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구전수용 및 재구전의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The differences of online word-of-mouth acceptance and re-delivery intention -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and market maven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2, 2018년, pp.172 - 187  

이안지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이영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ast decade, the convenience of sharing information online has improved drastically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and social media. Such changes have contributed to regarding online word-of-mouth (WOM)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Therefore, the purpo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외의 의류학계에서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유의한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 두 변수의 관계를 활용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Hourigan & Bougoure, 2012; StokburgerSauer & Hoyer,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두 특성이 모두 높거나 낮은 경우의 구전효과뿐만 아니라, 의복관여도는 낮지만 마켓메이븐이 높은 경우와 의복관여도는 높지만 마켓메이븐이 낮은 경우의 구전효과 또한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구전을 활용한 효과적인 경영 전략을 수립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온라인 구전 활동에 있어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마켓메이븐의 구전 행동에 대한 학문적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구전을 활용한 효과적인 경영 전략을 수립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온라인 구전 활동에 있어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마켓메이븐의 구전 행동에 대한 학문적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오늘날 모바일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온라인 구전 정보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에 따른 온라인 구전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구전에 있어서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중요성을 밝힌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온라인 구전효과를 더욱 정밀히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오늘날 소비자들의 활발한 SNS 이용으로 정보탐색과정에서 중요한 정보원천으로 작용하는 온라인 구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기업의 온라인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온라인 구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 성향의 상호작용에 따른 온라인 구전효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에 진행되었던 연구들과 차별점을 두고자 한다. 국외의 의류학계에서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유의한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 두 변수의 관계를 활용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Hourigan & Bougoure, 2012; StokburgerSauer & Hoyer, 2009).
  •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이 재구전의도에 상호작용효과를 지닌 점에 착안하여,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에 따른 재구전 유형 및 방향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Table 7).
  • 하지만 현실 속에서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구전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여 발신자 혹은 온라인 구전 정보의 특성 등 다른 변수도 함께 고려한다면 한층 더 정밀한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는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온라인 구전효과에 대한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그쳤다. 하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효과가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보면 실무적으로 더욱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셋째,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재구전 유형/방향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마켓메이븐이 높은 소비자는 모든 유형(객관적/주관적)과 모든 방향성(긍정적/부정적/양면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더욱 많이 재구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오늘날 소비자들의 활발한 SNS 이용으로 정보탐색과정에서 중요한 정보원천으로 작용하는 온라인 구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기업의 온라인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오늘날 모바일 등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온라인 구전 정보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에 따른 온라인 구전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구전에 있어서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중요성을 밝힌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온라인 구전효과를 더욱 정밀히 연구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시사점을 갖는다.
  • Feick and Price(1987)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시장의 전반적인 정보를 획득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를 좋아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구전 정보를 탐색하여 패션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4부를 회수하였으며, 온라인 구전 정보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33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41부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두 가지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구전효과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한층 더 정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문적, 실무적으로 효율적인 구전효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며, 소비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온라인 구전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 기업의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방안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또한, Jeon and Park(2012)의 연구에서 마켓메이븐 성향이 높을수록 의복관여도가 높고, 적극적인 패션소비자여서 주변 사람들에게 패션과 관련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이와 같은 유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이 온라인 구전효과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크게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의 특성이 구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Yang & Cho, 2000), 본 연구는 구전은 수신자의 정보에 대한 욕구와 필요에 의한 것으로, 그들에 의해서 대부분의 구전이 주도된다(Kim & Hwang, 1997)는 점에 착안하여 수신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구전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럴 마케팅의 장점은? 온라인상에서의 구전은 바이러스(virus)처럼 급속도로 퍼진다고 하여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이라고 한다(Stephansen, 2008). 바이럴 마케팅의 장점은 기업을 대신해서 소비자가 직접 홍보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구전 정보를 접하는 다른 소비자 또한 상업적인 정보보다 더욱 신뢰를 갖고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Lee,Ahn, & Ha, 2013).
바이럴 마케팅이란 말의 어원은? 기업은 온라인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전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게 되어 이를 활용하는 마케팅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상에서의 구전은 바이러스(virus)처럼 급속도로 퍼진다고 하여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이라고 한다(Stephansen, 2008). 바이럴 마케팅의 장점은 기업을 대신해서 소비자가 직접 홍보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구전 정보를 접하는 다른 소비자 또한 상업적인 정보보다 더욱 신뢰를 갖고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Lee,Ahn, & Ha, 2013).
SNS 및 모바일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구전의 방식이 어떻게 바뀌게 되었는가? 최근 SNS 및 모바일의 급속한 발달로 소비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즉각적으로 알리고,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반대로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의 소비자는 타인의 의견과 경험을 언제 어디서나 숙지하여 참고할 수 있게 되었다(Kim, Suh, & Suh, 2008).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대면한 상태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던 구전이 온라인상에서도 개인이 경험한 제품, 서비스 혹은 기업에 대한 정보, 사용 후기, 추천 등을 타인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온라인 구전(online word-of-mouth, WOM)이라고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n, J.-H., & Lee, S. J. (2015).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online fashion communities' behavioral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7), 101-117. doi:10.7233/jksc.2015.65.7.101 

