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선정 및 적용 연구 -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Evaluation Criteria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Protected Areas -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2, 2018년, pp.114 - 123  

강혜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강규석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주요 지역을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확보 전략 수립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호지역간 생물다양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에 해당하는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고, 이를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비교에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언급된 빈도가 높은 지표들과 산림 생물다양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림구조를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평가지표는 총 7개로 종다양도, 종풍부도, 균등도, 희귀성, 교란종, 고유생물자원 및 산림구조이다.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종다양도는 3.492와 2.943, 종풍부도는 8.998과 9.793, 균등도는 0.849와 0.680, 희귀성지수는 11.976과 10.783, 교란종지수는 0.214과 0.357으로 나타났다. 두 국립공원 모두에서 고유생물자원은 풍부하게 나타났다. 산림구조는 다양한 임상을 보이고 안정적인 4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관울폐도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지리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이 북한산 국립공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we designate and manage the major areas that are habitats of organisms as ecosystem protected area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relatively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es to protect and secure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대적 지표들을 이용하여 보호지역에 적용하였을 때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 평가가 가능한 지표들을 선정하고, 이를 두 지역에 대입해 비교해봄으로써 지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평가지표 선정의 연구 범위는 현재 9개 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10개의 보호지역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산림청에서 지정 및 관리하고 있는 백두대간 보호지역과 산림보호구역, 그리고 자연공원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 중에서 자연공원에 해당하는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하는데 선정된 지표들을 적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하여 종다양도, 종풍부도, 균등도, 희귀성, 생태계 교란종, 고유 생물자원, 산림구조의 7가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 특히 보호지역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 보전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연구범위를 산림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제한하여 이에 특성화된 지표를 선정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산림청에서 지정 및 관리하고 있는 백두대간 보호지역과 산림보호구역, 그리고 자연공원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 중에서 자연공원에 해당하는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하는데 선정된 지표들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 보호지역을 지정하는 이유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주요 지역을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확보 전략 수립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호지역간 생물다양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제 10차 생물다양성 협약이 제시한 목표는 무엇인가? 제 10차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당사국 총회에서 2020년까지 육상생태계의 17%, 해양생태계의 10%를 보호지역(Protected Area)으로 지정하는 목표를 제시하였고 보호지역 작업반(Working Group on Protected Area)을 만들어 관리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자연환경보전법, 야생생물보호법, 습지보전법, 자연공원법,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산림보호법,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해양환경관리법,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9개 법에서 각각 보호지역을 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제 10차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만든 9개의 법률은? 제 10차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당사국 총회에서 2020년까지 육상생태계의 17%, 해양생태계의 10%를 보호지역(Protected Area)으로 지정하는 목표를 제시하였고 보호지역 작업반(Working Group on Protected Area)을 만들어 관리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자연환경보전법, 야생생물보호법, 습지보전법, 자연공원법,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산림보호법,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해양환경관리법,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9개 법에서 각각 보호지역을 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zzaz FA. 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imal reservation ecological system. 10: 351-371. 

  2. Han BH, Kim JH, Hong SH. 2003. The Monitoring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ncept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Dunchon. KJEE. 17(3): 242-257. [Korean Literature] 

  3. Heo HY, Park SY, Jung YS, Cho DG, Shim YJ, Ryu YJ. 2016. A Study on the Expansion Plan for the Protected Areas by Discovering Protected Area Candidates.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6(2): 52-53. [Korean Literature] 

  4. Hong SH, Kim JS. 2013. Relationship between Bird Appearance and Urban Forest Vegetation.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3(1): 66-67. [Korean Literature] 

  5. Jung DJ, Kang KH, Heo J, Kim CJ, Kim SH, Lee JB. 2010. Mapping for Biodiversit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GIS. J. Environ. Impact Assess. 19(6): 573-581. [Korean Literature] 

  6. Jung DJ, Kang KH, Heo J, Sohn MS, Kim HS. 2011. Valuation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J. Environ. Impact Assess. 20(5): 615-625. [Korean Literature] 

  7. Ki GJ, Choi SW. 2004. Butterfly Population Dynamics at Mt. Yudal, Mokpo, Korea. Korea J. Environ. Biol. 22(1): 35-42. [Korean Literature] 

  8. Kim JW, Jung YK. 1995. Ecological Division of Habitats by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 case Study on the Vegetation in the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y Region-. Korean J. Ecol. 18(3): 307-321. [Korean Literature] 

  9. Kim CH, Myung H, Shin BC. 1999. Species Diversity of Forest Vegetation in Mt. Jangan, Chollabuk-do. Kor. J. Env. Eco. 13(3): 271-289. [Korean Literature] 

  10. Kim SH, Oh CH. 2016. Management Plan of The Heonilleung Ecological Scenery conservation Area.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6(2): 49-50. [Korean Literature] 

  11. Kim JS, Lee SD, Kim H, Cho BG. 2017.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Butterfly Communities in major mountains of Honam-jeongmaek and Keumnamhonam-jeongmae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7(2): 28-29. [Korean Literature] 

  12. Kimes DS, Ranson KJ, Sun G, Blair JB. 2006. Predicting lidar measured forest vertical structure from multi-angle spectral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0: 503-511. 

