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위성 고도계 해상풍 검증과 해상상태편차와의 관련성 - 이어도, 마라도, 외연도 해상풍 관측치를 중심으로 -
Validation of Sea Surface Wind Speeds from Satellite Altimeters and Relation to Sea State Bias - Focus on Wind Measurements at Ieodo, Marado, Oeyeondo Station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9 no.2, 2018년, pp.139 - 153  

최도영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우혜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상풍은 장기간동안 인공위성 산란계와 마이크로파 복사계를 주로 활용하여 관측되어왔다. 반면 위성 고도계 산출 풍속 자료의 중요성은 산란계의 탁월한 해상풍 관측 성능으로 인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인공위성 고도계 풍속자료는 해수면고도를 산출하기 위한 해상상태편차(sea state bias) 보정항의 입력 자료로서 활용됨에 따라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고도계(GFO, Jason-1, Envisat, Jason-2, Cryosat-2, SARAL) 풍속을 검증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마라도, 외연도 해양기상부이의 풍속 자료를 활용하여 2007년 1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1504개의 일치점 자료를 생성하였다. 해양실측 풍속에 대한 고도계 풍속은 $1.59m\;s^{-1}$의 평균 제곱근오차와 $-0.35m\;s^{-1}$의 음의 편차를 보였다. 해양실측 풍속에 대한 고도계 해상풍 오차를 분석한 결과 고도계 해상풍은 풍속이 약할 때 과대추정되며 풍속이 강할 때 과소추정되는 특징을 보였다. 위성-실측 자료 간의 거리에 따른 고도계 풍속 오차를 분석한 결과 구간별 오차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거리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고도계 풍속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분석된 오차 특성을 기반으로 보정식을 유도한 후 고도계 풍속을 보정하였다. 보정 전후의 풍속자료를 활용하여 해상상태편차를 산출하였으며 Jason-1의 해상상태편차에 대한 해상풍 오차 보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 surface wind field has long been obtained from satellite scatterometers or passive microwave radiometers. However, the importance of satellite altimeter-derived wind speed has seldom been addressed because of the outstanding capability of the scatterometers. Satellite altimeter requir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마라도, 외연도의 기상청 해양기상부이의 실측 해상풍 자료와 인공위성 고도계 해상풍 자료를 이용하여 1) 해양실측 해상풍과 고도계 해상풍 자료간의 일치점 데이터베이스를 생산하고, 2) 일치점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고도계 해상풍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3) 해양실측 해상풍과 위성 고도계 해상풍의 차이에 대한 특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며, 4)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인공위성 고도계 해상풍 자료보정을 통한 해상상태편차 보정에 기여하는 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 실제 해상풍이 커질수록 구간별 해상풍 오차의 평균값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실제 해상의 풍속이 약한 경우에는 위성 고도계의 해상풍이 실제 풍속보다 과대추정되며 바람의 세기가 강한 경우에는 실제 풍속보다 과소추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거리에 따른 해상풍 오차에 대한 특성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해상풍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거리에 따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일치점 자료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구간별 오차의 최댓값과 최솟값 차이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는 풍속의 공간 규모가 클 때에는 산란도가 적고, 반대로 공간 규모가 작을 때는 다른 다양한 요인과 함께 풍속 오차가 더 커지는 경향성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 위성 고도계 해상풍과 해양실측 해상풍의 차이가 지니는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측 해상풍에 대하여 해상풍 오차의 특성을 분석하여 오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체 일치점의 개수 중에 63%에 해당하는 일치점의 해상풍 오차가 음의 영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인공위성 고도계의 해상풍은 실측 해상풍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작게 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위성 센서를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해상풍을 관측한 사례는? 원격탐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인공위성 센서를 활용하여 해양의 광범위한 영역에 대해 주기적으로 고해상도의 해상풍을 관측하고 있다. 1992년 ERS-1 (European Remote Sensing Satellite)의 운용을 시작으로 인공위성 산란계(scatterometer)를 이용한 해상풍 관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공위성 산란계를 통해 평균적으로 1-2일에 걸쳐 전 지구 해양의 풍속과 풍향을 2m s-1 와 20o의 정확도로 관측하고 있다. 산란계로부터 관측한 해상풍은 높은 정확도와 광범위한 해역의 관측으로 해양실측 자료의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 지구 해상풍 관측을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해상풍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상풍은 대기에서 해양으로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며, 해양 표층을 통해 열속 교환 및 다양한 입자들의 해양 유출입을 제어하는 조절자 역할을 함으로써 해양-대기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해상풍은 난류, 용승 및 해류와 같은 다양한 해양 현상에 관여하며 장기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기작을 이해하는데 널리 활용되어 왔다.
해상풍은 무엇을 활용하여 관측되어 왔는가? 해상풍은 장기간동안 인공위성 산란계와 마이크로파 복사계를 주로 활용하여 관측되어왔다. 반면 위성 고도계 산출 풍속 자료의 중요성은 산란계의 탁월한 해상풍 관측 성능으로 인해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dalla, S., 2014, Calibration of SARAL/AltiKa wind speed.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1, 1121-1123. 

