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IoT 디바이스와 관련한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보안 침해 사고의 규모가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국내 정보보호와 관련한 법제 정비를 위한 움직임 또한 활발해지고 있으며, 강화된 정보통신망 법이 시행되었다. IoT 관련 침해 사고는 재정적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IoT 디바이스 보안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디바이스가 갖춰야 할 필수 보안기능을 법제적 관점과 기술적 관점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한 기술들을 분석한다. 이는 Start-up 개발자나 IoT 디바이스 설계자에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s the market for IoT devices grows,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of malware attack will be considerable. Accordingly, the improvement of related legislation has been actively promoted, the recently strengthen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was enforced. Because IoT related accidents can lead to not only financial damages but also human accidents, IoT device Security has been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is paper, IoT devices provide essential security functions through legal and technical perspectives, and analyze related technologies. This can be used to a reference for the Start-up developer and IoT device designer.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및 법정 손해배상제도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및 법정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으로 변경 된 것은 무엇인가? |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는 피해액을 입증하지 않아도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고, 고의나 중 과실로 개인정보를 유출한 기관이나 업체는 가중된 책임을 물게 된다
이처럼 방대한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업들에는 보안사고를 막기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피해 금액의 최대 3배를 배상하도록 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및 법정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면서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는 피해액을 입증하지 않아도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고, 고의나 중 과실로 개인정보를 유출한 기관이나 업체는 가중된 책임을 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기업들은 보안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발생되는 모든 재정적 손실이나,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면서발생되는 비용에 대해 더욱더 심사숙고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
IoT 기기와 관련하여 많은 취약점 | IoT 기기와 관련하여 많은 취약점에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있는가? |
악성코드로 인한 감염, 데이터 및 기기 탈취, 관리자 권한 획득, 펌웨어 및 운영체제에 대한 불법적 침입 또는 접근을 통해 이뤄지며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시스템 오작동, 또는 악성코드로 인한 DDoS와 같은 2차 피해를 유발한다. 현재 국내 외 기업들에 대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주요 공격방법들은 악성코드 및 랜섬웨어 공격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IoT 기기와 관련하여 많은 취약점들이 발견되고 관련된 해킹 공격 시범 사례나 실제 피해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공격들은 악성코드로 인한 감염, 데이터 및 기기 탈취, 관리자 권한 획득, 펌웨어 및 운영체제에 대한 불법적 침입 또는 접근을 통해 이뤄지며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시스템 오작동, 또는 악성코드로 인한 DDoS와 같은 2차 피해를 유발한다. 현재 국내 외 기업들에 대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주요 공격방법들은 악성코드 및 랜섬웨어 공격으로 알려져 있다[6]. |
임베디드기기 | 임베디드기기 설계시 주의사항은 무엇인가? |
오작동 시 생명이나 자산의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피해와 위험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야 한다
IoT 기기들은 대부분 임베디드 기기로서 가전제품부터, 항공 우주, 자동차, 의료 및 산업용 시장까지 폭 넓게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임베디드기기는 오작동 시 생명이나 자산의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피해와 위험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 IoT 기기들이 대거 출시되면서 IoT 기기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안 침해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보안 침해 사고의 규모 또한 커지는 추세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