  13. Koo MH, Lee DK. 2012. A Study 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of Biodiversity Assessment method and Its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 Environ. Impact Assess. 21(1) : 119-132. [Korean Literature] 

  14. Korea National Park. 2010. Mt. Jiri national park Resource Monitoring. Gyeongnam, Republic of Korea. [Korean Literature] 

  15. Korea National Park. 2011. Mt. Jiri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 survey. Gyeongnam, Republic of Korea. [Korean Literature] 

  16. Korea National Park. 2014. Mt. Bukhan national park Resource Monitoring. Seoul, Republic of Korea. [Korean Literature] 

  17. Kown H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18. Lee JB. 2008. A Study on Floristic Biodiversity and Ecological Data Acquisition Methods Using Remote Sensing. M.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19. Lee CM, Kwon TS. 2012. Characterization of the Butterfly Community of a Fragmented Urban Forest, Hongneung Forest. Korean J. Appl. Entomol. 51(4): 317-323. [Korean Literature] 

  20.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Systems. 3: 36-71. 

  21. Myeong HH, Oh JG, Won HJ, Shin YS. 2016. A Study on the Advancement Planning and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6(1): 57-58. [Korean Literature] 

  2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Seoul and Pocheon: Vegetation. Seocheon, Republic of Korea. [Korean Literature] 

  23.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a.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Jeonnam 01: Vegetation. Seocheon, Republic of Korea. [Korean Literature] 

  24.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b. Alien species. Sejong, Republic of Korea. [Korean Literature] 

  25.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26. Oh KK, Kim DG, Kim CE. 2008. 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 83-97. [Korean Literature] 

  27. Oh JG, Won HJ, Myeong HH, Kim JW. 2015. Natural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f Korea National Parks resource management plan.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5(2): 103-104. [Korean Literature] 

  28. Oh JG, Won HJ, Myeong HH. 2016. A Study on the Method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KJEE. 49(2): 147-152. [Korean Literature] 

  29. Park YH, Lee HW, Kim KG, Lee GG, Choi JY, Heo SJ, Seo GW. 2008. Development of Designation Criteria for Ecological Protected Areas and its Application Methodology. J. Environ. Impact Assess. 17(3): 177-188. [Korean Literature] 

  30. Park EH, Oh CH. 2014. A Study on Surveying and Improving Management of Jingwan- dong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Seoul.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4(1): 83-84. [Korean Literature] 

  31. Pielou E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The American Naturalist. 100(914): 463-365. 

  32.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Inc. pp. 165. 

  33. Ryu JE. 2010. Diversity Assessment of Forest structure to improve Biodiversity.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34. Shim JH, Chung KH. 1997.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Kor. J. Env. Eco. 11(1): 84-99. [Korean Literature] 

  35. Shin HT. 2000. Study on Assessment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Based on Priority.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n Literature] 

  36. Shin HT, Kim YS. 2001. Review for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s in Korea. Kor. J. Env. Eco. 15(3): 247-256. [Korean Literature] 

  37. Sim WD, Park JW, Lee JS. 2014. Evaluation of Biodiversity Based on Changes of Spatial Scale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Area in Kangwondo-. J. For. Sci. 30(1): 91-100. [Korean Literature] 

  38. Sung HC, Hwang SY, Chae MO, Park ES. 2010. Basic Study on Criteria for Setting Natural Conservation Area. J. Korean Env. Res. Tech. 13(6): 1-12. [Korean Literature] 

  39. Sung JW. 2017. Assessment of Protected Areas in Korea Applied by the Key Biodiversity Areas(KBAs).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n Literature] 

  40. Usher MB. 1996. 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Attributes criteria and values. Chapman & Hall. pp. 3-44. 

  41. Yoo SH, Lee KS, Park CH. 2012.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Kor. J. Env. Eco. 26(2): 247-256. [Korean Literature] 

  42. You JH, Jung SG, Oh JH. 2005. Construction of System on Assessment Indicators for Conservation of Sustainable Natural Ecosystem. Kor. J. Env. Eco. 19(3): 287-298. [Korean Literatu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