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모기의 서식지가 넓어짐에 따라, 모기가 매개하는 감염병의 감염기회가 높아지고 있다. 플라비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바이러스로, 아시아 국가 내에서 상대적으로 감염빈도가 높은 플라비바이러스로는 지카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및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있다. 이들은 감염증상 및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진단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하게 구별 가능한 진단기술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정보학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정보 및 분석도구를 바탕으로 플라비바이러스 구별 진단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3종 플라비바이러스의 면역진단을 위한 표적 단백질로는 외피단백질 및 비구조단백질 1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아미노산 다중 서열 분석을 통해 상동성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연속적 10-15개의 펩타이드로 구성된 항원결정기 후보를 선별하였으며, 면역원성 분석과 3차원 구조 예측을 통해 가장 유용한 항원결정기 2종을 제시하였다. 이는 아시아 국가 내에서 감염빈도가 높은 3종의 플라비바이러스의 구별진단을 위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global warming has widened the habitat of mosquitoes and infection chances for mosquito-borne diseases are increasing. Flavivirus is a typical mosquito-borne virus. Flaviviruses with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infection in Asian countries include Zika, Dengue, and Japanese encephalitis viruses. Although distinctive diagnosis of flaviviruses is required because the symptoms and therapeutic method differ, there is no diagnostic method that can distinguish them accurately yet. In this study, we propose distinctive diagnosis method of flaviviruses using informations and analysis tools constructed in bioinformatic databases. The envelope protein and non-structural protein 1 which are useful protein for the immuno-diagnostics of three flaviviruses were selected. Their homology was analyzed by multiple sequence alignments and epitope candidates consisting of 10-15 amino acids were selected. Finally two epitopes were suggested to be most useful by immunogenicity analysis and 3D structure prediction. These approaches and results are expected to be great value in the distinctive diagnosis of three flaviviruses with a high frequency of infection in Asian countrie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플라비바이러스 | 플라비바이러스는 무엇인가? |
플라비비리데 과 (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생물학적 분류인 속 (genus)을 지칭한다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는 플라비비리데 과 (Flaviviridae family)의 하위 생물학적 분류인 속 (genus)을 지칭한다. 플라비바이러스의 대표적인 종 (species)으로는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및 세인트루이스 뇌염 바이러스(St. |
플라비바이러스 | 플라비바이러스 중 아시아 국가 내에서 상대적으로 감염빈도가 높은 것은 무엇인가? |
지카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및 일본뇌염 바이러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모기의 서식지가 넓어짐에 따라, 모기가 매개하는 감염병의 감염기회가 높아지고 있다. 플라비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바이러스로, 아시아 국가 내에서 상대적으로 감염빈도가 높은 플라비바이러스로는 지카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및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있다. 이들은 감염증상 및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진단이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하게 구별 가능한 진단기술이 없다. |
플라비바이러스 | 플라비바이러스의 공통된 특징은 무엇이가? |
모두 40~65 나노미터(nm)의 크기로 구형 (spherical)의 형태이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이 가능하다
플라비바이러스들은 모두 공통의 특징을 갖는다. 이들은 모두 40~65 나노미터(nm)의 크기로 구형 (spherical)의 형태이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플라비바이러스의 유전자는 (+)단일가닥의 리보핵산(RNA)으로, 약 10,000~11,000개의 염기 (base)로 구성되어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