  2.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Forth Worth: Dryden Press. 

  3. Bone, P. F. (1995). Word-of-mouth effects on short-term and long-term product judg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2(3), 213-223. doi:10.1016/0148-2963(94)00047-I 

  4. Brown, J. J., & Reingen, P. H.(1987). Social ties and word-of-mouth referral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350-362. doi:10.1086/209118 

  5. Chae, H. J., Park, S. H., & Ko, E. J. (2016). A study on fashion brand online impression formation and its WOM effect according to online review types of supporter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1), 15-26. doi:10.5805/SFTI.2016.18. 1.15 

  6. Choi, J. W. (2013). eWOM information search behavior of cycle 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Chun, M.-H., & Ahn, J.-W. (2010). The antecedences and consequences of e-market mave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5(4), 53-83. 

  8. Crowley, A. E., & Hoyer, W. D. (1994).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wo-sided persua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4), 561-574. doi:10.1086/209370 

  9. De Meyer, C. F., & Petzer, D. J. (2014). Product involvement and online word-of-mouth in the south African fast food industry. Journal of Global Business and Technology, 10(1), 16-24. 

  10. Demirbas, E. (2018). An overview on traditional and electronic word of mouth communication (WOM). Lectio Socialis, 2(1), 16-26. 

  11. Dichter, E. (1966). How word-of-mouth advertising works. Harvard Business Review, 44(6), 147-166. 

  12.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Fort Worth: Dryden Press. 

  13. Feick, L. F., & Price, L. L. (1987). The market maven: A diffuser of marketplace information. Journal of Marketing, 51(1), 83-97. doi:10.2307/1251146 

  14. Gavisk, D. C. (2000). The influenc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properties on the recognition of letters within wor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eorgia, U.S. 

  15. Goodey, C., & East, R. (2008). Testing the market maven concep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4(3/4), 265-282. doi:10.1362/026725708X306095 

  16. Harrison-Walker, L. J. (2001). E-complaining: A content analysis of an internet complaint forum.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5(5), 397-412. doi:10.1108/EUM0000000005657 

  17. Holbrook, M. B. (1978). Beyond attitude structure: Toward the informational determinants of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4), 545-556. doi:10.2307/3150624 

  18. Hong, B. S. (2011). Fashion merchandise & consumer behavior (2nd ed.). Seoul: Soohaksa. 

  19. Hourigan, S. R., & Bougoure, U.-S. (2012)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fashion clothing involvement. Australasian Marketing Journal, 20(2), 127-135. doi:10.1016/j.ausmj.2011.10.004 

  20. Jeon, K. S., & Park, H. J. (2012). The concept and consumer traits of a market mav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5), 562-572. doi:10.5850/JKSCT.2012.36.5.562 

  21. Jung, J. E., Choo, H. J., & Lee, H. K. (2013). The effects of fashion mobile word-of-mouth: Focus on faceb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186-201. doi:10.5850/JKSCT.2013.37.2.186 

  22. Kang, B. S. (2013). An analysis of grou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echnological innovati- veness and clothing involvement: Focused on smart phone fashion information appl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Korea. 

  23. Kim, C.-H. (2006). The influences of online WOM (word of mouth) information and web site characteristics to attitude change of user. The e-Business Studies, 7(5), 3-21. 

  24. Kim, C.-H. (2010). A study on the online words of mouth behavior: Structural analysis of the online WOM information searching, website visit, purchase and WOM information delivery.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13(5), 55-75. 

  25. Kim, C. H., & Hwang, E. R. (1997). 구전정보의 특성과 구전효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word-of-mouth characteristics and effects]. Advertising Research, 35, 55-77. 

  26. Kim, G. (2007).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online consume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Kim, J.-Y., Suh, E.-K., & Suh, K.-S. (2008). Effects of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consumers and product reviewers on consumer behavior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8(3), 67-90. 