  2. Abdalla, S., and Chiara, G.D., 2017, Estimating random errors of scatterometer, altimeter, and model wind speed data.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10, 2406-2414. 

  3. Chelton, D.B., 1994, The sea state bias in altimeter estimates of sea level from collinear analysis of TOPEX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 24995-25008. 

  4. Chelton, D.B., Ries, J.C., Haines, B.J., Fu, L.-L., and Callahan, P.S., 2001, Satellite altimetry. In Fu L.-L. and Cazenave A. (eds.), Satellite altimetry and the earth sciences: A handbook for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1-131. 

  5. Dobson, E., Monaldo, F., Goldhirsh, J., and Wilkerson J., 1987, Validation of Geosat altimeterderived wind speeds and significant wave heights using buoy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921, 10719-10732. 

  6. Durrant, T.H., Greenslade, D.J.M., and Simmonds, I., 2009, Validation of Jason-1 and Envisat remotely sensed wave height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6, 123-134. 

  7. Ebuchi, N., and Kawamura, H., 1994, Validation of wind speeds and significant wave heights observed by the TOPEX altimeter around Japan. Journal of Oceanography, 50, 479-487. 

  8. Freilich, M.H., and Challenor, P.G., 1994, A new approach for determining fully empirical altimeter wind speed model func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 25051-25062. 

  9. Gaspar, P., Ogor, F., Le Traon, P.Y., and Zanife, O.Z., 1994, Estimating the sea state bias of the TOPEX and POSEIDON altimeters from crossover differen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 24981-24994. 

  10. Gommenginger, C.P., Srokosz, M.A., Challenor, P.G., and Cotton P.D.,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ltimeter wind speed algorithms using an extended collocated buoy/Topex dataset.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0, 251-260. 

  11. Gourrion, J., Vandemark, D., Bailey, S., and Chapron, B., 2000, Satellite altimeter models for surface wind speed developed using ocean satellite crossovers. French Research Institute for Exploitation of the Sea, DROOS-2000-02, 61 p. 

  12. Gourrion, J., Vandemark, D., Bailey, S., Chapron, B., Gommenginger, C.P., Challenor, P.G., and Srokosz, M.A., 2002, A two parameter wind speed algorithm for Kuband altimeter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9, 2030-2048. 

  13. Gower, J.F.R., 1996, Intercalibration of wave and wind data from TOPEX/POSEID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1, 3817-3829. 

  14. Hwang, P.A., Teague, W.J., Jacobs, G.A., and Wang, D.W., 1998, A statistical comparison of wind speed, wave height and wave period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ers and ocean buoys in the Gulf of Mexico reg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3, 10451-10468. 

  15. Jeong J.Y., Shim J.S., Lee D.K., Min I.K., and Kwon J.I., 2008, Validation of QuikSCAT wind with resolution of 12.5 km in the vicinity of Korean Peninsula. Ocean and Polar Research, 30, 47-58. 

  16. Kang Y.H., Seuk H.B., Bang J.H., and Kim Y.K., 2015,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ea surface winds and significant wave heights observed marine meterological buoys and lighthouse AWSs nea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 291-302. 

  17.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KHOA): http://www.khoa.go.kr/ (2018. 4. 16) 

  18. Kumar, U.M., Swain, D., Sasamal, S.K., Reddy, N.N., and Ramanjappa, T., 2015, Validation of SARAL/AltiKa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ind speed observations over the North Indian Ocean. 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 135, 174-180. 

  19. Labroue, S., Gaspar, P., Dorandeu, J., Zanife, O.Z., Mertz, F., Vincent, P., and Choquet, D., 2004, Non-parametric estimates of the sea state bias for Jason-1 radar altimeter, Marine Geodesy, 27, 453-481. 

  20. Lillibridge, J., Scharro, R., Abdalla, S., and Vandemark D., 2014, One- and two-dimensional wind speed models for Ka-band altimetry,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31, 630-638. 

  21. Liu, W.T., and Tang, W., 1996, Equivalent neutral wind,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 Publication 96-17, 22 p. 

  22. Liu, W.T., Katsaros, K.B., and Businger, J.A., 1979, Bulk parameterization of air-sea exchanges of heat and water vapor including the molecular constraints at the interface,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36, 1722-1735. 

  23. Paulson, C.A., 1970, Th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wind speed and temperature profiles in the unstable atmospheric surface layer,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9, 857-861. 

  24. Witter, D.L., and Chelton, D.B., 1991, A Geosat wind speed algorithm and a method for altimeter wind speed algorithm develop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6, 8853-8860. 

  25. Woo, H.J., Park, K.A., Byun, D.S., Lee, J.Y., and Lee, E.I, 2018,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between Significant Wave Height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and Satellite Altimeter-measured Data over a Decade (2004-2016), 23, 1-19. 

  26. Wu, J., 1999, On wave dependency of altimeter sea returns-Weak fetch influence on short ocean wave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6, 373-378. 

  27. Zieger, S., Vinoth, J., and Young, I.R., 2009, Joint calibration of multiplatform altimeter measurements of wind speed and wave height over the past 20 year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6, 2549-25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