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건 패션제품 구매의도 결정요인 -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의 적용 -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 for vegan fashion products - Application of the modified planned behavior model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2, 2018년, pp.125 - 139  

여은아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s for vegan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modified planned behavior model. Survey data from 434 university students were subjected to an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의류를 포함한 패션제품도 가시성이 큰 제품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중요한 상징 도구로 쓰이므로 구매결정에 있어 타인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Park & Jeon, 2013). 따라서 다른 윤리적 제품군보다 비건 패션제품은 자신의 윤리적 정체성이나 윤리적 책임감을 남들에게 더 쉽게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어 비건 패션제품의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해 심도 깊게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제까지 국내 학계에서 논의가 부족했던 ‘비건 패션’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윤리적 제품군의 특성에 따라, 구매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비건 패션제품의 경우에는 관련된 선행연구가 거의 발견되지 않아 이에 대한 고찰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비건 패션제품의 구매행동에 이러한 변수들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변수 간 관련성에 대해 심도 깊게 고찰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행동 연구에 자주 적용되는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을 기반으로 비건 패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과 이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제품 구매행동 연구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수정된 계획행동모델(revised planned behavior model)’(Shaw & Shiu, 2003)을 사용하여 비건 패션제품의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변인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에 앞서 비건 패션제품의 종류와 브랜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비건 패션브랜드의 사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9월 중 가장 대표적 포털 사이트인 구글에서 ‘비건 패션(vegan fashion)’이라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비건 패션브랜드명을 도출하였고, 중복되는 것을 제외한 후 총 30개의 브랜드명을 얻었다.
  • 선행연구에서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은 공정무역 제품이나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 그리고 재활용 행동 등에 적용되어 왔는데(Hong, 2012; Kim, 2016; Koh & Noh, 2009; You & Noh, 2011), 윤리적 제품 중 비건 제품의 구매행동에 적용된 사례가 없어 본 연구를 통해 이 이론의 적용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제품 구매행동 연구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수정된 계획행동모델(revised planned behavior model)’(Shaw & Shiu, 2003)을 사용하여 비건 패션제품의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변인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에서의 변인간 영향관계를 비건 패션제품 구매에 적용하여 비건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윤리적 책임, 윤리적 자아정체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비건 패션제품의 구매의도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은 공정무역 제품이나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 그리고 재활용 행동 등에 적용되어 왔는데(Hong, 2012; Kim, 2016; Koh & Noh, 2009; You & Noh, 2011), 윤리적 제품 중 비건 제품의 구매행동에 적용된 사례가 없어 본 연구를 통해 이 이론의 적용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에서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은 공정무역 제품이나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 그리고 재활용 행동 등에 적용되어 왔는데(Hong, 2012; Kim, 2016; Koh & Noh, 2009; You & Noh, 2011), 윤리적 제품 중 비건 제품의 구매행동에 적용된 사례가 없어 본 연구를 통해 이 이론의 적용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비건 패션제품에 대한 실증연구 결과를 더하여 관련 지식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윤리적 소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비건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비건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비건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윤리적 책임은 비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윤리적 자아정체성은 비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를 통해 앞서 제시한 연구가설 H1, H2, H4, H5은 지지되었으며, H3은 기각되었다. 지각된 행동통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관계를 제외한 다른 인과관계들은 모두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건 문화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비건 문화는 가축을 키우는데 소요되는 과다한 곡물소비와 공해유발 등의 문제를 직시하면서 육식동물의 소비를 줄이자는 채식주의자의 움직임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후 식생활뿐만 아니라, 의생활 등 생활전반에 걸쳐 동물성 제품 사용을 지양하는 문화로 발전해왔다. 비건 제품은 가죽, 모피, 모, 견, 오리털 등 동물성 재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생산과정에서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이라 할 수 있다(“Veganism”, n.
비거니즘이란 무엇인가? 최근 건강을 추구하고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채식을 선택하는 소비자층이 증가하면서 육식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성 제품에 대한 사용을 거부하는 비건(vegan)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비거니즘(veganism)이란 동물성 상품이나 동물의 부산물이 포함된 상품, 그리고 동물실험을 거친 제품이나 관련 서비스에 대한 구매와 사용을 거부하고, 동물복지를 옹호하는 문화를 말한다(“Veganism”, n.d.
비건 패션 소비가 날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이러한 패션업계의 흐름에 소비자들도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비건 패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대 온라인 쇼핑몰 중 하나인 G마켓에서는 2017년 11월 15일부터 12월 14일까지 여성 가죽과 모피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인조 무스탕과 인조 모피 판매량은 2016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62%와 21% 급등하고, 여성 인조가죽 자켓 판매량은 425% 상승한 반면, 여성 가죽 모피/자켓 카테고리 전체 판매량은 9% 줄어들었다고 발표하였다(Moon, 2017). 남성복에서도 가죽자켓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5% 감소한 반면, 남성 인조 가죽자켓 판매량은 18% 증가하고, 패딩용 오리털 대체 소재로 알려진 신슐레이트(thinsulate) 점퍼 판매량은 23%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Moon, 2017). 이는 비건 소재에 대한 가공기술의 발달로 외관상 실제 가죽/모피와 인조제품의 차이가 줄어들고, 합리적인 가격에 중량까지 가벼워지는 등 기능적 향상에 기인한 부분도 있으나, 사회전반에 걸쳐 확산된 동물보호와 윤리소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doi:10.1016/0749-5978 (91)90020-T 

  2. Ajzen, I., & Madden, T. J. (1986).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5), 453-474. doi: 10.1016/0022-1031(86)90045-4 

  3. Byrne, B. M. (201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3rd ed.). New York: Routledge. 

  4. De Groot, J., & Steg, L. (2007). General belief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role of environmental concerns in the TPB.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7(8), 1817-1836. doi:10.1111/j.1559-1816.2007.00239.x 

  5.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6.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London: Pearson Education. 