  28. Kim, M. J., & Seo, U. H. (2010). Causal model of online word-of-mouth information redelivery: Focusing on reviews of fashion related good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3(2), 95-114. 

  29. Kim, S. H. (2003). The influence of product involvement and knowledge on internet WOM.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1), 257-280. 

  30. Kwon, S. K., & Kim, S.-H. (2013). A study on online word-of-mouth effect through blog reviews on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4), p.478-494. doi:10.7741/rjcc.2013. 21.4.478 

  31. Lee, E.-J., & Shim, S.-W. (2008). An empirical study on WOM effects in on-line: A comparative study on market maven and early adopte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0(4), 63-79. 

  32. Lee, E. Y. (2004). A two factor model of online word of mouth adoption and diffusion: The effect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3. Lee, H. S., Ahn, K. H., & Ha, Y. W. (2013). Consumer behavior (5th ed.). Paju: Bobmunsa. 

  34. Lee, Y. S. (2014). A study of the market maven's information diffusion and acceptance in food service indus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35. Nam, M. W. (2014). A study on the effects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rket maven and time orientation have on mobile shopping: With a focus on mobile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5), 30-49. doi:10.7233/jksc.2014.64.5.030 

  36. Park, J. Y. (2004). Word-of-mouth effect according to WOM channel and message of clothing produ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7. Park, J. Y., Chung, S. J., & Jeon, Y. J. (2012). A study on intention to use and word-of-mouth for fashion social network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 36-45. doi:10.5850/JKSCT.2012.36.1.36 

  38. Park, T. W., & Lee, K. Y. (2014). An integrated model of information processing of eWOM in social network service. Advertising Research, 100, 172-224. 

  39. Ryu, H. J.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nline word-of-mouth information's types, directions and web types on credibility and refer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40. Seo, M. S. (2008). Influence of online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attitudes toward fashion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1. Shin, J.-K., Oh, M.-O., & Hong, J.-H. (2017). A study 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message sidedness, rewarded recommendation, regulatory focus, and involvement level on e-WOM effect.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32(3), 169-191. doi: 10.23839/kabe.2017.32.3.169 

  42. Son, J. A., & Rhee, E.-Y. (2007). The effect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direction, consensus) on word-of-mouth performance in online apparel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157-1167. doi:10.5850/JKSCT.2007.31.8.1157 

  43. Song, S.-J. (2005). The effect of word-of-mouth communication of the internet on fashion goods purch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44. Stauss, B. (1997). Global word of mouth: Service bashing on the internet is a thorny issue. Marketing Management, 6(3), 28-30. 

  45. Stephansen, K. (2008). Diffusion of viral marketing into the world of public rel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Missouri, U.S. 

  46. Stokburger-Sauer, N. E., & Hoyer, W. D. (2009). Consumer advisors revisited: What drives those with market mavenism and opinion leadership tendencies and why?.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8(2/3), 100-115. doi:10.1002/cb.276 

  47. Suh, M.-J. (2008). The influence of online word-of-mouth information's direction on word-of-mouth effec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Gyeonggi-do, Korea. 

  48. Sundaram, D. S., Mitra, K., & Webster, C. (1998). Word-of-mouth communications: A motivational analysi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5, 527-531. 

  49. Sung, H. W., & Kim, E. Y.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factors for predicting market mavenism and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9(5), 77-92. doi:10.12940/jfb.2015.19.5.77 

  50. Sung, H. W., & Kim, E. Y. (2017). The effects of perceived relational benefits 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in the social commerce marketplac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and difference in market mavenism.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1(2), 30-44. doi:10.12940/jfb.2017.21.2.30 

  51. Sung, H. W., & Sung, J. H. (2016). An analysis of market maven's shopping behavior and multichannel usage in the fashion retailing marke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2), 134-148. doi:10.12940/jfb.2016.20.2.134 

  52. Sweeney, J., Soutar, G., & Mazzarol, T. (2014). Factors enhancing word-of-mouth influence: Positive and negative service-related messag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8(1), 336-359. doi: 10.1108/EJM-06-2012-0336 

  53. Whyte, W. H. (1954). The web of word of mouth. Fortune, 50(5), 140-143. 

  54. Wiedmann, K.-P., Walsh, G., & Mitchell, V.-W. (2001). The mannmaven: An agent for diffusing marketing information.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7(4), 195-212. doi:10.1080/13527260127413 

  55. Yang, Y., & Cho, M.-J. (2000). Effect of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1 (3), 7-34. 

  56. Zhang, H. (2013).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online word-of-mouth credibility and it's impact on secondary word-of-mouth intention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word-of-mouth information invol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