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중학생 대상 일품요리의 대표영양가 산출 및 영양적정성 평가
Representative Nutrients Contents and Nutritional Adequacy Evaluation of Single-Dish Meal for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2, 2018년, pp.93 - 101  

이지선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김영남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 households and so-called Honbab-jok, those who eat alone, people tend to enjoy convenient and simple meals, such as single dish me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data on the energy and nutrient content, and nutritional adequacy of single-di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증가와 혼자 식사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일품요리의 섭취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여 일품요리의 대표영양가를 설정하고자 한다. 권장식사패턴 작성의 기반이 되는 대표영양가는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우리 국민 섭취량에 근거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데[7], 일품요리의 경우 우리 국민의 섭취량 조사 자료가 현재 없기 때문에 가중치를 배재하고 대표영양가를 산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편식을 즐기는 미래의 주역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호도와 섭취빈도 조사를 실시하고, 기호도와 섭취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대표영양가도 산출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 권장식사패턴 작성의 기반이 되는 대표영양가는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우리 국민 섭취량에 근거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데[7], 일품요리의 경우 우리 국민의 섭취량 조사 자료가 현재 없기 때문에 가중치를 배재하고 대표영양가를 산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편식을 즐기는 미래의 주역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호도와 섭취빈도 조사를 실시하고, 기호도와 섭취빈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대표영양가도 산출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다양해지는 식사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권장식사패턴 개선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증가와 혼자 식사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일품요리의 섭취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여 일품요리의 대표영양가를 설정하고자 한다. 권장식사패턴 작성의 기반이 되는 대표영양가는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우리 국민 섭취량에 근거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데[7], 일품요리의 경우 우리 국민의 섭취량 조사 자료가 현재 없기 때문에 가중치를 배재하고 대표영양가를 산출하고자 한다.
  •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식사패턴 대표영양가 산출과정을 보면, 최근 5년 동안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토대로 각 식품군별 대표식품을 선정하고 대표식품의 섭취분량에 근거하여 대표식품별 가중치를 산정한 다음 식품의 영양소 함량에 식품별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하는 방법으로 식품군별 대표영양가를 산출한다[7]. 본 연구는 일품요리 음식류별 기호도와 섭취빈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일품요리 음식류별 가중치를 산출하고, 가중치를 적용한 일품요리의 음식군별 대표에너지를 산출하였다.

가설 설정

  • 일품요리의 특징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조사에서 맛있고, 조리가 간편하며, 조리 시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하며, 영양적으로 우수한 음식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일품요리는 저칼로리 음식이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밥의 특징은 무엇인가? 식사를 혼자 하는 때에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영양상 균형 잡힌 식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영양섭취부족자 분율은 1인 가구인의 경우 2인 이상 가구인보다 2배나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3].
혼밥문화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로 증가하였으며, 앞으로도 1인 가구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1]. 가구원 수 감소와 1인 가구의 급증,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개인 활동 다양화로 인하여 가족식사 빈도가 감소하고 있으며[2], 이는 밥을 혼자 먹는 이른바 ‘혼밥’ 문화를 탄생시켰다.
영양섭취기준을 충족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간편함을 추구할지라도 건강을 위해서 균형 잡힌 식사가 필수적이며, 균형 잡힌 식사는 식단의 계획과 실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영양섭취기준을 충족시키는 식단 작성 방법으로 권장식사패턴이 마련되었으며, 권장식사패턴은 식재료에 근거하여 식품군을 구분하고,식품군별로 권장섭취 횟수를 제시한 것이다[7]. 그러나 일품요리는 2가지 이상의 식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음식으로, 각 재료의 종류 및 재료별 배합 양이 일품요리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권장식사패턴을 활용함에 있어 식품군 선택과 섭취횟수 배정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Indicator of population and household [interne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cited 2017 Mar 12]. Available from: http://kosis.kr/. 

  2. Kwon JE, Park HJ, Lim HS, Chyun JH.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3; 28(3): 272-281. 

  3. Lee KI, Hwang YJ, Ban HJ, Lim SJ, Jin HJ, Lee HS.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Oct. Report No. 762. 

  4. Lee SL, Lee SJ. The effects of eating habit and food consumption lifestyles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J Consum Cult 2016; 19(3): 115-133. 

  5. Doopedia T. Single dish meal [Internet]. Doosan corporation; 2017 [cited 2017 Feb 21]. Available from: http://www.doopediat.com/. 

  6.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Several recipes of food exhibits. Fam Environ Res 1960; 2(1): 321-327.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p. vii-xii, 950-954. 

  8. Kim SY, Kim Y. Nutritional adequacy of one-dish meal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cooking practice units.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07; 19(4): 175-185. 

  9. Kim S. A study on food preference of airmen in Cheongju-centered around traditional dishes A La Cart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2. 

  10. Kim SH, Cha MH, Kim YK.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service in Daeg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7): 945-954. 

  11. Lee YJ, Chang KJ. Prelimina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portion using consumed size and food preferenc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in Inchon: I. A study on food preferenc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998; 4(2): 123-131. 

  12. Lee J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food service and food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3. 

  13. Yim KS, Lee TY. Menu analysis of the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The comparisons of the frequency of menu with the students' food preferences. J Korean Diet Assoc 1998; 4(2): 188-199. 

  14. Koh MS, Park HJ. A study on dietary habit, food preference and dietary intake of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J Hum Ecol 2003; 13: 1-24. 

  15. Seo KH, Yoon HH.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instant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ourism scie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2): 356-364. 

  16. Cheong SH, Chang KJ. Regional differences in taste and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nutritional education via internet I. Main and side dish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6): 845-859. 

  17. Choi YS, Yoo YJ, Kim JG, Nam SM, Jung ME, Chung CK.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1): 175-182. 

  18. Kim SA. Development of recipes for family meals (600 kcal). Korean J Diet Cult 1994; 9(3): 277-288. 

  19. Kim SY, Min SO, Lee MW, Ryu SA. Combination preferences of side dishes and one-dish items to develop set menus for school food service. J Nutr Health 2006; 39(3): 307-315. 

  2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AN-Pro 4.0 for professiona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21. Lee HJ. Food culture of Korea. 6th revision. Seoul: Sinkwang; 2007. p. 167-186. 

  22. Park MJ, Kim Y. Revision of the target pattern based on single serving size of dishes for Korean adolescent meal plan.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1): 21-29. 

  23. Park MJ, Kim Y. Proposition and application of a dish-based target pattern for Korean adolescent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87-95. 

  24. Bae YK, Kim Y. A study on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16; 28(3): 79-88.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1).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p. 482-486. 

  26. Gibson RS.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p. 143-145. 

  27. Kim KA, Kim SJ, Jung LH, Jeon ER. A study on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fast foods. Korean J Food Cook Sci 2003; 19(2): 144-154.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p. 36-43, 222, 232-233. 

  29. Kim Y. Recommended intake and dietary intake of vitamin A for Koreans by unit of retinol activity equival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4): 344-3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