. Masten, A. S. (2004). Regulatory processes, risk and resilience in adolescent developm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21(1), 310-319. https://doi.org/10.1196/annals.1308.036 

  45. Min, B. S. (1991).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concept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4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 Statistics Korea. (2017). 2017 Youth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13, 2018, from http://blog.naver. com/mogefkorea?RedirectLog&logNo220985971885 

  47. Park, H. S., & Kim, H. M. (2016). The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on aggress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3), 498-512.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3.498 

  48. Park, Y. S., & Kim, U. C. (2003).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1), 37-54. 

  49. Shin, S. J., & Son, E. Y. (2016). Longitudinal analysis of effects of parenting method and ego-resilience perceived by youth people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ing on the change between 4th grade and 7th grad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2), 25-45. http:// dx.doi.org/10.21509/KJYS.2016.12.23..12.25 

  50. Son, E. H. (2012). Research on awareness and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ith smart phone user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51. Song, B. K., Choi, C. W., Jo, H. Y., & Oh, M. A. (2017). The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self-awarenes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7), 303-331. http://dx.doi.org/10.21509/ KJYS.2017.06.24.7.303 

  52. Song, H. W.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ning mo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53. Song, I. H., Kwon, S. W., & Kim, S. E. (2014).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social withdrawal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 21(8), 185-211. 

  54. Song, Y. J., Kim, D. H., & Lee, S. S. (2015). The 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s in adolescents during a transition perio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3(2), 207-231. http://dx.doi.org/10.25152/ ser.2015. 63.2.207 

  55. Steinberg, L. (2005).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 (2), 69-74. http://doi. org/10.1016/j.tics.2004.12.005 

  56. Sung, E. J.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method on self- 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as parameter.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14(1), 107-130. 

  57. Sung, E. M. (2013). The effects of mobile phone use on the early adolescence in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2), 253-281. 

  58. Sung, Y. S. (2008). Mobile phone dependency, motivations and effects of mobile phone usage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4), 181-197. 

  59. Woo, S. W. (2017, October 23). Students study the overwhelming cause, 'stop companionship'... Teachers ' home environment' be. Kukminilbo Retrieved January 13, 2018, from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843422&code61121111&sid1soc\ 

  60. Yi, Y. J. (2014).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a youth's personal characteristics during a transition period,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cell phone dependenc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5), 519-528. http://doi. org/10.6115/fer.2014.044 

  61. Yoon, M. S. (2017). Comparing the mobile-phone overuse by gender and school leve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1-9. http://doi.org/10.14400/JDC.2017.1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