  7. Han, J. A. (2016, November 7). 동물보호법 개정.. 반려동물 생산.판매방식 개선, 갈 길이 머네요 [Revision of animal protection laws.. Improvement of producing and sales systems of companion animals, long way to go]. Financial News, Retrieved February 9, 2018, from http://www.fnnews.com/news/201611071714424071 

  8. Hong, E.-S., & Shin, H.-Y. (2010). The ethical consumptions and related variables of the undergraduat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5), 131-149. 

  9. Hong, S.-H. (2012). A study on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 on fair-trade produc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4(4), 109-130. 

  10. Jung, H. J., & Oh, K. W. (2013). Impact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on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and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apparel environmental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125-137. doi:10.5850/JKSCT.2013.37.2.125 

  11. Kim, K. S. (2013).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oul: Hannarae Academy. 

  12. Kim, M. S. (2017, May 20). 살생반대 노스페이스, 동물사랑 '비건패션' 선도 [Contrary to killing Northface, love for animals leading 'vegan fashion']. News1, Retrieved February 9, 2018, from http://news1.kr/articles/?2997449 

  13. Kim, Y. S. (2016).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 produ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Comparison of TPB and MTPB.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2(2), 1-18. doi:10.15790/cope.2016.12.2.001 

  14. Koh, A.-R., & Noh, J. (2009).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1956-1964. doi:10.5850/JKSCT.2009.33.12.1956 

  15. Ma, Y. J., Littrell, M. A., & Niehm, L. (2012). Young female consumers' intentions toward fair trade consum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0(1), 41-63. doi:10.1108/09590551211193595 

  16. Moon, H., Choo, H. J., Park, H. S., & Baek, E. (2013). The roles of benefit and risk perception in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159-173. doi:10.5850/JKSCT.2013.37.2.159 

  17. Moon, H. H. (2017, December 28). '착한 소비' 뜬다...'비건 패션' 입다 ['Rising good consumption'...'Wear vegan fashion'].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February 9, 2018,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856917 

  18.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 Ozcaglar-Toulouse, N., Shiu, E., & Shaw, D. (2006). In search of fair trade: Ethical consumer decision making in Fr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0(5), 502-514. doi:10.1111/j.1470-6431.2006.00532.x 

  20. Park, H.-J., & Dickerson, K. G. (2002).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imported casual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2), 1791-1803. 

  21. Park, H.-J., & Jeon, K. S. (2013). Fashion savvy II: The influence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s, self esteem, and consumer confidence in fashion decisions on fashion savv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4), 562-575. doi:10.7741/rjcc.2013.21.4.562 

  22. Park, H.-R., & Hahn, D.-W. (2006). The integrated model to explain the behaviors of purchasing luxury brands of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7(2), 195-226. 

  23. Park, J., & Ha, S. (2014). Understanding consumer recycling behavior: Combin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norm activation model. Family &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42(3), 278-291. doi:10.1111/fcsr.12061 

  24. Shaw, D., & Shiu, E. (2003). Ethics in consumer choice: A multivariate modeling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7(10), 1485-1498. doi:10.1108/03090560310487202 

  25. Song, M. K. (2018, January 19). 비건 패션은 성공할까? [Will vegan fashion be successful?]. Rural Women's Newspaper, Retrieved February 9, 2018, from http://www.r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55 

  26. Song, Y. J., & Shin, S. (2017).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and fashion product consumption attitude on fair trade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5), 656-669. doi:10.29049/ rjcc.2017.25.5.656 

  27. Sparks, P., & Guthrie, C. A. (1998). Self-identit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useful addition or an unhelpful artifi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8(15), 1393-1410. doi:10.1111/j.1559-1816.1998.tb01683.x 

  28. Tae, W. J. (2017, August 16). '동물복지' 외면한 부메랑... 살충제 달걀, 구제역, AI [Boomerang disregarding 'animal welfare'... pesticide egg, foot-and-mouth disease, AI]. Kukminilbo, Retrieved February 27, 2018, from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685735&code61121111&cpnv 

  29. Veganism. (n.d.). In Wikipedia. Retrieved February 9, 2018, from https://en.wikipedia.org/wiki/Veganism 

  30. Yang, J.-J., Han, S.-H., & Lee, Y.-K. (2014). Impa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and value on eco-friendly product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7(11), 1807- 1826. 

  31. You, S. Y., & Noh, M. N. (2011). Purchase intention of the fair trade coffee.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2(3), 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